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지속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虚無空間.jpg|width=100%]]||[[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VanitysEmptiness-THSF-EN-SR-1E.png|width=100%]]||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배너티 스페이스, 일어판명칭=虚無空間(ヴァニティー・スペース), 영어판명칭=Vanity's Emptiness,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덱 또는 필드에서 자신 묘지로 카드가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파괴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배너티]] 카드들 중 가장 채용율이 높았던 카드. '허무공간'이라 쓰고 '배너티 스페이스'라 읽는다. 몬스터의 특수 소환을 막는 강력한 효과가 있다. [[승령술사 조겐|다른]] [[파슬 다이너 파키세팔로|비슷한]] [[대천사 크리스티아|카드들]]과 달리 함정 카드라 일반 소환권을 안 쓰는 점도 큰 메리트. [[왕궁의 탄압]]처럼 자신이 특수 소환한 턴에도 세트할 수 있어서, 자신 턴에 대량 전개한 뒤 다음 상대 턴에 발동해 어드밴티지 차이를 벌릴 수 있다. 함정 카드라, 상대의 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마법 / 몬스터 효과의 발동에 체인해 발동해서 특수 소환을 막을 수도 있다. 하지만 덱 / 필드에서 자신 묘지로 카드가 1장이라도 넘어온 순간 자괴하는 게 문제. 몬스터가 아니라 카드이므로 일반 마법 카드 1장만 써도 곧바로 자괴하며, [[어드밴스 소환]] 역시 필드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므로 소환 후 자괴하며, 때문에 일반적인 덱이라면 1턴 정도밖에 못 쓴다. 따라서 이 카드의 자괴를 막아줄 수 있는 카드들과의 조합이 좋다. 대표적인 예로 [[첩자(유희왕)|백룡의 첩자]]를 들 수 있는데, 백룡의 첩자가 이 카드의 자괴를 막아주는 데다 상대의 [[싸이크론]]도 씹을 수 있게 만들어 주기에 오래 눌러앉아서 상대를 방해해 줄 수 있다. 여기에 [[안전지대(유희왕)|안전지대]]나 [[제왕(유희왕)|진격의 제왕]] 같은 거라도 추가로 씌워주면 어지간한 덱들로는 도저히 못 뚫는 필드가 형성된다. 또 [[차원의 틈]]이나 [[매크로 코스모스]]를 깔아도 어느 정도 안전하다. [[에일리언(유희왕)|에일리언]] 덱에선 우주요새 고르가의 효과로 자신의 턴에 배너티 스페이스를 자신의 패로 올릴 수 있기에 자괴 디메리트를 피하고 상대 턴에만 발동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과의 조합도 괜찮다. 패건갑충을 띄우고 이 카드를 발동 후 패건갑충의 효과로 이 놈을 지정하면, 패건갑충을 파괴하기 전까진 바운스 카드라도 쓰지 않는 이상 이 카드를 못 치운다. 패건갑충의 타점도 2500으로 무난한 편이라 일반 소환으로 나오는 몬스터론 처리하기 힘들다. 뽑을 수 있는 덱이 한정되지만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와의 조합도 나쁘지 않다.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무효화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는 취급이 아니므로 자괴 효과와 인연이 없고,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를 격파할만한 몬스터는 특수 소환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에 서로가 서로를 보호해줄 수 있다. 물론 [[유령토끼]] 한방에 뚫리긴 하지만... 1턴 안에 엄청난 전개력을 보이면서 일반 소환을 거의 안 하는 덱은 이 카드와 상성이 최악이다. 대표적인 예시가 융합 소환을 많이 하는 [[섀도르]]나 의식 소환 위주로 전개를 하는 [[네크로즈]], 제외 후 특소 위주로 운영하는 [[Kozmo]]. 이런 류의 덱들은 몬스터 효과로 거의 모든 걸 다 하는 구조인지라 마법 / 함정 카드를 파괴하는 카드를 잘 안 넣어 이 카드가 뜨면 파괴하기도 난감하다. 자괴가 쉽다는 점을 이용해 [[라이트로드]]에서 쓸 수도 있다. 상대 턴에 발동한 후 자신 턴에서 [[빛의 원군]] 또는 라이트로드 어쌔신 라이덴의 효과를 발동해 이 카드를 파괴하고 [[저지먼트 드래곤]]으로 피니시하는 방법. 이 카드는 처음 나왔을 땐 거의 쓰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다 [[정룡]]의 시대가 오면서 본격 특수 소환을 막는 카드들이 애용되면서 이 카드도 점차 쓰이기 시작한 것. [[싸이크론]]이라도 안 맞는 이상 적어도 1번은 특수 소환을 막을 수 있고, 자괴 효과를 이용해 자기 마음대로 치우기 쉽다는 점에서 점차 채용률이 올라갔다. 그 덕분에 1장이 400원에 팔아도 안 사던 게 갑자기 10배인 4000원으로 가격이 올라가기도 했다. [[골드 시리즈]] 2014에 재록됐는데, 골드 레어와 골드 시크릿 레어 사양뿐이라 봉입률이 안 좋았다.[* 한글판과 달리, 일어판은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에서도 [[노멀 레어]]로만 나와서 아주 비싼 몸을 자랑했다.] 이후 [[더 레어리티 컬렉션]]에도 재록됐다. 그리고 [[펜듈럼 소환|펜듈럼]] 몬스터군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가 등장하면서 채용율이 크게 올라갔다. 펜듈럼 몬스터는 룰 상 묘지로 보내지지 않고 엑스트라 덱으로 돌아가므로 자괴 없이 오랫동안 이 카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마침 클리포트는 일반 소환이 자주 활용되는 덱인지라 발군의 시너지를 자랑한다. 덕분에 클리포트 덱에선 [[스킬 드레인]]과 함께 이 카드를 3장 채용하기도 했다. 클리포트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덱들도 다른 탑 티어 덱들을 견제하기 위해 투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2015년 4월 OCG, TCG 모두 제한이 됐다. 이 카드의 제재로 인해 클리포트는 1회 휴식이나 기존에 잘 안 넣었던 [[강제 탈출 장치]] 등의 다른 메타 카드들을 더 추가해서 운영해야 하는 형태가 됐다. 그리고 TCG에선 마법 / 함정을 발동하기가 어려운 환경 문제 때문인지 2017년 3월 31일에 금지가 됐다. OCG는 오랫동안 제한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범용적으로 쓰이는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와 [[용사(유희왕)|용사]]의 [[용사(유희왕)#방랑의 그리폰라이더|그리폰라이더]][* 본인을 덱으로 되돌리면서 퍼미션을 걸기 때문에 배너티 스페이스가 자괴하지 않는다.]가 결정타가 되어 2022년 7월에 OCG에서도 금지로 지정되었다. 저 두 카드가 아니더라도 [[@이그니스터]]에서 [[참기(유희왕)#괴참기 달랑베르시안|괴참기 달랑베르시안]]을 경유해 본 카드를 서치해 오는 빌드가 연구되는 등 이 카드를 손쉽게 꺼내올 수 있는 방법들이 하나둘씩 고안되고 있었고, [[왕궁의 칙명]]이 에라타를 받고도 다시 금지로 올라간 시점에서 이 카드의 금지행 역시 언젠간 닥칠 일이었다는 평가도 많았다. 이후 8월 31일에 마스터 듀얼에서도 금지되었다. [[DD(유희왕/카드군)|DD]]와도 호궁합인데,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의 효과로 자신 턴엔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한 뒤 자기만 왕창 특수 소환하고 상대 턴엔 그대로 특수 소환을 막을 수 있다. 상대 턴에 자괴할 것 같으면 그냥 무효화 효과를 써서 자괴를 회피하면 그만. 아니면 오봉의 계약서를 이용해도 된다. 이쪽은 덤으로 상대의 다른 함정 카드까지 막아준다. 1가지 주의할 점은, 이 카드의 자괴 효과는 지속 효과가 아니라 엄연히 강제로 ‘발동하는’ 효과다. 예를 들어 1. 플레이어A가 [[죽은 자의 소생]] 발동. 2. 플레이어B가 죽은 자의 소생에 체인해 배너티 스페이스 발동. 3. 플레이어A가 배너티 스페이스에 체인해 싸이크론 발동. 이때 플레이어A가 '어차피 배너티 스페이스는 자괴하니 상대의 다른 마법 / 함정이나 파괴해야지' 라고 생각해 다른 마법 / 함정을 파괴하면 3. 싸이크론 효과 처리로 배너티 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마법 / 함정 파괴. 2. 배너티 스페이스의 효과 처리로 특수 소환 불가 상태가 된다. 1. 죽은 자의 소생 처리, 배너티 스페이스가 발동해서 특수 소환 불가.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지만 이 카드의 자괴 효과가 적용되는 것 역시 특소 불가 상태가 되는 체인 2(이 카드가 발동했을 때)이다. 따라서 체인 3에서 싸이크론으로 다른 마함을 파괴하면 이 카드의 자괴 효과가 생기기 이전에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것이므로 이 카드는 자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저렇게 다른 마법 / 함정을 파괴하면 특수 소환도 못하고 이 카드도 못 파괴한다. 다만 이 카드를 발동한 플레이어 B가 같은 체인 선상에서 먼저 마법 / 함정을 발동했을 경우, 예를 들어 1. 플레이어 B가 [[격류장]] 발동. 2. 플레이어 A가 격류장을 막기 위해 [[스타라이트 로드]]를 발동. 3. 플레이어 B가 스타라이트 로드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에서 나올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막기 위해 배너티 스페이스 발동. 이런 상황엔 효과로 스타라이트 로드의 소환 효과가 막히고, 그와 동시에 격류장이 무효화되어 묘지로 보내지므로 체인 처리를 끝낸 후 강제 발동으로 이 카드가 자괴된다. 복잡한 체인 시스템을 알 수 있는 좋은 예다. [[유희왕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 쓸 수 있는데, 관련 AI가 전무한지 자기 턴에 세트해두면 태그 파트너가 전개할 때 이 카드를 발동시켜서 자기 전개를 틀어막는 답답한 상황이 전개돼서 안 쓰는 게 좋다. 일러스트는 배너티 데블이 쓰고 있던 망토를 약간 걷어올린 모습. 어째선지 영판은 신체 부분이 [[탄압]]됐다. 알몸이 연상되기 때문인 모양.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7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 2014 || GS06-KR018 || [[골드 레어]][br][[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한국 || ||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2nd WAVE]] || 20AP-KR081 || [[노멀]] [[패러렐 레어]] || 한국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 || TRC1-KR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76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4 || GS06-JP018 || [[골드 레어]][br][[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더 레어리티 컬렉션|THE RARITY COLLECTION]] || TRC1-JP047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 20AP-JP081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EN07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253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트라이브 포스|The Secret Forces]] || THSF-EN059 || [[슈퍼 레어]] || 미국 || || == 관련 카드 == === [[배너티 데블]] === === [[대천사 크리스티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