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개 == [[날씨]]가 쾌청한 날에 발생하는 기온 하강 현상이다. 사실 방사냉각현상은 플랑크 법칙에 의해 모든 사물에서 [[복사#s-3|복사열]]이 빠져나가는 아주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기후|기후학]]에서는 온도 하강 현상을 설명할 때 주로 이야기한다. 이는 대기에서 온실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보통 태양 복사열은 지표면으로 내리쬔 후 전부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반사되어 우주공간으로 되돌아간다. 이 반사량을 비율로 나타낸 것을 [[반사율|알베도]]라고도 한다. 이 반사된 복사열은 전부 우주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구름 등에 의해 다시 흡수되고 대기 중에 고정되는데, 너무 맑은 날 + 눈 온 후에는 알베도가 매우 높아지면서 대기에서도 고정되는 태양열이 없이 모조리 빠져나가 버려, 결국 복사열을 못 받는 밤중과 같이 기온이 더욱 하강하게 된다. 이것의 정반대가 온실 효과와 열섬 효과. 경험칙적으로 한겨울의 경우 밤에 눈이 오거나 구름이 끼어서 흐린 날은 맑은 날에 비해 다음날 아침이 덜 추운 경우가 많다. 이는 습도가 높은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 외에도, 이는 눈이나 얼음 알갱이가 생길 때 나오는 승화열과 구름에 의한 방사냉각의 차단효과 역시 원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의 최근의 대표적인 사례는 [[2020년]] 4월, [[2022년]] 2월이 있다. 일조량이 매우 많고 맑았지만 정작 기온은 낮고 쌀쌀하여 [[이상 저온]] 현상을 보였다. ~~2020년의 경우 4월 하순에 패딩을 입고도 덜덜 떨면서 걸었다.~~ 2013년 7월, 2020년 8월, 2022년 6월, 2023년 9월은 그 반대의 현상을 보였다. 2020년에는 복사냉각이 약한 편이었다. 맑은 날씨로 고온이 심했지만 비교적 복사냉각이 활발한 2014~2019년과 다르게 위에서 서술한 4월과 달리 5월부터 대체로 흐려서 운량도 높았다. 특히 8월에는 최저기온이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 2020년 8월은 서울에서 '''21.5°C''' 밑으로 단 한번도 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대체로 구름이 많으면서도 낮에는 맑은 적도 많아서 6월과 11월은 일조시간이 많긴 했다. 물론 10월과 12월은 그래도 활발한 편이었다. 그러나 [[2021년]]으로 해가 바뀌면서 복사냉각이 활발해졌다. 2021년 1월의 경우 기온이 매우 떨어지기도 했다. 반면 낮에는 일사가 강해서 '''13.9°C'''까지 오르기도 했다. 결국 서울 1월 일교차가 9°C로 평년보다 상당히 컸다. 의외로 월교차가 작아서 묻히지만 [[2019년]] 1월 역시 일교차가 상당히 컸다. 이후에도 2021년 2~4월에도 복사냉각은 활발한 편이었으나 일사가 강해서 일교차가 매우 커서 고온이 더 심하다. 5월은 이상 저온에 잦은 비었으나 밤에는 복사냉각으로 맑았으며 6월도 복사냉각이 활발했다. 그러나 7월은 맑은 편이나 복사냉각이 비교적 약해서 열대야가 잦았다. 8월도 흐린 편이었으나 복사냉각이 밤에는 맑아서 잦았으며 9~10월 상순은 강하지는 않았으나 10월 중순부터는 복사냉각이 다시 강해졌다. [[2022년]]에도 1~2월에는 복사냉각이 활발했으며 4~5월도 다소 활발한 편이었지만 일사가 강한 편이라 이상 고온이 심했다. 그러나 통가 화산의 수증기로 여름 동안 복사냉각이 매우 약한 편이어서 기온이 떨어지지 않고 최저기온이 높고 [[이상 고온]]을 보였으나 흐린 편이다. 8월 28일을 제외하고는 복사냉각이 약한 편이었으나 9월 하순 동안에는 활발했다. 그리고 10월 중순~12월에도 복사냉각이 활발한 편이다. == 그 외 == 주로 분지 지형 및 [[푄 현상]]이 자주 일어나는 산간 지방에서 겨울에 자주 발생하며, 채소 등에 냉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상공보다 지표면 쪽이 온도가 더 내려가기 때문에 기온 역전 현상이 일어나 바람이 잦아들고 공기가 정체된다. 이는 안개, 서리나 공해와 함께 [[스모그]] 현상을 활발하게 만들어 준다. 이를 막기 위해 시설에선 송풍기 등을 이용해서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공기 정체를 예방한다. [각주] [[분류:기상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