龐羲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문관이자 사례 하남군 하남현 출신으로 딸은 유장의 아들 [[유순(삼국지)|유순]]의 부인이다. == [[삼국지(정사)|정사]] == [[유언(삼국지)|유언]], [[유장(삼국지)|유장]]의 옛 친구로 가문 단위로 서로 친하게 지내는 사이였다. 194년 유언이 [[마등]]과 [[한수(삼국지)|한수]] 편을 들어 첫째, 둘째 아들이 죽게 됐을 때 방희가 유장의 아들들을 데리고 촉으로 들어가 그들을 구하게 된다. 하지만 이 일로 유언은 슬픔을 못 이기고 결국 그 해에 죽어 유장이 뒤를 잇게 되고, 자신의 자식들을 구해준 방희를 유장은 후덕하게 대해주었다. 하지만 또 얼마있지 않아 한중의 [[장로(삼국지)|장로]]가 이탈하자, 유장은 장로의 모친과 동생을 죽이고, 방희를 시켜 장로를 공격하게 하지만 매번 패하자 방희를 파서태수로 임명해 장로의 공격에 방비하라고 시키게 된다. 그러나 권력이 강해지자 점점 오만하게 굴어 유장과의 사이는 오히려 더 나빠지게 된다. 200년엔 전란에 대비해 사병을 모으자 유장은 이것을 방희가 모반을 꾀한다고 생각해 격노하게 되고, 방희는 방희대로 화가 나서 반역을 할까 생각했지만 [[정기(삼국지)|정기]]에게 종족 출신의 병사를 요구했다가 거부당해 그와 싸우던 도중에 깨닫는 바가 있어 유장에게 사죄한다. 파서태수로 있을 때 집에 식객으로 [[등지(삼국지)|등지]]를 둔 일도 있었다. 214년에 유장이 [[유비]]에게 항복하자 자신도 항복해 내정적인 면에서 촉한의 기초를 닦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219년에 유비가 한중왕에 오르자 영사마의 직위로 여러 신하들과 함께 한나라 황제에게 표를 올린다. == [[삼국지연의|연의]] == 판본에 따라 방의(龐羲)로 잘못 기록되며, 파서태수가 되어 장로의 남하할 것에 대비해 211년에 장로가 남하할 준비를 하자 [[유장(삼국지)|유장]]에게 급보를 전했고 유장이 유비에게 항복한 후엔 유비를 섬긴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675-Pang-Xi.jp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79.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렇게 높지 않은 문관으로 가장 높은 정치도 70대에 머문다.[* 정작 일러스트에서는 무장하고 있다.] 다만 통솔이 60대라 전투에서도 그럭저럭 쓸만하다. 아직 방희가 활약하는 시기엔 능력치 좋은 장수들이 넘쳐나므로 효용도도 낮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64/42/66/72의 C급 문관. 제사, 혼란이 있지만 모략계 병법 숙련도가 0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59/38/69/74/65에 특기는 6개.(상업, 보수, 징병, 화시, 유인, 명사) 명사 특기가 있고 상업 특기도 있는지라 그래도 써먹을 곳이 있으니 잉여는 아니다. [[삼국지 12]]에서도 통솔 60 무력 38 지력 69 정치 74의 영 써먹기 힘든 능력치다.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도검을 쥔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편지를 꾸기고 있는데 아마 [[정기(삼국지)|정기]]에게 병사를 요청했다가 거부당하는 편지를 받고 분개하는 모습을 나타낸 듯 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1, 교섭 3. 전수특기는 교섭이고 전법은 주위공격.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38, 지력 68, 정치 74, 매력 62로 전작에 비해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인맥, 개수, 동원, 주의는 명리,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업화,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유언(삼국지 시리즈)|유언]], 혐오무장은 없다. 행동불능으로 만드는 혼란 전법이 있지만 지력이 낮다. [[삼국전투기]]엔 강릉 전투 편에서 [[습숙]]의 발언으로 딱 1마디 언급만 된다. 그것도 본명은 짤리고 '방장군'이란 호칭으로만 등장. 유장과 방 장군과의 사이가 틀어지는 등 익주 쪽이 살짝 시끄러웠다고 언급된다.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뤄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