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러시아군 총참모장)] ---- ||<-2> '''제7대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장[br]제4대 특수군사작전 지역 통합군 사령관[br]{{{+1 발레리 바실리예비치 게라시모프}}}[br]Валерий Васильевич Герасимов[br]Valery Vasilyevich Gerasimov''' || ||<-2>{{{#!wiki style="margin: -5px -10px" [[https://i.namu.wiki/i/1JB7Ir7qvEQVKuCRwhu3rxTX-8-WBrwF7sSJzleJfs1hXGoLXLWYl2EZ0vPh8ArGWjhMfzho81Unf3JHb1lng0kZc2pQ8UQlF9suAy7EVXqDAcuDWmra6qbFpbiA-vmNXZkeTW4-oT7mES8HchuX7A.webp|width=100%]]}}} || ||<|2> '''출생''' ||[[1955년]] [[9월 8일]] ([age(1955-09-08)]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타타르 ASSR]] [[카잔(러시아)|카잔]][br](現 [[러시아]] [[볼가 연방관구]] [[타타르스탄 공화국]] [[카잔(러시아)|카잔]]) || ||<|4> '''재임기간''' ||특수군사작전 지역 통합군 사령관 || ||[[2023년]] [[1월 11일]] ~ [[7월 8일]]||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장 || ||[[2012년]] [[11월 9일]] ~ [[현직]] || ||<|4> '''복무''' ||[[소비에트 지상군]] || ||[[1976년]] ~ [[1991년]] || ||[[러시아 육군]] || ||[[1992년]] ~ 현재 || || '''계급''' ||[[중령]] ,,(소비에트 지상군),,[br][[대장(계급)|대장]] ,,(러시아 육군),, || || '''서훈 내역''' ||[[러시아 연방 영웅]][br]성 게오르기 훈장 || || '''참전''' ||[[제2차 체첸 전쟁]][br][[시리아 내전]][br][[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군인. 2012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장]] 겸 제1국방부 차관, 즉 러시아의 최고위 현역 장성이다. == 생애 == 1955년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타타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잔에서 태어났고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카잔 수보로프 사관학교를 나온 뒤 1977년까지 카잔 고등전차지휘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77년 카잔 고등전차지휘학교를 졸업한 뒤 극동군관구에서 [[소대장]]으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1991년, 소련군이 해체되면서 러시아군으로 자동 편입됐고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수료 후에 모스크바군관구 부사령관을 맡았다. [[제2차 체첸 전쟁]] 당시 북캅카스군관구를 맡았고 전쟁에 참전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승리의 날 퍼레이드 지휘를 맡았다. 블라디미르 푸틴이 총리에서 대통령으로 복귀한 직후인 2012년 11월에 러시아군 총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1955년생 동갑내기 [[세르게이 쇼이구]] 현 국방장관도 같은 시기에 임명되었고, 두 사람은 현재까지 러시아 군부의 대표격으로 활약 중이다. [[파일:external/s2cdn.joomag.com/31.jpg]]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가 적극적인 정치-군사적 개입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가리켜 '[[https://en.wikipedia.org/wiki/Gerasimov_doctrine|게라시모프 독트린]]'(Gerasimov Doctrine)이라고 주장하기도 할 정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미국 재무부]]의 제재 리스트에 올랐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2261810001|기사]] 우크라이나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해 전선이 동부에 국한되어 지지부진해지자 그가 해임되었다는 설까지 나돌았다. 2022년 3월 초 [[프랑스군]] [[합동참모의장]]과 전화 통화를 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므로 낭설이었던 모양. 4월 말에는 게라시모프가 러시아 연방군의 우크라이나 동/남부 공세를 지휘하기 위해 직접 현장으로 급파되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https://m.mk.co.kr/news/world/view/2022/04/381595|#]] 역시 사실 여부는 확인되지는 않았다. 2022년 5월 1일 [[뉴욕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군 총참모장 발레리 게라시모프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위험한 최전방 진지를 다녀온 건 맞지만 우크라이나군이 그를 공격할 틈은 없었다고 우크라이나 고위관리가 언급했다. 미국 관리들 역시 게라시모프가 지난 며칠간 우크라이나 동부에 머물렀던 것은 사실이며 이는 전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언급했다.[[https://www.nytimes.com/2022/05/01/world/europe/russian-general-dead-valery-gerasimov.html?referringSource=articleShare|#]] 2023년 1월 12일, 특수군사작전 지역 통합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57620?sid=104|#]] [[세르게이 수로비킨]]이 임명된 지 3개월만인데, 수로비킨은 우크라이나군의 가을공세 때 위기에 처한 러시아군을 여러 군데서 미리 철수시켜 전선을 안정화시킨 공이 있기때문에 조금 의외라고 할 수 있다. 수로비킨은 공군 담당 부사령관으로 내려왔다. [[바그너 그룹]]의 대표인 [[예브게니 프리고진]]으로부터 [[바흐무트 전투]] 중 탄약 공급을 제대로 안한다는 이유로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과 함께 비난을 받고 있다. 결국 러시아 군부와 [[바그너 그룹]]의 갈등은 [[바그너 그룹 반란]]으로 폭발하였고, [[예브게니 프리고진]]은 [[세르게이 쇼이구]] 장관과 게라시모프 총참모장 등 군부에 대한 축출을 천명했다. 하지만 쿠데타가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의 중재로 일단락되며 게라시모프 역시 자리를 보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특수군사작전 지역 통합군 사령관직에서 해임되었다. 후임으로 [[미하일 테플린스키]] 공수군 사령관이 임명되었다.] 보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https://m.yna.co.kr/view/AKR20230710137800108?section=international/all|#]] == 진급 이력 == * 2005년 2월 22일: [[상장(계급)|상장]] * 2013년 2월 20일: [[대장(계급)|대장]] == 기타 == 2016년 방산품 시찰 도중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rm&no=738566|군용 차량의 손잡이가 부숴지자 눈이 휘둥그레]]해지는 사진이 찍혔다.[* 무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까지 봤다. 머쓱한 셰브첸코 중장은 덤.] 기혼자로 아내와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현재 [[장교]]로 복무 중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에는 [[우크라이나군]]이 발레리 게라시모프를 존경했고 심지어 [[발레리 잘루즈니]] 총사령관도 존경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57620?sid=104|#]] 하기야 전쟁 전까지는 서방 진영에서도 그를 '하이브리드 전쟁'(혹은 '게라시모프 독트린')의 창시자로서 두려움과 경외감을 나타냈을 정도였다. [[분류:1955년 출생]][[분류:카잔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군인]][[분류:러시아 연방 영웅]][[분류: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영웅]][[분류:대조국공훈훈장 3등급 수훈자]][[분류:대조국공훈훈장 4등급 수훈자]][[분류:소련의 군인]][[분류:러시아 연방군 총참모부 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