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include(틀:발더스 게이트 3)] ||<-2>
{{{#b18d61,#b18d61 '''{{{+1 발더스 게이트 3}}}'''[br]Baldur's Gate II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aldursGate3_February2023.jpg|width=100%]]}}} || || '''개발''' ||<|2>[[라리안 스튜디오|[[파일:175px-Larian_Studios_Logo_2012.png|width=60]]]] || || '''유통''' || || '''플랫폼''' ||[[PlayStation 5|[[파일:PlayStation 5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5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GOG|[[파일:GOG.com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GOG.com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장르''' ||[[턴제 게임|턴제]] [[RPG]] || || '''출시''' ||'''얼리 액세스'''[br]2020년 10월 6일[br]'''정식 발매'''[br]2023년 8월 3일[* [[https://twitter.com/larianstudios/status/1601041944989212673?cxt=HHwWgoCpmdLKhbgsAAAA|#]] 2023년 8월 31일에서 조기 발매로 결정되었다. [[https://steamcommunity.com/app/1086940|#]] ][br]'''PS5'''[br]2023년 9월 6일[* 2023년 8월 31일에서 발매 연기로 결정되었다. [[https://steamcommunity.com/app/1086940|#]]][br]'''Xbox Series X|S''' [br]발매 예정[* 개발 중[[https://www.reddit.com/r/BaldursGate3/comments/11ax9pa/a_note_on_baldurs_gate_3_for_xbox/|#]]] || || '''엔진''' ||디비니티 엔진 || ||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 정식 지원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간체중국어, 번체중국어, 스페인어, 라틴아메리카식 스페인어, 터키어, 브라질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우크라이나어 13개 언어로 결정되었다. [[https://steamcommunity.com/app/1086940|#]]] || || '''심의 등급''' ||미정 || || '''관련 사이트''' ||[[https://baldursgate3.gam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6]]]] |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086940/Baldurs_Gate_3/|[[파일:스팀 아이콘.svg|height=26]]]] | [[https://www.gog.com/en/game/baldurs_gate_iii|[[파일:GOG.com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GOG.com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목차] [clearfix] == 개요 == [[라리안 스튜디오]]가 개발한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의 3번째 작품. 리메이크판을 제외한다면 19년만에 출시되는 후속작이다. [[Advanced Dungeons & Dragons#s-3|AD&D 2nd]] 룰을 채용한 기존 시리즈와는 달리 [[Dungeons & Dragons 5th|D&D 5th]] 룰을 채용했으며, 실시간/정지 방식이 아닌 턴제 전투 방식을 택했다.[[https://www.pcgamesn.com/baldurs-gate-3/dungeons-and-dragons-fifth-edition|#]]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NY7AEQ59-8)]}}} || || 오프닝 시네마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OWGnC3h9WQ)]}}} || || 2022 게임 어워드 트레일러 - 출시일 공개 || == 시스템 요구 사항 == ||<-3>
'''{{{#b18d61 시스템 요구 사항}}}''' || || '''{{{#b18d61 구분}}}''' || '''{{{#b18d61 최소 사양}}}''' || '''{{{#b18d61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2> [[Windows 10]]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4690[br]AMD FX 4350 || Intel Core i7-8700K[br]AMD Ryzen 5 3600 || || '''메모리''' || 8 GB RAM ||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970[br]AMD Radeon RX 480[br]4 GB+ of VRAM || NVIDIA GeForce RTX 2060 Super[br]AMD Radeon RX 5700 XT[br]8 GB+ of VRAM || || '''API''' ||<-2> DirectX 11, [[Vulkan(API)|Vulkan]] 1.1 || || '''저장 공간''' ||<-2> 150 GB SSD || 2023년 2월 24일, 정식 출시 전에 사양을 다시 한 번 올렸다. 현재 메모리 누수로 인해 게임을 장시간 플레이하거나 특정 지역에 가면 프레임 드랍이 생기는 이슈가 있다. 이 경우 게임을 아예 껐다 켜면 해결된다. == [[발더스 게이트 3/출시 전 정보|출시 전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더스 게이트 3/출시 전 정보)] == [[발더스 게이트 3/게임 관련 정보|게임 관련 정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더스 게이트 3/게임 관련 정보)] == 평가 == ===# 얼리 액세스 #=== 개발사 라리안의 전작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의 장점을 그대로 가져온 넓은 오픈 월드와 다양한 퀘스트 해결법, 그리고 전보다 훨씬 더 발전한 그래픽, 모션 캡쳐를 통해 향상된 3인칭 시점 대화와 컷신 연출 --그리고 [[베드신|섹스]]--[* 취소선을 치긴 했지만 캐릭터와의 호감 상호 작용도 TRPG 장르에서는 게임에 재미를 더하는 중요한 요소인만큼 종족이나 성별을 초월한 관계를 가질 수 있는 점도 호평을 받는다.] 등이 호평받는다. 여기에 패치가 점점 진행될수록 스토리의 엉성한 부분도 조금씩 개선되고 다듬어지는데, 새로운 직업들도 추가되다보니 각 종족/직업에 걸맞는 특수 대화문/컷씬이 유저들의 대호평을 받고 있다. 주인공이 롤쓰 드로우라는 이유만으로 인성 쓰레기 취급을 받고, 착한 일을 해도 "저게 미쳤나 왜 착한 척을 하지?"라는 반응을 보인다거나, 주인공이 바바리안처럼 특정 성향에 치우친 직업을 고른다면 다른 캐릭터라면 문제없이 흘러갈 이벤트에서 '''분노를 참지 못해 주사위를 굴려가며 참아야 하는''' 재미있는 요소들이 가득하다. 즉 클래스 판타지를 충족시켜주는데 이점을 더했는데, 개발사의 전작인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도 특정 종족/출신별로 전혀 다른 스토리라인을 즐길 수 있었다. 그러한 롤플레잉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한 취향저격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작과 달리 강제 이벤트로 인한 주사위 굴림에 실패하더라도 무조건 안좋은 흐름으로 가는 것도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야기 선택지문을 통해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해주는 옵션이 있으며, 그렇게 플레이어가 의도적으로 파국으로 치닫지 않는 이상 게임이 일부러 "모르면 죽어라." 식으로 몰아붙이지 않다 보니 RP 유저 입장에선 다양한 대화문을 즐기기 위해서라도 일부러 주사위 실패를 기대하는 것도 유튜브에서 쉽사리 볼 수 있다. 소위 "선택의 다양성"을 밀어붙이는 스토리 게임의 역사를 뒤져보면 겉보기에만 그럴싸한 선택지를 쥐어줄뿐 [[매스 이펙트 시리즈|"어차피 깊이있고 좋은 엔딩은 선 성향이고]] [[디스아너드|악 성향은 성의가 없다."]]라는 비판이 많았다. 그런 비판 이후로 게임 개발사들은 점점 "멋지고 독특한 악 성향 스토리"들을 만드는데 집중했는데 이 게임은 그 점을 잘 살려낸 것으로 호평받고 있다. 하지만 얼리 액세스인 만큼 진행에 차질이 되는 버그가 다수 존재한다. 또 디비니티에서 그대로 가져온 불편한 체인 시스템[* 쇠사슬로 파티원들끼리 서로 묶거나 따로 움직일 때 사용하는 시스템을 여전히 쓰는데 이것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유저가 생각보다 많다.]이나 원소 상호작용 등 기존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보다는 오히려 디비니티와 더 유사한 디테일 때문에 '이게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3이지 무슨 발더스 게이트 3이냐'고 혹평하는 의견도 다수 있다. 특히 90년대 [[발더스 게이트]] 팬덤을 필두로 [[TRPG]], [[D&D]] 쪽 팬층이 가장 반발이 심한데, 이는 논란 부문에 후술한다. 얼리 액세스는 베타테스트를 하는거니까 게임이 한참 뒤에 출시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이 게임의 경우 그게 너무 늦어서 팬들이 질려하고 있다. 기존에 문제가 있었던 시스템, UI, D&D룰의 작동성을 개선하는건 두손 들고 환영할 일이지만 직업 하나 새로 내겠다고 대형 패치를 매번하고 그걸 트레일러로 만들어 홍보하는건 처음 드루이드, 소서러나 괜찮지 이후에 나온 바바리안, 바드가 나올 때쯤엔 팬들이 기다리다가 지쳐 떨어질 지경에 이르렀다. 바바리안이랑 바드의 직업 만족도가 낮은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새 직업, 종족이 플레이어블로 나올 때마다 게임 스토리의 진행방향이 전혀 새로운 방향으로 열리기 때문에 즐길 컨텐츠는 엄청 늘어난다. 2022년 12월 TGA를 통해 2023년 8월 정식 버전 발매를 공언하면서 팬들의 기나긴 기다림이 드디어 끝날 기미를 보이는 중이다. 또한, 정식 발매가 되면 얼리 액세스를 구매한 유저들은 자동적으로 디지털 딜럭스 등급으로 업그레이드가 되어[* 정식 발매 이후 디지털 딜럭스 업그레이드는 11000원에 판매한다.] 다양한 특전들을 얻을 수 있다. === 정식 출시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플랫폼''' || '''메타스코어''' ||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5|{{{#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5, code=baldurs-gate-3, bgcolor=6c3, score=)]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5, code=baldurs-gate-3/user-reviews, bgcolor=6c3, score=)]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PC|{{{#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baldurs-gate-3, bgcolor=6c3, score=9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baldurs-gate-3/user-reviews, bgcolor=6c3, score=9.2)]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 시리즈|{{{#fff XBS}}}]]}}}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baldurs-gate-3, bgcolor=66cc33, score=)]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baldurs-gate-3/user-reviews, bgcolor=66cc33, score=)]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9136, title=baldurs-gate-3, rating=mighty, average=97, recommend=100)] [include(틀:평가/Steam, code=108694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3, count=119\,567, rating2=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2=95, count2=62\,362, date=2023-08-15)] 정식 발매 1주일 전 리뷰어들에게 줘야 할 리뷰 카피가 2~3일 전까지 전달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점수를 매긴 메타크리틱 리뷰 수가 정식 발매 일주일이 지나고도 단 18개에 불과할 정도로 표본이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이며 발매가 2주가 된 시점에서도 메타크리틱 측은 30개, 오픈크리틱 측은 40개 정도뿐이다. 이러한 "대작" 게임들의 리뷰 수는 적어도 100개를 넘긴다는 것을 생각하면 꽤나 적은 수치의 리뷰 수이지만, 그럼에도 평단과 유저들을 가리지 않고 오랜 기간 개발한 정성이 느껴진다며 호평하는 평가가 상당수이며 리뷰가 늦어지는 이유도 방대한 컨텐츠를 모두 플레이하며 검토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현재까지 2023년에 발매된 게임들 중 [[메타크리틱]] 점수가 가장 높다. [[https://www.metacritic.com/browse/games/score/metascore/year/all/filtered?sort=desc|#]] 추가적인 결제 따윈 일절 없을 것이라고 못박은 점이 많은 게이머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고, 시간에 쫓겨 엉성한 마무리를 보인 근래의 여러 AAA급 게임과 다르게 출시부터 상당한 완성도와 안정성을 보여준 것과 기존에 발표한 개발 과제를 거의 충족한 점 등이 고평가되고 있다. 또한 게임의 재미를 해칠 수 있는 과금 메시지나 스킨샵 같은 게임 외적인 수익구조 시스템을 완전히 배제하고 오롯이 게임 그 자체에 모든것을 투자한 덕분에 플레이어가 온전히 게임 속에 매몰되어 일탈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는 점도 큰 호평을 들었다. 이 또한 AAA급 게임과 크게 비교가 되며 플레이어들과 리뷰어들의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게임플레이의 자유도와 상호작용이 기가 막히다는 평이 많다. 예로 적과 즉시 전투로 돌입할 수도 있고, 또는 거짓말로 슬슬 굴려서 상황을 유리하게 만든 다음 처리하거나, 아예 파티 멤버들을 따로 멀리 배치하고 암살 타겟을 코너링하여 궁지로 몰 수도 있다. 유튜브에 있는 영상들만 봐도 적들을 처리하는 영상들이 정말 가지각색이다. 예를 들자면 암살 타겟을 죽이고, 죽은 자와 대화(Speak with the Dead) 스킬을 사용해서 방금 죽인 타겟과 대화하면 죽은 타겟이 화를 낸다.[* 이러한 상호작용과 반응성은 [[폴아웃]] 클래식과 [[아케이넘]] 같은 소수의 CRPG들이 선보였던 특징인데, 이를 방증하듯 라리안에서는 지금의 라리안을 있게 해준 게임 중 하나로 [[폴아웃 2]]를 고른 전적이 있다. [[https://twitter.com/larianstudios/status/988508935438192641|#]]] [[라리안 스튜디오]] 항목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게임이 허용하는 시스템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서 목표를 달성해 플레이어에게 재미를 주었다면 그것이 얼마나 골때리고 말이 안 되든, 개발자들은 그 한도 내에서 플레이어들이 마음껏 놀 수 있도록 해주고 싶었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 있다. 또한 발더스 게이트 3를 통해 [[CRPG]] 또는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를 접하는 새로운 팬들과 올드비의 커뮤니케이션 또한 굉장히 호의적이라 게임 커뮤니티 또한 현 상황에 대해 굉장히 환영하고 있다. == 흥행 == 정식 출시 후 2023년 8월 6일 기준 최대 동시접자수를 첫날 47만 명부터 계속 갱신해 무려 [[https://www.reddit.com/r/gaming/comments/15jxibp/baldurs_gate_3_surpasses_800000_concurrent_players/?utm_source=share&utm_medium=web2x&context=3|80만 동접자]]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서양 메이저인 액션 어드벤처 장르와 동떨어진 [[턴제 게임]]이 동접자 80만을 찍자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표했다. 게다가 PC판의 가히 폭발적인 반응 때문인지 PS5 버전의 예약구매 마저 폭발적으로 [[https://www.gamesradar.com/baldurs-gate-3-is-now-a-best-selling-pre-order-on-ps5/|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엑박 팬들에게는 안타깝게도 현재 듀얼 스크린 모드가 [[엑스박스 시리즈 S]]에서 문제를 일으켜 엑박 버전의 출시일이 늦게 나올 가능성이 점차 커지면서, 콘솔시장에선 [[https://www.engadget.com/why-baldurs-gate-iii-is-an-accidental-ps5-console-exclusive-200521291.html|플스5 버전이 본의 아니게 콘솔 유효기간 독점이 되어버릴 가능성이 크다는 기사]]도 나왔다. 많은 게이머가 흥행 요소로 꼽은 점중 하나는, 2000년대 이전의 그 때 그 시절처럼 '''한 번만 구매하면 바로 재밌게 플레이할 수 있을 정도로 컴팩트한 패키지 게임'''을 표방했다는 것. 제작진들은 얼리 액세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피드백을 적극 수용하면서 몇 년 동안 게임을 고치고 또 고치며 출시 시점까지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몰입도 면에서도 [[JK 시몬스]], [[매튜 머서]], [[제이슨 아이작스]] 등 쟁쟁한 성우/배우들을 기용하는 노력을 보여 주었다. 2010년대 이후 게임업계에서는 [[배틀 패스]], [[시즌 패스]], [[DLC]] 등 '''먼저 발매하고 그 후에 고치는 게임(Release it first, Fix it later)'''이 대세가 되었으며 이에 피로감을 느끼는 게이머들이 늘어난 만큼, 이는 어마어마한 장점이다. 8월 13일 기준, 81만명의 최대동접자를 또다시 갱신, 87만에 육박하며 순항중이다. == [[발더스 게이트 3/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더스 게이트 3/논란)] == 한국어 번역 == 개발사가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 당시 유저 번역을 공식 번역으로 채택해줬던 사례가 있어서 개발사가 한국 시장에 관심이 생긴 만큼 이번에는 공식 한국어화가 성사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유저들의 기대가 있었으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g3&no=10695|문의 결과]]에 따르면 차후 상황에 따라 추가될 수는 있지만 현 시점에서 공식 한국어화 예정은 없다고 한다. 발매 전 공개 자료에 의하면 결국 정식 버전에서도 공식 한국어화는 없는 것으로 확정되었다.[[https://steamcommunity.com/app/1086940|#]] 타사의 [[Starfield(게임)|스타필드]] 때와는 달리 한국에서도 이해한다는 반응이 많은 편인데 애초에 한국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가 인기가 없는 편이고 [[CRPG]]라는 장르도 워낙 호불호가 갈리다 보니 마니아들 정도밖에는 없는 게 현실이다. 더군다나 [[라리안 스튜디오]]부터가 그렇게 규모가 큰 스튜디오가 아니다보니 한국어 현지화를 못해도 이해해주는 분위기다. CRPG 중 가장 많이 팔렸다는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조차 500만 장 정도로 타 AAA 게임들이 말하는 1000만 장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은 [[H2 인터렉티브]]가 PS4판의 한국어화를 해줬으나 판매량이 별로 좋지 못했다고 하며 그래서인지 이후로는 한국어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후속작인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는 게임 출시 후 유저 한국어패치를 개발사가 직접 정식으로 공인해준 거지, 개발사나 유통사가 직접 번역을 해준 건 아니다. 바꿔 말하면 이번에도 출시 후 유저 한국어 패치를 정식으로 공인해줄 가능성은 있다는 이야기다. 발더스 게이트 3 마이너 갤러리[[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bg3|#]]에서 얼리 액세스부터 유저 번역과 기계 번역을 혼합한 유저 한국어 패치를 꾸준히 작업하여, 정식 출시 이후에는 8월 7일자 기준 100% 패치를 배포하고 있다(얼리 액세스 분량까지는 손번역 100%, 이후 기계번역). 기계번역의 문제점 중 하나인 고유명사 처리가 들쭉날쭉한 부분만큼은 어느 정도 해결이 된 상태로, 꽤나 플레이할 만하다는 평가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bg3&no=19464|#]] 물론 어디까지나 기계 번역은 기계 번역일 뿐이기에 손번역이 이루어지지 않은 2장부터는 눈치껏 알아먹어야 하는 기계번역의 한계를 느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어떤 인물을 찾아라는 퀘스트가 어떤 인물을 검색하라고 나온다. Search를 검색으로 번역한 것. 또 어떤 인물을 해방하라는 퀘스트는 무료 OOO(Free OOO)으로 나온다.] 눈치껏 원문을 추측해서 올바른 내용을 파악한다고 해도 뜬금없는 단어나 존댓말 사용으로 인해 게임의 분위기를 심각하게 해치니 이런 부분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이면 진행하기 힘들 수도 있다. 중요한 악역을 만나 웅장한 BGM이 흐르며 심각한 분위기로 대화하고 있는데 막상 대사 자막은 전부 왈도체로 나오면 몰입이 매우 깨진다.[* 번역진에서도 당연히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기에, 손번역+기계번역과 손번역+미번역 버전을 따로 배포하는 중이다. 2장 이후 나오는 왈도체를 보기보단 차라리 영어로 하는 게 낫다면 후자를 선택하면 된다.] == 기타 == * 발더스 게이트 3 출시를 앞두고 Strange Scaffold의 Xalavier Nelson Jr.가 '이 게임은 이례적으로 좋은 환경과 기회를 타고난 게임이니 다른 게임을 평가할 때 이 게임을 기준으로 삼아선 안된다.'는 식의 [[https://twitter.com/WritNelson/status/1677632079792668673?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677632079792668673%7Ctwgr%5E3bba640040eae826e4f2b646e255081e43276f3c%7Ctwcon%5Es1_&ref_url=https%3A%2F%2Fgameworldobserver.com%2F2023%2F07%2F12%2Fbaldurs-gate-3-new-standard-for-rpg-genre-opinions|트윗]]을 올렸는데, 많은 AAA급 게임 개발자들이 이에 동의하자 AAA급 게임 개발사의 여러 적폐에 신물이 난 게이머들이 '더 많이 팔았으면서도 과금에 찌들어있는 자식들이, 죽었다 깨어나도 이 정도 게임 하나 못 만들까 봐 게임 나오기도 전에 도망갈 핑계 대는 거냐?'같이 신랄하게 [[https://preview.redd.it/6ipygid9fxhb1.jpg?width=960&crop=smart&auto=webp&s=445f644cee79e76f82a4197e54d4a4459cbc21c8|깠다.]] 원 트윗의 논지는, 발더스 게이트 3가 2017년부터 시작되어 오랜 개발기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디비니티 시리즈를 통한 오랜 개발 노하우의 축적, 성공적인 얼리 액세스를 통한 풍부한 피드백과 개발자금 공급, 7개의 사무실과 400명의 개발자를 자랑하는 개발력, 그리고 D&D라는 초메이저급 엔터테인먼트 IP 등등의 여러 좋은 조건이 이러한 게임을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이는 쉽사리 모이기 힘든 조건이라는 것이었다. 틀린 말은 아닌 것이, 인디 개발사들은 게임 개발 과정에 있어서 간섭하는 사람이 없으니 자율성은 보장되어도 자금 문제 때문에 개발 기간을 오래 갖기가 힘들고, 개발 노하우도 길지 못하며 인원 수도 적어서 라리안 스튜디오급 개발 역량을 갖추기가 어렵다. 그리고 AAA급 게임회사는 반대로 자금이나 인원 등의 개발력은 넉넉하나, 주로 경영권을 가진 경영자나 주주들의 '수익성이 애매한 독창성 강한 게임'보다는 '안정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검증된 게임'의 추구성 때문에 개입의 여지가 많고, 이 때문에 독창적인 게임을 만들기가 어렵다. 그러나 라리안 스튜디오는 훌륭한 개발력, AAA 게임사 못지 않게 장기 개발이 가능한 여건[* 개발자는 절대로 다다익선이 아닌 직종이지만, 대규모의 인원을 운용할 경우 버그 수정이나 피드백 반영, 테스트에 있어서 막대한 이득을 보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런 관점에서 450여 명을 운영하는 라리안을 보면 절대로 작은 회사가 아니란 걸 알 수 있다.] 등,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개발력을 갖추고 있으며, 매 타이틀을 만들 때마다 회사를 무너지기 직전까지 몰아가는데도 개발에 간섭할 사람조차 없으니 정말 좋은 환경과 기회를 타고난 게임이 맞긴 하다. 문제는 저게 게임 개발사로써 경솔한 행동이라는 것. 인디 개발사들, 그리고 거기 특성에 들어맞는 해당 트윗 게시자는 저렇게 하고 싶어도 정말로 여건이 안 되니 '''못'''하는 게 맞지만, 다른 AAA 개발사들은 아무리 득달을 받는다 해도 결국 충분히 여건이 되는 건 맞는데 '''안'''하고 있는 상황에 더 가깝다는 것이다. 그런데 저 의견에 동조했다는 건 마치 '우리가 못난 게 아니라, 라리안 스튜디오가 특출난 것일 뿐이다'라는 식으로 자신들의 실책을 회피하려는 행동으로 비추어진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대로 그들은 높으신 분들이 까라는대로 깔 수 밖에 없으니 그들 나름대로의 고충이 있는 것도 사실이나, 저 의견에 동조하는 모양새가 자신들의 진짜 문제점인 그런 부분들에 대한 비판은 일절 묻어둔 채 '유명 IP 채용'[* [[https://www.youtube.com/watch?v=GRwU4YdJ1MA|게다가 이 IP 라이센스도 [[라리안 스튜디오]]가 거금을 지불해 구입한 거였고, 이 때문에 '펀딩을 받았느니'같은 개소리 말라고 라리안 스튜디오 직원이 한 마디해야 했다.]]], '성공적인 얼리엑세스' 같이 자기 입맛에만 맞는 항목들만 선택적으로 취사해서 동조하는 등, 영 좋지 못한 방향으로만 의견을 내니 욕을 먹는 것이다. 즉 '시도해보지도 않고 과금 요소에만 얽혀사는 자신들은 여전히 변하지 않을 거지만, 게이머 너희들은 저런 운이 좋은 케이스만 보지 말고 눈높이를 좀 낮춰야 한다'라고 말한 거나 다름없는 것. 심지어 그 말많고 탈많은 '''[[IGN]]'''마저 "발더스 게이트 3의 성공에 다른 게임 개발사들도 좋은 점을 본받아 성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데, 게임의 퀄리티보단 [[과금|다른 곳]]에 치중하지 않았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https://www.youtube.com/watch?v=iWdZhKFtxKg|취지의 비디오를 업로드했고]] "발더스 게이트 3의 성공으로 인해 게임 시장의 퀄리티가 더 좋아진다면, 그것은 개발자나 게이머 모두에게 이로운 일이다"라고 평했다.[* IGN은 리뷰어 논란이 많지만 웬만하면 대형 퍼블리셔의 게임을 폄하하는 비디오를 업로드하지 않는다. 하지만 해당 영상에선 [[디아블로 4]]의 실망스런 시즌 1, [[데스티니 2]]의 전설의 "개발인력이 없다." 발언까지 서슴없이 깠다. 이걸 듣고 게이머들 또한 '[[고장 난 시계도 하루에 두 번은 맞는다 |오죽하면 IGN에서 옮은 말 하냐]]' 며 거들었고, 유튜버 [[Cr1TiKaL]]도 IGN이 이런 옳은 말을 했다는 거 자체가 기적이라며 해당 영상을 보러 [[https://www.youtube.com/watch?v=2OJJJ-1Q904|가라고 크게 동의했다]].] * [[파일:dad1.png]] 게임 오프닝 메뉴에서 잠시 기다리면 바알 문양의 석문을 열고 나오는 캐릭터 중 하나가 [[라리안 스튜디오]] 의 CEO [[https://www.reddit.com/r/BaldursGate3/comments/15ki8xd/ceo_of_larian_sven_vincke_added_himself_to_the/|스벤 빈케(Sven Vincke)임이 밝혀지며]] 큰 웃음을 주었다. * 발매 기념으로 D&D Beyond 사이트에 오리진 캐릭터들의 캐릭터 시트가 무료공개되었다. 읽어 보면 캐릭터들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디지털 디럭스 판을 구매하면 해당 캐릭터 시트들의 고품질 파일을 받을 수 있다. * 얼리 액세스부터 존재한 캐릭터들 중 일부가 [[커맨더 레전드: 발더스 게이트 전투]]에서 전설적 생물로 등장한다. 등장 캐릭터는 오리진 캐릭터 6명과 할신, 카그하, 제블로어, 라파엘, 고블린 무리의 지도자 3명이다. == 관련 문서 == *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 [[Dungeons & Dragons 5th]]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version=425, paragraph=13)] [[분류:발더스 게이트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