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 || ||<-5><#FFCC33> '''[[23번 국가지원지방도|{{{#blue 23번 국가지원지방도}}}]]''' || || [[천안IC|{{{#gray 천안}}}]] {{{#gray 방면}}}[br][[대왕판교로|{{{#000000 대왕판교로}}}]] || {{{+1 ←}}} ||<:> {{{#000000 '''밤고개로''' }}}[br](세곡3교~[[수서IC]]) || {{{+1 →}}} || [[가양대교|{{{#gray 서울}}}]] {{{#gray 방면}}}[br][[양재대로|{{{#000000 양재대로}}}]] || [include(틀:강남구의 로)]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 서울시계로 부터 강남구 [[수서동]] 수서 IC 까지 이어지는 길이 3.5km의 왕복 6~8차로 [[도로]]이다. 전 구간이 [[23번 지방도]]에 속하며, 북쪽으로는 [[남부순환로]] 남쪽으로는 [[대왕판교로]]에 연결된다. 자곡사거리에서 세곡동 사거리로 넘어가는 고개에 밤나무가 많다하여 '''밤고개로'''라는 도로명이 붙었고, 도로가 지나는 [[율현동]] 역시 이곳에서 유래한 것. 성남시에서 강남구로 넘어가기가 수월하여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성남시, 나아가서 경기도에서 강남구로 바로 진입하는 몇 안되는 도로이다. 2020년까지는 유일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으나, 2020년 11월 율현동 자동차검사소 남쪽으로 [[탄천대교로]]가 개통되면서 깨졌다. 강남 쪽을 이어주는 대부분의 도로들은 다른 지역을 거친 뒤 경기도로 진출하는데 대표적으로 경부고속도로, 분당내곡로는 서울 서초구, 분당수서로나 성남대로는 서울 송파구로 넘어간 뒤 경기도로 들어간다. 서울 내에서 서울-성남 시경계에 접경한 서울 지역들이 강남과 [[복정역|연담화]]되어있거나 [[내곡동(서울)|그린벨트 지역]]으로 묶여 개발되지 않은 탓에 모르는 경우가 많다. 2001년까지 속도 제한 60km/이었지만 2002년부터 70km/h로 상향되었다. 그러나 2016년 하반기, 수서IC~세곡동사거리 구간은 안전속도 5030 시범 운영으로 70→60km/h로 하향되었고, 2019년 12월 20일까지 순차적으로 하향된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 안전속도 5030 시행 대상에 같이 포함되어 60→50km/h로 하향되었다.세곡동사거리~세곡3교 구간은 2020년 6~7월 즈음에 아스팔트 재포장 공사가 진행되면서 속도 제한 도로노면표시 및 표지판 시설물이 교체되면서 70→50km/h로 하향되었다. 2022년 11월부터 전 구간이 50→60km/h로 상향되었다. == 연계 도로 == === 주요 교차로 목록 === ||<-5>
<#C8C8C8> '''[[남부순환로]]''' 직결 || || '''[[양재대로]]'''[br][[강남순환로]], [[양재동]], [[과천시|과천]] 방면||←|| '''[[수서IC]]''' ||→||'''[[양재대로]]'''[br][[가락동(서울)|가락동]], [[둔촌동]], [[고덕동(서울)|고덕동]] 방면 || || '''[[광평로]]'''[br][[일원동]], [[영동대로]] 방면||←|| '''[[수서역]]교차로''' ||→||'''[[중대로]]'''[br][[가락시장]], [[오륜동]] 방면 || || '''[[자곡로]]'''[br]세곡지구 방면||←|| '''자곡사거리''' ||→||'''[[자곡로]]'''[br][[가든파이브]], [[새말로]] 방면 || || 밤고개로26길[br]방죽마을 방면||←|| (이름없음) ||→||밤고개로27길[br]세곡2지구 방면 || || '''[[헌릉로]]'''[br][[내곡동(서울)|내곡동]], [[강남대로]] 방면||←|| '''세곡동사거리''' ||→||'''[[헌릉로]]'''[br][[복정역]]. [[위례신도시]] 방면 || ||<-5> '''세곡3교(세곡천)''' || ||<-5><#C8C8C8> '''[[대왕판교로]]''' 직결 || === 대체도로 === 수서 IC에서 남쪽 방향으로는 진행시, [[탄천동로]] 또는 강남자동차거래단지 옆에 난 왕복 4차로 일반도로[* [[헌릉로]] 757길]로 우회가 가능하다. 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갈 때는 탄천동로를 이용해서 끝까지 갈 수 없다. [[중대로]]와 교차하는 사거리에 직진 신호가 없기 때문이다. [[복정교차로]] ↔ 수서 IC 간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 로 우회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헬게이트]]로 일부러 갈 필요는 없다. == 주변시설 == * [[수서역]] * LH 더그린 : LH보금자리 주택 전시관 * [[세곡동]] 주민센터 == 확장계획 == 밤고개로는 [[서울특별시]] 도로 중 손꼽히는 '''상습정체''' 구간이다. 강남에서는 최악의 헬게이트라 할 만하다. [[성남시]]에서 [[대왕판교로]]를 통해 서울특별시로 진입하는 차량도 많을 뿐더러, 도로 연선에 5만여명 규모의 세곡2보금자리 주택지구, 강남보금자리 주택지구 개발 사업이 이루어졌지만 교통 계획이 제대로 수립되지 못했기 때문. [[수서역]] 교차로에서 [[광평로]] → [[남부순환로]] 방향 진입하는 교통량과 수서역 교차로 버스정류장 혼잡이 곁들여져 자곡사거리 → 수서역 교차로는 확장 전엔 헬 오브 헬이었다. 그런데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개통에 대비한 교수마을까지의 도로 확장이 되자, 이젠 세곡동사거리 → 자곡사거리 구간이 문제가 되었다. 출근시간대, 세곡동사거리 → 자곡사거리 → 수서역 교차로 약 3km 구간 소요시간은 20~30분. (빠른 걸음으로 걸어가면 15분 쯤 걸린다!)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교차로 구간에 왕복 6차로 → 왕복 8차로 확장 공사가 2020년 5월에 완공되었다. == 기타 == [[분류:강남구의 도로]][[분류:23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