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백자청화 보상화당초문 항아리.png|width=400]] [목차] == 개요 == 白磁 靑華 寶相華唐草文 壺. [[조선]] [[세조(조선)|세조]] 재위시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일본]]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일본에 유출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재]] 중 하나로, 만들어진 연대는 15세기 중엽, 조선 세조 재위시기로 확인되었다. 조선 초기 1467년에 창설된 경기도 일대의 관요(官窯)에서 건립 초창기에 제작한 것이다. 현재 문화재가 일본에 있어 자세한 연구는 할 수 없지만 백자 문양으로 새겨진 [[보상화무늬|보상화]]가 일반적인 청화안료보다 훨씬 어두운 색을 띄고 있다. 이 때문에 조선 세조가 직접 발명했던 [[토청]]을 이용하여 만든 청화백자로 추정하기도 한다. 정확히 일본 어느 곳에 소장되어 있는 지는 알 수 없다. 이 문화재 사진이 수록된 일본 쇼가쿠칸(小學館) 간행의 『세계도자전집』19 이조편(1980년)에는 《白磁靑花 宝相華唐草文 壺》로 표기되어 있다. 일단 일본 [[오사카]] 시립 동양도자미술관에서 비밀리에 소장하고 있는 것 같다는 소문이 있는데 실제 이 미술관의 경우 과거 [[이승만]]의 비서였던 이병창 선생이 일본을 위해 기증한 한국 도자기 351점이 있으며 이중 50여점만을 공개하고 있다.[[http://manos.tistory.com/52|일본의 아타카 컬렉션]] 일단 공개하고 있는 50여점의 유물 중에는 이 문화재가 없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청화백자 중 하나이나, 현재 일본에 유출되어 있어 한국의 문화재 등록은 불가능하다. == 외부 링크 == * [[http://www.koreanart21.com/education/porcelain/view?id=1390|한국 미술이 숨쉬는 감성공간 스마트K : 도자이야기 청화(靑畵)와 청화(靑花)]] * [[http://dmoo.tistory.com/archive/20120531|시흥시대야도서관 조선 백자]] * [[http://blog.daum.net/bohurja/5646|도자이야기 : 조선백자 정리]] [[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해외 소재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