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f0b10 0%, #ffffff 20%, #ffffff 80%, #df0b10)" {{{#002664 '''밥 러브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include(틀:시카고 불스 영구결번)]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31224_015658_Chrome.jpg|width=100%]]}}} || ||<-2> {{{#c8ab37 '''시카고 불스 No. 10'''}}} || ||<-2> {{{#fff '''{{{+2 로버트 얼 "버터빈" 러브}}} [br] Robert Earl "Butterbean" Love'''}}} || ||<|2> '''출생''' ||[[1942년]] [[12월 8일]] ([age(1942-12-08)]세) || ||[[루이지애나|루이지애나주]] 배스트롭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포지션''' ||[[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 || || '''출신학교''' ||서던 대학교 || || '''드래프트''' ||'''1965 NBA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33번 [br] [[새크라멘토 킹스|신시내티 로열스]] 지명''' || || '''소속팀''' ||트렌턴 콜로니얼즈 (1965~1966) [br] [[새크라멘토 킹스|신시내티 로열스]] (1966~1968) [br] [[밀워키 벅스]] (1968) [br] '''[[시카고 불스]] (1968~1976)''' [br] [[브루클린 네츠|뉴욕 네츠]] (1976~1977) [br] [[시애틀 슈퍼소닉스]] (1977) || || '''등번호''' ||9번 / '''10번''' / 21번 || ||
[[파일:1974-75-Bob-Love-Portrait-NBA-Photos.jpg|width=250]] || || '''{{{#FFFFFF 시카고 불스 영구결번}}}''' || || {{{#FFFFFF No. 10}}} || [목차] == 개요 == 전 미국의 농구선수. == 경력 == [[시카고 불스]]의 70년대를 [[제리 슬로언]]과 함께 책임졌던 포워드. 왼손과 오른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던 드문 선수로 루이지애나의 작은 학교에서 이름을 날렸지만 NBA에는 4라운드 33픽이라는 어마어마하게 낮은 픽으로 겨우 입성할 수 있었다. 신시내티 로얄스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던 러브는 EBL이라는 2군 리그에서 데뷔하게 되었고 이 곳에서 활약한 후에야 다시 NBA로 돌아올 수 있었다. 많은 시간을 뛰지 못하던 러브는 ABA와 NBA가 합병하면서 열린 확장 드래프트에서 밀워키 벅스에 지명되었는데 밀워키가 러브를 바로 시카고로 트레이드하면서 더 많은 시간을 보장받게 된다. 제리 슬로언과 시카고를 74-75시즌 동부 컨퍼런스 1위까지 이끌었지만 파이널까지는 다다르지 못했고 뉴저지 네츠와 시애틀 슈퍼소닉스에서 1시즌여를 더 뛴 후에 은퇴했다. 은퇴 이후에는 불스 프런트에 고용되어 시카고로 돌아왔다. 시카고 불스는 1978년 은퇴 이후 바로 제리 슬로언의 4번을 영구결번했지만 러브의 등번호는 오랫동안 영구결번하지 않아 10번을 달고 뛴 선수들은 몇 명 더 있었고 90년대 마이클 조던의 1차 쓰리핏 때는 [[B.J. 암스트롱]]이 10번을 달고 활약했다. 러브의 등번호는 1994년 영구결번되었다. 영구결번식은 시카고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이후 바로 옆에 [[유나이티드 센터]]가 지어졌다.]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배스트롭(루이지애나) 출신 인물]][[분류:1942년 출생]][[분류:1965년 데뷔]][[분류:1977년 은퇴]][[분류:NBA 영구결번 선수]][[분류:스몰 포워드]][[분류:밀워키 벅스/은퇴, 이적]][[분류:시카고 불스/은퇴, 이적]][[분류:브루클린 네츠/은퇴, 이적]][[분류:시애틀 슈퍼소닉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