[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버들(Podul)은 [[북한]]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버드나무]]를 줄여 부르는 약칭이다. == 2001년 제22호 태풍 == [include(틀:2001년 태풍)] || [[2001년|{{{#FFF '''2001년'''}}}]] [[태풍|{{{#FFF '''태풍'''}}}]] || || 제21호 [[하이옌#s-2]] → '''제22호 버들''' → 제23호 [[링링(태풍)#s-2|링링]] || |||||| '''{{{+5 {{{#!html 2001년 제22호 태풍 버들}}}}}}''' || || {{{#ffffff 위성사진}}} ||||[[파일:1920px-Podul_2001-10-24_0020Z.jpg|width=100%]] || || {{{#ffffff 진로도}}} ||||[[파일:0122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001년 10월 20일 9시 ~ 2001년 10월 28일 9시 || || {{{#ffffff 영향 지역}}} ||||<:> '''[[북마리아나 제도]]''' || || {{{#white 태풍 등급}}} ||<-2><:> {{{#000 '''5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300 km)''' || || {{{#ffffff 최저 기압}}} |||| '''925 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72 m/s''' || ||<:>10분 평균 || '''51 m/s''' || 북서태평양 해상을 돌아다니면서 상당히 강력하게 발달했었다. == 2007년 제17호 태풍 == [include(틀:2007년 태풍)] || [[2007년|{{{#FFF '''2007년'''}}}]] [[태풍|{{{#FFF '''태풍'''}}}]] || || 제16호 [[하이옌#s-3]] → '''제17호 버들''' → 제18호 [[링링(태풍)#s-3|링링]] || |||||| '''{{{+5 {{{#!html 2007년 제17호 태풍 버들}}}}}}'''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2007년 10월 5일 ~ 10월 7일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 ||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강한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50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8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31m/s''' || ||<:>10분 평균 || '''28m/s''' || == 2013년 제31호 태풍 == [include(틀:2013년 태풍)] || [[2013년|{{{#FFF '''2013년'''}}}]] [[태풍|{{{#FFF '''태풍'''}}}]] || || 제30호 [[하이옌(2013년 태풍)|하이옌]] → '''제31호 버들''' || |||||| '''{{{+5 {{{#!html 2013년 제31호 태풍 버들}}}}}}''' || || {{{#ffffff 진로도}}} ||||[[파일:1331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013년 11월 14일 21시 ~ 2013년 11월 15일 9시|| || {{{#ffffff 영향 지역}}} ||||<:>[[팔라우]],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저기압'''}}}[*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소형(직경 390 km)''' || || {{{#ffffff 최저 기압}}} |||| '''1002 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5 m/s''' || ||<:>10분 평균 || '''18 m/s''' || ||<:><|2>{{{#ffffff 피해}}}||<:>사망자|| '''46명''' || ||<:>피해총액|| '''1억 9,412만 달러'''[* 2013 USD] || == 2019년 제12호 태풍 == [include(틀:2019년 태풍)] || [[2019년|{{{#FFF '''2019년'''}}}]] [[태풍|{{{#FFF '''태풍'''}}}]] || || 제11호 [[바이루#s-2]] → '''제12호 버들''' → 제13호 [[링링(2019년 태풍)#s-1|링링]] || |||||| '''{{{+5 {{{#!html 2019년 제12호 태풍 버들}}}}}}''' || || {{{#ffffff 위성사진}}} ||||[[파일:1920px-Podul_2019-08-29_0600Z.jpg|width=100%]] || || {{{#ffffff 진로도}}} ||||[[파일:1920px-Podul_2019_track.png|width=100%]] || || {{{#ffffff 활동 기간}}} ||||<:>2019년 8월 28일 9시 ~ 2019년 8월 30일 9시|| || {{{#ffffff 영향 지역}}} ||||<:>[[북마리아나 제도]], [[필리핀]], '''[[중국]] [[하이난 성]]''', [[베트남]], [[라오스]], [[태국]]|| || {{{#white 태풍 등급}}} ||<-2><:> {{{#000 '''열대폭풍'''}}}[*JTWC] || || [[템플릿:태풍#s-2.2.3|{{{#white 10분 등급}}}]] ||<-2><:> {{{#000 '''열대폭풍'''}}}[*JMA] || || {{{#ffffff 태풍 크기}}} |||| '''중형(직경 670 km)''' || || {{{#ffffff 최저 기압}}} |||| '''992 hPa''' || ||<|2>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23 m/s''' || ||<:>10분 평균 || '''21 m/s''' || === 태풍의 진행 === 2019년 제12호 태풍 버들(Podul)은 [[8월 28일]]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500km, 크기 '대형'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6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a 일본 기상청(JMA) 사후해석(베스트 트랙) 기준] 발생 이후 빠르게 [[필리핀]] [[루손 섬]]을 관통한 이후 [[남중국해]]에서 서~서북서진하며 서서히 발달해서 [[8월 28일]] 15시에 [[필리핀]] [[마닐라]] 서북서쪽 약 5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390km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a ] [[남중국해]]에서 최성기 세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속 빠르게 서진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8월 30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242km 부근 육상([[베트남]] 꽝빈 성 동허이 육상)에 최성기 세력과 비슷한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1m/s, 강풍 반경 440km(북서쪽 반경)의 세력 '약', 크기 '중형'의 열대 폭풍으로 상륙하였다.[*a ] [[8월 30일]] 9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564km 부근 육상([[태국]] 우돈타니 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소멸하였다. [[분류:2001년 태풍]][[분류:2007년 태풍]][[분류:2013년 태풍]][[분류:2019년 태풍]][[분류:슈퍼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