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보)]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국보|{{{#f39100 대한민국 국보 제222호}}}]]''' || ||<-2> {{{#fff {{{+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br]{{{-1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호림박물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 '''{{{#fff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백자 || || '''{{{#fff 수량/면적}}}''' || 1개 || || '''{{{#fff 지정연도}}}''' || 1984년 12월 7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15세기) || [[파일: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1.jpg|width=560]] [목차] == 개요 ==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는 [[조선]] [[세조(조선)|세조]] 시기에 [[경기도]] 광주 일대의 분원요(分院窯)에서 만들어진 [[청화백자]]이다. 현재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국보|대한민국 국보]] 제222호로 지정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2.jpg|width=530]] 높이 29.2㎝, 입지름 10.7㎝, 밑지름 14㎝. 조선 세조 재위시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로, 1467년 세조의 명으로 창설된 경기도 광주 왕실관요에서 제작한 작품이다. 세조 시기에 처음 번조되기 시작한 한국 청화백자의 초창기 작품 중 하나로 확인되었다. 초창기 경기도 광주 귀여리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백을 살린 청화의 문양이 잘 어울리는 작품이다. 세조 후반기 극한으로 발전했던 인화문 기법도 뚜껑 부분에 녹아들어가 있다. 호림박물관을 세운 [[윤장섭]] 성보실업회장이 1970년 11월 4000만원에 샀다고 전해진다. 당시 서울 집 한채에 100~200만원 하던 시절이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백자_청화매죽문_유개항아리|한국어 위키백과: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3948&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857&cid=40942&categoryId=34709|두산백과: 청화백자매죽문호]] == 국보 제222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2220000,11&pageNo=5_2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뚜껑이 있는 청화백자 항아리로 높이 29.2㎝, 아가리 지름 10.7㎝, 밑 지름 14㎝이다. > >아가리가 밖으로 말리고 어깨에서 팽배해졌다가 서서히 좁혀져 내려 가며, 뚜껑은 연꽃봉오리 모양의 오똑한 꼭지가 달렸다. 문양은 엷은 청화로 꼭지와 그 주위에 작고 촘촘한 연꽃무늬 띠를 돌리고, 그 바깥쪽으로 큰 점을 일곱 군데에 찍었다. 뚜껑의 옆면에도 아래 위로 한 줄씩의 가로줄을 그어 그 사이에 점을 찍어 넣었다. > >항아리의 어깨와 몸통 아랫부분에는 간략화된 연꽃무늬 띠가 둘러져 있다. 주된 문양은 백자의 면 중앙에 새겼는데, 한 그루의 매화나무 등걸과 대나무를 적절한 농담의 표현으로 그렸다. > >이 항아리의 특징은 문양들을 과감하게 간략화시키면서 공간의 여백을 살려 주된 문양을 표현한 점이다. 형태와 문양으로 볼 때 국가에서 관리하는 가마(관요)에서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보]][[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호림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