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 [[파일:external/torrentkim3.net/2083859853_894YdqxT_COVER.jpg|width=60%]] || ||<-6><#e4eff1> '''[[UNVEILING|{{{#1d1f1f UNVEILING 1CD}}}]]''' || ||<:> {{{#1d1f1f 트랙}}} || {{{#1d1f1f 곡명}}} || {{{#1d1f1f 러닝타임}}} || {{{#1d1f1f 작사}}} || {{{#1d1f1f 작곡}}} || {{{#1d1f1f 편곡}}} || || 6 || '''백야''' || 3:43 || [[이수(가수)|이수]] ||<-2> WATT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EREMONIA_Complete.jpg|width=60%&align=center]]}}} || ||<-6><#f9f3ec> '''[[CEREMONIA|{{{#964c38 CEREMONIA 2CD}}}]]''' || ||<:> {{{#964c38 트랙}}} || {{{#964c38 곡명}}} || {{{#964c38 러닝타임}}} || {{{#964c38 작사}}} || {{{#964c38 작곡}}} || {{{#964c38 편곡}}} || || 7 || '''백야 (20th Edition)''' || 3:47 || [[이수(가수)|이수]] || 송양하 || 송양하, 김재현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z4rpksJc1U,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407o0esI0,start=13,width=100%,align=center)]}}} || || '''▲ 7집 수록 음원''' ||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GsEIefJPwI,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iy8gdh3Zpk,width=100%,align=center)]}}} || || '''▲ 2012년 M.C the MAX & NEW 콘서트 라이브 ''' || '''▲ 2016년 8집 발매 콘서트 부산 라이브''' || == 가사 == ||
<:> {{{#1d1f1f '''{{{+3 백야}}}'''}}}|| ||<:>하얀 밤을 모두 지새고 네게로 돌아간다 오래 비워둔 내 제자리로 부서지고 날카로웠던 마음들뿐이어서 널 안을 수 없을 때도 나를 놓치지 않으려 스스로 다치던 네게 지금 다시 돌아가며 시'''{{{#yellowgreen 간이}}}''' 흘러가면서 천'''{{{#yellowgreen 천히}}}''' 잊혀져 가는 기억'''{{{#yellowgreen 은}}} {{{#green 모}}}'''두 사라져 내게 '''{{{#yellowgreen 멀}}}'''어진대도 영원'''{{{#yellowgreen 한}}}''' 건 너의 마음뿐 나를 놓치지 않으려 스스로 다치던 네게 지금 다시 돌아가며 시'''{{{#yellowgreen 간이}}}''' 흘러가면서 천'''{{{#yellowgreen 천히}}}''' 잊혀져 가는 기억'''{{{#yellowgreen 은}}} {{{#green 모}}}'''두 사라져 내게 '''{{{#yellowgreen 멀}}}'''어진대도 영원'''{{{#yellowgreen 한}}}''' 건 너의 마음뿐 내게 남아 있는 모든 '''{{{#yellowgreen 것}}}'''들이 모두 사라지고 이름뿐'''{{{#yellowgreen 일 때}}}'''ㅡ 모든 것을 감싸 안으며 따뜻하게 불러 준 사'''{{{#yellowgreen 람}}}''' 이'''{{{#yellowgreen 제는}}}''' 웃어 주겠니[* 2014년 겨울나기 콘서트부터는 이 부분을 스킵한다.] [* '''전조 : D → E'''] 길'''{{{#green 었던}}} {{{#yellowgreen 방}}}'''황의 끝에 지'''{{{#green 난 시}}}{{{#yellowgreen 간}}}'''을 등 뒤로 너'''{{{#yellowgreen 와}}} {{{#green 마}}}{{{#blue,#dodgerblue 주}}}'''잡은 손을 놓'''{{{#yellowgreen 치}}}{{{#green 진}}} {{{#yellowgreen 않}}}'''을 거야 두 눈 '''{{{#green 가}}}{{{#yellowgreen 득}}}''' 담은 그댈 '''{{{#blue,#dodgerblue 다}}}'''시 네게서 떠'''{{{#yellowgreen 나}}}{{{#green 지}}}''' 않'''{{{#green 을}}}''' {{{#red 거}}}{{{#orange ㅡ야}}}[* 이 파트를 라이브에서는 강력한 샤우팅으로 부른다.] '''{{{#green 너}}}{{{#yellowgreen 에}}}'''게 약속할게 || ||2옥타브 라(A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green 초록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미(E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파♯(F♯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곡 분석 == * 조성 : 라장조(D) → 마장조(E) * 최고음 : '''진성 최고음 3옥타브 도♯(C♯5)/가성 최고음 3옥타브 파♯(F♯5)[* 2016년부터 가성 최고음 부분을 샤우팅으로 부른다.]''' [[어디에도]], [[넘쳐흘러]] 같은 곡들보다는 쉽지만, 당연히 [[M.C The Max]] 노래답게 어려운 곡이다. 1절 후렴구부터 2옥타브 라(A4), 2옥타브 시(B4)를 지속적으로 난사하며, 3절부터는 계속 중고음을 유지하다 목이 다 지친 상태로 불러야 하는 데다가 2키 전조되어 거의 모든 파트가 2옥타브 후반 이상의 음역대로 도배되고 '''3옥타브 도♯(C♯5)'''을 찍기 때문에 마지막에 나오는 가성 최고음 '''3옥타브 파♯(F♯5)'''을 매끄럽게 올리기 힘들다. == 여담 == * [[UNVEILING|7집]] 수록곡 중에서 가장 많이 사랑받은 곡이기도 하다. 2021년 9월 25일 기준 멜론 좋아요 64,260개, 노래방 인기차트 200위권 안에 들며 발매 8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그대가 분다]] 대신 [[백야(M.C The Max)|백야]]가 '''타이틀이 될 수도 있었다'''고 한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mcthemax&no=399282|19.03.09 9집 발매 콘서트 후기]] * 엠씨더맥스의 콘서트에서는 [[잠시만 안녕]]과 더불어 1부와 2부가 모두 끝난 뒤 앵콜 곡으로 자주 불리고 있다. * 2012년 크리스마스 이브 MC THE MAX&NEW 공연에서 선공개된 곡이다. 선공개 이후 정식 발매까지 1년이 걸렸다. * [[M.C The Max|현재 곡 주인]]에게 가기 훨씬 전, 2012년 이전부터 작곡은 이미 완료되어 있었고, [[MBC]] 드라마 [[나도 꽃]]에 BGM으로 삽입되었다. [[https://youtu.be/7HkY_pBqj-c?t=434|2011년 11월 30일 나도 꽃 7화 방영분 중]] * 라이브에서는 가성 파트를 샤우팅으로 부르기 때문에 음원보다 라이브가 압도적으로 좋다는 평가를 받는 곡이다. * 티저영상이 나왔던 곡이며, 마지막에 갑자기 가성으로 변하는 '떠나지 않을 '''거야'''' 부분은 이 노래의 백미.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UNVEILING]] [[분류:M.C The Max/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4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