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오뉴 반야심경 팝.gif|width=100%]] || ||<-2>
{{{#ffffff '''{{{+2 [ruby(般若心経, ruby=はんにゃしんぎょう)]ポップ}}}'''[br](Heart Sutra Pop, 반야심경 팝)}}} || || '''가수''' || [[하츠네 미쿠]] || || '''원본''' || [[반야심경]] || || '''작곡가''' ||<|2> [[오뉴]] || || '''조교자''' || || '''페이지''' || [[http://www.nicovideo.jp/watch/sm11982230|[[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 2010년 9월 3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반야심경 팝([ruby(般若心経, ruby=はんにゃしんぎょう)]ポップ)은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작곡가는 오뉴P. 2010년 9월 3일 [[니코니코 동화]]에 업로드되었다. 2011년 1월 29일에 100만재생 돌파. [[VOCALOID 전설입성]]에 성공하였다. --백만명이나 성불시켰다.-- == 상세 == [[불경]] 중 하나인 [[반야심경]]에다 팝적인 [[음악]]을 붙인 곡. 일본식 PV는 한냐G가 담당. 당시에 이 노래의 영향력이 엄청나서, 굉장한 속도로 전당 진입을 하는가 하면, 거기다 파생영상도 계속 쏟아져서 전에 없던 출가 붐이 일어났다. [[니코니코 동화]]에서 [[9월 3일]] おにゅうP가 조교한 [[하츠네 미쿠|미쿠]]의 반야심경 팝 이후 대공해시대[* 大空海時代(다이 쿠카이 지다이) 쿠카이는 이 팝버전 PV에 나오는 노란 옷의 스님으로 일본에 처음 [[밀교]]를 전한 스님이다.] 열풍을 불러오면서 여러 p들이 어레인지를 해서 올리고 있다.(…) 해당 어레인지에는 '''포교음악, 뿜었으면 성불''' 등 다양한 태그가 붙었다. 아래의 가사는 사실상 [[반야심경]]과 같다. 종파에 따라 읽는 법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참고용 정도로만 이해하자.[* 정확히는 종파에 따라 제목부분의 발음이 다르다. 참고로 쿠카이가 창시한 [[진언종]]의 경우 동일한 음조로 제목을 읽는다.] 아래의 가사에서 검은 부분은 [[조계종]] 등 [[한국]] [[불교]]에서는 독송하지 않는 부분이다. ~~처음과 끝부분만 독송하지 않는부분이다~~ ~~안치행의 [[http://www.youtube.com/watch?v=ju3f5PJ5s-M&feature=player_embedded|반야심경 힙합]]과는 상관없...을 거다~~ == 달성 기록 == || * 2010년 9월 5일에 [[VOCALOID 전당입성]] * 2011년 1월 29일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4년 8월 28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22년 7월 8일에 300만 재생 달성[* 니코니코 동화 코멘트 기록으로부터 역산 추정.] ||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11982230)] == 미디어 믹스 == === 앨범 수록 === * [[EXIT TUNES PRESENTS Vocalonexus feat. 하츠네 미쿠]] - 컴필레이션 앨범([[EXIT TUNES]], 2011년 1월 19일) ||<|5>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ocalohistory.jpg|width=177]]]]}}} || '''번역명''' || [[EXIT TUNES PRESENTS Vocalohistory feat. 하츠네 미쿠]] || || '''원제''' || EXIT TUNES PRESENTS Vocalohistory feat.初音ミク || || '''트랙''' || Disk 2, 13 || || '''발매일''' || 2017년 3월 15일 || || '''링크''' || [[http://exittunes.com/detail/qwce-00627.html|[[파일:EXIT TUNES 아이콘.png|width=24]]]] [[http://vocalohistor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amazon.co.jp/dp/B01N34IA21|[[파일:아마존닷컴 아이콘.svg|width=24]]]] [[http://www.nicovideo.jp/watch/sm30783225|[[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tItfOS5TI_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가사 == ||
'''{{{#ffffff [ruby(仏説, ruby=ぶっせつ)]}}}''' || || '''붓세츠''' || || '''불설''' || || || || {{{#ffffff [ruby(摩, ruby=ま)][ruby(訶, ruby=か)][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ruby(多, ruby=た)][ruby(心, ruby=しん)][ruby(経, ruby=きょう)]}}} || || 마카한냐하라미타신교- || ||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 일체를 초월하는 지혜로 피안에 도달하는 가장 핵심되는 부처님의 말씀. || || || || {{{#ffffff [ruby(觀, ruby=かん)][ruby(自, ruby=じ)][ruby(在, ruby=さい)][ruby(菩, ruby=ほ)][ruby(薩, ruby=さつ)] [ruby(行, ruby=ぎょう)][ruby(深, ruby=しん)][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っ)][ruby(多, ruby=た)][ruby(時, ruby=じ)] [ruby(照, ruby=しょう)][ruby(見, ruby=けん)][ruby(五, ruby=ご)][ruby(蘊, ruby=うん)][ruby(皆, ruby=かい)][ruby(空, ruby=くう)] [ruby(度, ruby=ど)][ruby(一, ruby=いっ)][ruby(切, ruby=さい)][ruby(苦, ruby=く)][ruby(厄, ruby=やく)]}}} || || 간지자이보사츠 교-진한냐하라밋타지 쇼-켕고웅카이쿠- 도잇사이쿠야쿠 || ||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 ||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 오온이 모두 텅 빈 것을 비추어 보고 모든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 || || || {{{#ffffff [ruby(舍, ruby=しゃ)][ruby(利, ruby=り)][ruby(子, ruby=し)] [ruby(色, ruby=しき)][ruby(不, ruby=ふ)][ruby(異, ruby=い)][ruby(空, ruby=くう)] [ruby(空, ruby=くう)][ruby(不, ruby=ふ)][ruby(異, ruby=い)][ruby(色, ruby=しき)] [ruby(色, ruby=しき)][ruby(即, ruby=そく)][ruby(是, ruby=ぜ)][ruby(空, ruby=くう)] [ruby(空, ruby=くう)][ruby(即, ruby=そく)][ruby(是, ruby=ぜ)][ruby(色, ruby=しき)] [ruby(受, ruby=じゅ)][ruby(想, ruby=そう)][ruby(行, ruby=ぎょう)][ruby(識, ruby=しき)] [ruby(亦, ruby=やく)][ruby(復, ruby=ぶ)][ruby(如, ruby=にょ)][ruby(是, ruby=ぜ)]}}} || || 샤리시 시키후이쿠- 쿠-후이시키 시키소쿠제쿠- 쿠-소쿠제시키 주소-교-시키 야쿠부뇨제 || ||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 || 사리자여, 물질이 빈 것과 다르지 않고 빈 것이 물질과 다르지 아니하며, 물질이 곧 비었고 빈 것이 곧 물질이니, 감각과 생각과 행함과 의식도 모두 이와 같다. || || || || {{{#ffffff [ruby(舍, ruby=しゃ)][ruby(利, ruby=り)][ruby(子, ruby=し)] [ruby(是, ruby=ぜ)][ruby(諸, ruby=しょ)][ruby(法, ruby=ほう)][ruby(空, ruby=くう)][ruby(相, ruby=そう)] [ruby(不, ruby=ふ)][ruby(生, ruby=しょう)][ruby(不, ruby=ふ)][ruby(滅, ruby=めつ)] [ruby(不, ruby=ふ)][ruby(垢, ruby=く)][ruby(不, ruby=ふ)][ruby(淨, ruby=じょう)] [ruby(不, ruby=ふ)][ruby(増, ruby=ぞう)][ruby(不, ruby=ふ)][ruby(減, ruby=げん)]}}} || || 샤리시 제쇼호-쿠-소- 후쇼-후메츠 후쿠후조- 후조-후겡 || ||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 || 사리자여, 모든 법이 텅 빈 모습은 나지도 죽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고 늘지도 줄지도 않으니, || || || || {{{#ffffff [ruby(是, ruby=ぜ)][ruby(故, ruby=こ)] [ruby(空, ruby=くう)][ruby(中, ruby=ちゅう)][ruby(無, ruby=む)][ruby(色, ruby=しき)] [ruby(無, ruby=む)][ruby(受, ruby=じゅ)][ruby(想, ruby=ぞう)][ruby(行, ruby=ぎょう)][ruby(識, ruby=しき)]}}} || || 제코 쿠-추-무시키 무주소-교-시키 || ||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 || 그래서 공 가운데는 물질도 없고, 감각과 생각과 행함과 의식도 없으며, || || || || {{{#ffffff [ruby(無, ruby=む)][ruby(眼, ruby=げん)][ruby(耳, ruby=び鼻)][ruby(舌, ruby=せっ)][ruby(身しん)][ruby(意, ruby=い)] [ruby(無, ruby=む)][ruby(色, ruby=しき)][ruby(声, ruby=しょう)][ruby(香, ruby=こう)][ruby(味, ruby=み)][ruby(触, ruby=そく)][ruby(法, ruby=ほう)] [ruby(無, ruby=む)][ruby(眼, ruby=げん)][ruby(界, ruby=かい)] [ruby(乃, ruby=ない)][ruby(至, ruby=し)] [ruby(無, ruby=む)][ruby(意, ruby=い)][ruby(識, ruby=しき)][ruby(界, ruby=かい)]}}} || || 무겡니비젯싱이 무시키쇼-코-미소쿠호- 무겡카이 나이시 무이시키카이 || ||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 || 눈, 귀, 코, 혀, 몸, 뜻도 없고 색, 소리, 향기, 맛, 촉각, 법도 없으며, 시야의 경계도 없고 및 의식의 경계도 없으며, || || || || {{{#ffffff [ruby(無, ruby=む)][ruby(無, ruby=む)][ruby(明, ruby=みょう)] [ruby(亦, ruby=やく)][ruby(無, ruby=む)][ruby(無, ruby=む)][ruby(明, ruby=みょう)][ruby(尽, ruby=じん)] [ruby(乃, ruby=ない)][ruby(至, ruby=し)] [ruby(無, ruby=む)][ruby(老, ruby=ろう)][ruby(死, ruby=し)] [ruby(亦, ruby=やく)][ruby(無, ruby=む)][ruby(老, ruby=ろう)][ruby(死, ruby=し)][ruby(尽, ruby=じん)]}}} || || 무무묘- 야쿠무무묘-징 나이시 무로-시 야쿠무로-시징 || ||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 || 어리석음도 없고 어리석음이 다함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없고 늙고 죽음이 다함도 없으며, || || || || {{{#ffffff [ruby(無, ruby=む)][ruby(苦, ruby=く)][ruby(集, ruby=しゅう)][ruby(滅, ruby=めつ)][ruby(道, ruby=どう)] [ruby(無, ruby=む)][ruby(智, ruby=ち)] [ruby(亦, ruby=やく)][ruby(無, ruby=む)][ruby(得, ruby=とく)] [ruby(以, ruby=い)][ruby(無, ruby=む)][ruby(所, ruby=しょ)][ruby(得, ruby=とく)][ruby(故, ruby=こ)]}}} || || 무쿠슈-메츠도- 무치 야쿠무토쿠 이무쇼토쿠코 || ||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 || 고통과 집착과 소멸과 도를 깨침도 없으며, 앎이 없기 때문에 얻을 것도 없으며, 얻을 바가 없기 때문에, || || || || {{{#ffffff [ruby(菩, ruby=ぼ)][ruby(提, ruby=だい)][ruby(薩, ruby=さつ)][ruby(埵, ruby=た)] [ruby(依, ruby=え)][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っ)][ruby(多, ruby=た)][ruby(故, ruby=こ)]}}} || || 보다이사츠타 에한냐하라밋타코 || ||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 || 보살은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므로 || || || || {{{#ffffff [ruby(心, ruby=しん)][ruby(無, ruby=む)][ruby(罣, ruby=け)][ruby(礙, ruby=げ)] [ruby(無, ruby=む)][ruby(罣, ruby=け)][ruby(礙, ruby=げ)][ruby(故, ruby=こ)] [ruby(無, ruby=む)][ruby(有, ruby=う)][ruby(恐, ruby=く)][ruby(怖, ruby=ふ)] [ruby(遠, ruby=おん)][ruby(離, ruby=り)][ruby(一, ruby=いっ)][ruby(切, ruby=さい)][ruby(顚, ruby=てん)][ruby(倒, ruby=どう)][ruby(夢, ruby=む)][ruby(想, ruby=そう)] [ruby(究, ruby=く)][ruby(竟, ruby=ぎょう)][ruby(涅, ruby=ね)][ruby(槃, ruby=はん)]}}} || || 신무케게 무케게코 무우쿠후 온리잇사이텐 도-무소- 쿠교-네항 || ||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일체전도몽상 구경열반 || || 마음에 걸리는 것이 없고, 걸리는 것이 없으므로 두려움도 없어 모든 거꾸러진 몽상을 멀리하여 열반에 든다. || || || || {{{#ffffff [ruby(三, ruby=さん)][ruby(世, ruby=ぜ)][ruby(諸, ruby=しょ)][ruby(仏, ruby=ぶつ)] [ruby(依, ruby=え)][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っ)][ruby(多, ruby=た)][ruby(故, ruby=こ)] [ruby(得, ruby=とく)][ruby(阿, ruby=あ)][ruby(耨, ruby=のく)][ruby(多, ruby=た)][ruby(羅, ruby=ら)][ruby(三, ruby=さん)][ruby(藐, ruby=みゃく)][ruby(三, ruby=さん)][ruby(菩, ruby=ぼ)][ruby(提, ruby=だい)]}}} || || 산제쇼부츠 에한냐하라밋타코 토쿠아노쿠타라산먀쿠산보다이 || || 삼세제불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 || 삼세의 모든 부처들이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 || || || {{{#ffffff [ruby(故, ruby=こ)][ruby(知, ruby=ち)] [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っ)][ruby(多, ruby=た)] [ruby(是, ruby=ぜ)][ruby(大, ruby=だい)][ruby(神, ruby=じん)][ruby(呪, ruby=しゅ)] [ruby(是, ruby=ぜ)][ruby(大, ruby=だい)][ruby(明, ruby=みょう)][ruby(呪, ruby=しゅ)] [ruby(是, ruby=ぜ)][ruby(無, ruby=む)][ruby(上, ruby=じょう)][ruby(呪, ruby=しゅ)] [ruby(是, ruby=ぜ)][ruby(無, ruby=む)][ruby(等, ruby=とう)][ruby(等, ruby=どう)][ruby(呪, ruby=しゅ)]}}} || || 코치 한냐하라밋타 제다이진슈 제다이묘-슈 제무조-슈 제무토-도-슈 || || 고지 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 || 그러므로 알지어다. 반야바라밀다는 크고 신령한 주문이요, 크고 밝은 주문이요, 가장 높은 주문이요, 비할 바 없는 주문이요, || || || || {{{#ffffff [ruby(能, ruby=のう)][ruby(除, ruby=じょ)][ruby(一, ruby=いっ)][ruby(切, ruby=さい)][ruby(苦, ruby=く)] [ruby(真, ruby=しん)][ruby(実, ruby=じつ)][ruby(不, ruby=ふ)][ruby(虚, ruby=こ)] [ruby(故, ruby=こ)][ruby(説, ruby=せつ)][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蜜, ruby=みっ)][ruby(多, ruby=た)][ruby(呪, ruby=しゅ)] [ruby(即, ruby=そく)][ruby(説, ruby=せつ)][ruby(呪, ruby=しゅ)][ruby(曰, ruby=わつ)] }}} || || 노-조잇사이쿠 신지츠후코 코세츠한냐하라밋타슈 소쿠세츠슈와츠 || ||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 || 모든 고통을 덜어낼 수 있어 진실하고 허망하지 않으니,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말하자면 곧 이러하다. || || || || {{{#ffffff [ruby(揭, ruby=ぎゃ)][ruby(諦, ruby=てい)][ruby(揭, ruby=ぎゃ)][ruby(諦, ruby=てい)] [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揭, ruby=ぎゃ)][ruby(諦, ruby=てい)] [ruby(波, ruby=は)][ruby(羅, ruby=ら)][ruby(僧, ruby=そう)][ruby(揭, ruby=ぎゃ)][ruby(諦, ruby=てい)] [ruby(菩, ruby=ぼ)][ruby(提, ruby=じ)][ruby(娑, ruby=そ)][ruby(婆, ruby=わ)][ruby(訶, ruby=か)]}}} || || 갸테-갸테- 하라갸테- 하라소-갸테 보지소와카 ||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한국 불교에서는 '아제 아제~모지사바하'까지를 3번을 반복 독송한다.] || || 가자 가자 넘어 가자, 모두 넘어가서 깨달음을 이루자 || || || || '''{{{#ffffff [ruby(般, ruby=はん)][ruby(若, ruby=にゃ)][ruby(心, ruby=しん)][ruby(経, ruby=ぎょう)]}}}''' || || '''한냐신교''' || || '''반야심경''' || == 커버 == === 반야심경 락 === * [[http://www.nicovideo.jp/watch/sm11998050|반야심경 락]] [nicovideo(sm11998050)] ==== 달성 기록 ==== || * 2014년 3월 24일 [[VOCALOID 전설입성]] || === 그외 === * [[http://www.youtube.com/watch?v=Rxw548XhMQI|하드코어]] [[http://blog.naver.com/victory209/30093227391|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kmyOepM4SRY|밴드커버버전]] * [[http://youtu.be/CSZZyYw_XI0|애니판 OP 버전]](...) * 8비트 버전 * [[http://blog.naver.com/victory209/30093227391|발라드 버전]] * [[http://www.nicovideo.jp/watch/sm12037793|R&B 버전]] * 테크노 버전 * [[http://www.nicovideo.jp/watch/sm12002316|사이키델릭 트랜스(...) 버전]] * 라우드 락 버전 * 엘렉트릭 버전 * 디스코 버전 * [[http://youtu.be/UjxlmPOoDzE|댄스홀레게 버전]] * [[https://www.youtube.com/watch?v=kvFQcmGJl0Y|와가쿠(和楽) 버전]]~~미쿠가 염불~~ * [[https://www.youtube.com/watch?v=WihMGnqUUfM|시유 한국어 버전]] * 메탈하드 업그레이트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vXlRLirPFLw|귀테러 주의!(…)]] * [[https://www.youtube.com/watch?v=oIwjhYSwH8M|샨곰 버젼]] * [[https://www.youtube.com/watch?v=JRG9QwqSS34|스챠가 뭔지는 모르겠다]] ~~듣고 싶은 장르로 [[윳쿠리|느긋하게 성불해보라구!]]~~ ~~그나저나 은근히 중독성있는 하드코어 버전~~ == 기타 == [[파일:오뉴 반야심경 팝 의역 짤방.png]] 반야심경 현대어 번역이라고 돌아다니는 짤의 원천이 사실 이 반야심경 팝에서 유래한 것이다. 보컬로이드판 UCC에 현대 일본어로 번역한 가사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 하나를 한국어로 다시 중역하여 다듬은 것.[* 바로 위에 있는 반야심경 락의 일명 ''''노란색 선배(黄色先輩)'''라고 불리는 사람이 올리는 자막이 바로 해당 내용이다.] 그러니만큼 다소 해석이 편의주의적이다. 그런데 일단 '''도저히 중역한 것 만으로 내용이 저렇게 바뀔 수 있는지 의심스러운 자의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사실상 아래의 내용은 반야심경의 '번역'이라고 보기 어렵다. [[반야심경]] 원문에 없는 내용이 많이 나오기도 하며, 초월을 말하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내용에서 [[허무주의]]적 색채가 짙기 때문에 별로 불교적인 내용조차 아니다. 따라서 아래의 내용이 반야심경의 의역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 조금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본 위키의 [[반야심경]] 문서의 번역을 읽거나 위키백과의 번역을 읽는 것을 추천한다.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0년]][[분류:VOCALOID 전설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