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 [[파일: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1.jpg|width=400]] || [[파일: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2.jpg|width=400]] || || [[파일: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3.jpg|width=400]] || [[파일: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4.jpg|width=400]]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263호}}}]]''' || ||<-2> {{{#fff {{{+1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br]{{{-1 白磁 靑畵山水花鳥文 立壺}}}}}}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용인대학교 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 || '''{{{#fff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 || || '''{{{#fff 수량/시설}}}''' || 1점 || || '''{{{#fff 지정연도}}}''' || 1991년 1월 25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는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의 제작시기를 밝히지 않았다.] || [목차] == 개요 == 白磁 靑畵山水花鳥文 立壺. [[조선]] 후기, 18세기 중·후반경에 [[경기도]] 광주 왕실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용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 제263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높이 54.8㎝, 입지름 19.2㎝, 밑지름 18㎝. 조선 후기, 1700년대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로, 18세기 중엽 경기도 광주 일대의 금사리요와 분원리 초기 요에서 조선 왕실의 잔치에 사용할 항아리로 제작되었다. 당당한 양감을 지녀 자태가 빼어나고 청화로 그려낸 화창 안의 사실적인 문양과 그 밖의 장식문양도 우수하고 다양하다. 18세기 한국의 청화백자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전체적으로 [[백자청화산수문호]], [[백자 청화 산수무늬 항아리]] 등의 작품과 비슷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3949&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859&cid=40942&categoryId=34709|두산백과 : 청화백자산수화조문대호]] * [[https://ko.wikipedia.org/wiki/백자_청화산수화조문_항아리|한국어 위키백과 :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 국보 제263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2630000,31&pageNo=5_2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白磁 靑畵山水花鳥文 立壺)]]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로, 크기는 높이 54.8㎝, 아라리 지름 19.2㎝, 밑 지름 18㎝이다. > >아가리 부분은 수직으로 낮게 있으며, 부드럽게 팽창하여 어깨부에서 팽배되었다가 서서히 좁아진 후, 몸통 아랫부분에서 약간 벌어져 바닥면에 이른다. > >항아리의 양감이 풍부하고 아랫부분이 좁아서 보기에 준수하며, 몸통 가운데에 위·아래를 따로 만들어 붙인 흔적이 있다. 몸통 윗부분의 4곳에 푸른색 안료로 4개의 반원를 연결시켜 만든 마름모 형태의 꽃 창을 큼직하게 그린 다음, 그 속에 산수문과 화조석문을 교대로 그려 넣었다. > >각각의 꽃 창 안에 도안화된 ‘富’자를 넣어 사다리꼴로 연결시켜 놓았으며, 꽃 창 사이의 위·아래 4곳에도 역시 도안화된 ‘壽’자와, ‘疆’자가 들어있는 원이 있다. 유약은 투명하고 광택이 좋은 백자유로 전면에 고르게 칠해졌고, 표면의 색조는 엷은 회백색이다. > >형태가 아름답고 푸른색의 청화 안료로 그린 사실적인 문양들이 우수하고 다양하여, 이 무렵 대표적인 백자 항아리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용인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