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배터리(소설))] [목차] == 만화 == === 유니와 치카게 버전 === [[파일:title_visual_battery.jpg]] [[http://asuka-web.jp/work/battery.html|공식 홈페이지]] 소설을 원작으로 한 동명의 만화가 월간 아스카에서 2005년 부터 2010년까지 연재되었고 8권으로 완결되었다. 그림 작가는 유니와 치카게(柚庭千景)[* 이 작가는 그린 작품이 이것밖에 없다.]. 2016년 3월에 애니메이션화에 맞춰 신장판 3권이 추가로 연재되었다. 국내에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북박스]]에 의해 정발되었다. 번역가는 [[오경화]]. 다만 [[북박스]]가 2008년 이후로는 이미 사업을 정리한 상태라 5권까지만 정발되었다. 거기다 이미 정발된 1~5권도 이미 나온지 한참 오래됐고 재판 계획도 없다보니 중고로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나마 국내 도서관 중에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찾을 수 있다.[[http://www.nlcy.go.kr/menu/12110/program/50009/searchResultDetail.do?recKey=62828089&siteCd=nl|#]] 6권 후기에서 작가가 밝힌 바에 따르면 '하라다 세이하'([[:파일:seiha.jpg|#]])의 이미지 구상 모티브는 배우 [[카미키 류노스케]]라고 한다.[* 정확히는 이름을 그대로 직접 밝힌건 아니고 'K미키R노스케(K木R之介)'라며 우회했는데 어차피 딱 봐도 알기에...] 물론 지금의 청년 카미키 류노스케의 모습이 아닌 당시가 2005년 때이므로 상당히 어렸을 때의 카미키 류노스케의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상술했듯 원작부터가 소년들의 성장과 심리묘사가 주를 이루는 작품이라서 그런지 만화판에서는 BL스러운 묘사가 자주 나온다. 실제로 국내 배급사인 [[북박스]]의 공식 블로그에서 이 점이 언급되었을 정도[[http://archive.is/mbxbE|#]] 카와구치 카이지가 그린 '배터리'라는 동명의 만화가 존재하는데 같은 야구 만화라서 착각할 수 있지만 별개의 작품이다. === 시무라 타카코 버전 === [[파일:배터리 2016.jpg]] 2016년 애니메이션화에 맞춰 새로이 코미컬라이즈되었다.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원안을 맡은 [[시무라 타카코]]가 작화를 맡아 2016년 6월 11일에 발매되는 '월간 코믹 빔' 7월 호[* 유니와 치카게 버전의 배터리가 연재된 월간 아스카와 같은 KADOKAWA 계열의 월간지다.]부터 연재되는 만화. 2화로 완결. 유니와 치카게가 그린 버전의 캐릭터 디자인과는 별개로 애니메이션판의 캐릭터 디자인을 따른다. == 라디오 드라마 == 2000년 4월에 전 10화로 NHK-FM에서 라디오 드라마화 되었다. * 캐스팅 * 하라다 타쿠미 - [[미야노 마모루]] * 하라다 히로시 - 이시마루 켄지로 * 이오카 요조 - 야나 노부오 * 토무라 마코토 - [[마츠시게 유타카]] == 영화 == [[파일:battery51.jpg]] 2007년의 영화. 한국에서는 2010년에 개봉했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5846|네이버 영화]]) * 캐스팅 * 하라다 타쿠미 - [[하야시 켄토]] * 나가쿠라 고 - 야마다 켄타 * 하라다 마키코 - [[아마미 유키]] * 하라다 히로시 - 키시타니 고로 * 하라다 세이하 - 야리타 아키히로 * 이오카 요조 - [[스가와라 분타]] 그럭저럭 무난한 청춘야구영화. 최고의 실력을 가진투수가 야구부동료들과 티격태격하고 싸우기도하며 최고를 향해 달려가는 과정을 다루고있다. 야구영화에서 흔히 보여지는 야구부동료들간의 우정과 다툼 그리고 각종고난들속에서 한명의 선수로 성장해가는 스토리등 일반적인 청소년 스포츠영화에서 보여지는 다소 전형적인 구조를 가지고있다. 연출적인면이나 배우들연기 스토리등등 전체적으로 큰특징없이 무난한편. == 드라마 == [[파일:172751.jpg]] 2008년 4월부터 [[NHK]]에서 TV 드라마(전 10화)로 방영되었다. 특이한 점은 캐릭터들의 이름이 전부 바뀌었다. 실제 일본의 전 프로 야구선수이자 야구 해설자인 고마다 노리히로가 출연하였다. == 애니메이션 == ||<-5> '''[[노이타미나]] 방영작''' (2016년 3분기) || || [[갑철성의 카바네리#둘러보기]] || → || '''배터리''' || → || [[배를 엮다/애니메이션|배를 엮다]] || ||<-2>
{{{#373a3c,#dddddd '''{{{+1 배터리}}}''' (2016)[br]バッテリ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news.ameba.jp/o07261024main-2-726x1024.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dddddd 원작}}}''' ||[[아사노 아츠코]]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시무라 타카코]] || || '''{{{#373a3c,#dddddd 감독}}}''' ||<|3>[[모치즈키 토모미]] || || '''{{{#373a3c,#dddddd 각본}}}'''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2>쿠사마 히데오키(草間英興) || || '''{{{#373a3c,#dddddd 총 작화감독}}}''' || || '''{{{#373a3c,#dddddd 프롭 디자인}}}''' ||요코타 카즈히코(横田和彦)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사카키에다 토시유키(榊枝利行) || || '''{{{#373a3c,#dddddd 색채 설계}}}''' ||후루카와 아츠시(古川篤史)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카와이 아사미(川井朝美) || || '''{{{#373a3c,#dddddd 편집}}}''' ||우츠노미야 마사키(宇都宮正記) || || '''{{{#373a3c,#dddddd 음악}}}''' ||[[센쥬 아키라]] || || '''{{{#373a3c,#dddddd 음악 제작}}}''' ||후지 퍼시픽 뮤직 || || '''{{{#373a3c,#dddddd 총괄}}}''' ||마츠자키 요코(松崎容子)^^[[후지 테레비]]^^ || || '''{{{#373a3c,#dddddd 프로듀서}}}''' ||키무라 마코토(木村 誠)^^[[후지 테레비]]^^[br]니와 마사미(丹羽将己)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사키카와 유키야(先川幸矢)[br]미야기 유메노(宮城夢乃)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Zero-G(애니메이션 제작사)|Zero-G]] || || '''{{{#373a3c,#dddddd 제작}}}''' ||애니 「배터리」 [[제작위원회]]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6년 7월|2016. 07. 15.]] ~ 2016. 09. 23.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br](금) 00:55 || || '''{{{#373a3c,#dddddd 스트리밍}}}''' ||[[프라임 비디오]]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2분 || || '''{{{#373a3c,#dddddd 화수}}}''' ||11화 || || '''{{{#373a3c,#dddddd 시청 등급}}}''' ||정보 없음 || || '''{{{#373a3c,#dddddd 관련 사이트}}}''' ||[[http://battery-ani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attery_anime, 크기=25)] || }}}}}}}}}}}} || [[애니메이션/2016년 7월|2016년 7월]], [[노이타미나]] 시간대로 방영되었다. [[NO.6(소설)/애니메이션|NO.6]]에 이은 [[아사노 아츠코]] 작품의 두 번째 애니메이션화이다. 감독은 [[모치즈키 토모미]]이며, [[우치야마 코우키]], [[무라세 아유무]], [[이시카와 카이토]], [[사이토 소우마|사이토 소마]] 등 은근히 [[하이큐!!|하이큐]] 성우진들이 많이 캐스팅 되었다. BD/DVD 초동 판매량은 1500여장으로 집계되었다. === 공개 정보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nkbf906Utw,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2kNTY4bAOk8, width=100%)]}}} || || '''티저 PV 제2탄''' ||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いつかの自分}}}'''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anderlust。 || || '''작사''' ||<|2>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br]코시노 안나(越野アンナ) || || '''작곡''' || || '''편곡''' ||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쿠라야 료이치]] || || '''연출''' || || '''작화감독''' || 야마시타 토시나리(山下敏成) || || '''총 작화감독''' || 쿠사마 히데오키(草間英興)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1 ==== ||<-2>
'''{{{#373a3c,#dddddd ED1[br]明日、春が来たら}}}'''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anderlust。 || || '''작사''' || 사카모토 유지(坂元裕二) || || '''작곡''' || 히나타 다이스케(日向大介) || || '''편곡''' ||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나카무라 료스케]] || || '''연출''' || || '''일러스트''' || [[호소이 미에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2 ==== ||<-2>
'''{{{#373a3c,#dddddd ED2[br]若者のすべ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anderlust。 || || '''작사''' ||<|2> 시무라 마사히코(志村正彦) || || '''작곡''' || || '''편곡''' || 코바야시 타케시(小林武史)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나카무라 료스케]] || || '''연출''' || || '''일러스트''' || [[호소이 미에코]]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 전화 각본: [[모치즈키 토모미]] * 전화 총 작화감독: 쿠사마 히데오키(草間英興)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프라임 비디오]] 스트리밍판을 기준으로 한다.]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出会いの日[br]처음 만난 날 ||<|2> [[모치즈키 토모미]] || 스즈키 카오루[br](鈴木 薫) || 요코타 카즈히코[br](横田和彦)[br]쿠사마 히데오키[br](草間英興) || 2016.07.15. || || 제2화 || 池のほとり[br]연못에 던진 공 || 우츠노미야 마사키[br](宇都宮正記) || 나카하라 키요타카[br](中原清隆) || 2016.07.22. || || 제3화 || いさかい[br]다툼 ||<-2> [[쿠라야 료이치]] || 후지타 마사유키[br](藤田正幸)[br]카와시마 나오[br](川島 尚) || 2016.07.29. || || 제4화 || グラウンドに立つ[br]지면 안 돼 || 오키타 미야나[br](沖田宮奈) || [[칸베 히로유키]] || 오노다 타카유키[br](小野田貴之) || 2016.08.05. || || 제5화 || 密室の出来事[br]잠긴 방의 사건 || 우에다 요이치[br](植田羊一) || 토노미즈 아츠코[br](殿水敦子) || 시바타 아츠시[br](柴田篤史)[br]나카하라 키요타카 || 2016.08.12. || || 제6화 || 強豪校への挑戦[br]강팀에 도전하라 ||<-2> [[카토 마코토]] || 모리 미유키[br](森 美幸)[br]카토 리카[br](加藤里香) || 2016.08.19. || || 제7화 || 対決の時[br]최후의 결전 || [[타카모토 요시히로]] || 후카세 시게루[br](深瀬 重) || 토쿠라 에이이치[br](徳倉栄一)[br]바바 카즈키[br](馬場一樹)[br][[이카이 카즈유키]] || 2016.08.26. || || 제8화 || 終わりの秋[br]가을의 결말 || 쿠마모토 타케시[br](熊本健士) || 우츠노미야 마사키 || 요코타 카즈히코[br]야마시타 토시나리[br](山下敏成)[br]카와시마 나오[br]모로이시 미유키[br](諸石美雪) || 2016.09.02. || || 제9화 || バックホーム[br]홈 송구 ||<-2> 쿠라야 료이치 || 후지타 마사유키[br][[미나미 신이치로]] || 2016.09.09. || || 제10화 || その日を再び[br]또다시 그날 ||<-2> 스즈키 카오루 || 오오모리 리에[br](大森理恵)[br]南雲紋[br]니시무라 모토히데[br](西村元秀)[br]키타무라 토모유키[br](北村友幸) || 2016.09.16. || || 제11화 || 二人の春[br]우리들의 봄 ||<-2> 모치즈키 토모미 || 나카하라 키요타카[br]나카타케 마나부[br](中武 学)[br]이카이 카즈유키 || 2016.09.23. || === 평가 === 그다지 크게 좋은 평가를 받진 못하고있다. 원작의 방대한 스토리를 짧은 시간안에 압축하려다 보니 전개성과 개연성이 다소 떨어지는 부분이 눈에 띈다는 평. 이 작품의 실패로 감독 [[모치즈키 토모미]]는 슬럼프가 찾아왔다며 잠시 업계 활동을 쉬게 되었다가 8년 뒤인 2024년에야 감독으로 복귀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배터리(소설), version=130)] [[분류:작품별 미디어 믹스]][[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야구 만화]][[분류:2005년 만화]][[분류:일본의 스포츠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야구 영화]][[분류:2007년 영화]][[분류:NHK 드라마]][[분류:소설 원작 드라마]][[분류:야구 드라마]][[분류:일본 학원 드라마]][[분류:2008년 드라마]][[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6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분류:야구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