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반시뱀}}}(하부)[br]Habu}}}''' || ||<-2> [[파일:Trimeresurus flavoviridis.jpg|width=100%]] || ||<#F93> '''학명''' || ''' ''Trimeresurus flavoviridis'' '''[br]Hallowell, 186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파충류|파충강]]^^Repti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뱀목^^Squamat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뱀아목^^Serpentes^^||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살무사과^^Vipe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아시아살무사속^^Trimeresur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반시뱀^^''T. flavoviridis''^^'''|| [[파일:반시뱀.jpg|width=500]] [목차] [clearfix] == 개요 == 반시뱀은 주로 [[일본]] [[오키나와]] 등지에 서식하는 [[살무사]]의 일종이다. == 명칭 == [[일본어]]나 [[오키나와어]]로는 [[하브|하부]](ハブ)라고 부른다. [[아테지]]로 波布라고도 쓴다. 대응 한자어는 飯匙倩, 飯匙蛇이다. 이중 두 번째나 세 번째 표기를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어 나온 이름이 반시뱀, 또는 반시사이다. 반시(飯匙)라는 한자어가 '[[주걱|밥주걱]]'이란 뜻이라 한자만 보면 반시뱀은 '밥주걱뱀'이 되는 셈이다. == 크기 == 일명 일본 최강의 독사이다. 엄밀히는 [[류큐]] 최대, 최강의 뱀이다.[* 일본 본토에서 가장 큰 뱀은 [[청대장]]인데, [[구렁이]]의 사촌격이라 독도 없고 성격도 순하다.] 반시뱀은 아시아북살모사속의 표본들 중 가장 거대한 개체로 몸길이는 평균 1.5m이고 2.2m가 넘는 크기도 발견되었다. [[부시마스터]] 다음으로 동부 다이아몬드 방울뱀, [[페르드랑스]], [[가봉북살무사]], 맹산 살무사와 함께 세계에서 2번째로 커다란 살무사과 독사 중 하나이며 길이로서는 3번째로 길다. 2011년 10월 31일에는 2.42m에 달하는 크고 길다란 반시뱀이 잡히기도 했다.[[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be8&logNo=120143737693|#1]][[http://blog.daum.net/kbrass/15636286|#2]] == 독 == 독성은 [[방울뱀]]이나 [[살무사]]와 같이 혈액과 조직을 괴사시키는 혈액독인데, 한 번 물면 성인 2~3명을 죽일 수 있는 양의 독액을 주입한다. 독이 꽤나 강하기 때문에 물리면 신속히 응급처치를 한 후 항뱀독소를 접종해야 한다. 2000년도 이후에는 항뱀혈청, 하브 퇴치 스프레이, 독 흡인기 등 대처방안이 확립되어 반시뱀에 물려 죽은 사람은 없다. 개체수 역시 사냥과 분리대책 등으로 많이 줄어들었다. == 용도 == 반시뱀을 [[아와모리]] 소주에 넣어 만드는 하부슈(ハブ酒)가 인기리에 팔리고, 껍질은 지갑이나 부적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는 데다가, 관광지에서는 반시뱀을 사다가 구경거리로 삼는다. 단, 오키나와 전통 현악기인 [[산신(악기)|산신]]의 재료로 이용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반시뱀의 체구가 작아 울림통에 입힐 만큼 큰 가죽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이론상 반시뱀 가죽 여러 장을 연결해서 산신의 울림통에 입히는 건 가능하지만, 이렇게 하면 [[비단뱀]] 가죽에 비해 내구도가 떨어진다. 이렇듯 꽤 쓸모가 있는데다 반시뱀을 잡아다가 [[동사무소]] 등지에 가져다주면 마리당 2천-4천 엔 정도 상금을 주기도 하기에 지역[[주민]]들에겐 쏠쏠한 용돈벌이가 되기에 땅꾼들이 자주 노리는 대상이기도 하다. [[아마미 군도|아마미오시마]] 등지에서 택시기사들이 부업으로 반시뱀 잡는 모습이 그리 드문 풍경이 아니다. 빈 차 몰고 다니다가 반시뱀이 보이면 차 세우고 트렁크에서 자루와 도구를 꺼내 든다. == 구제용 [[몽구스]] 수입 문제 == 일본 정부는 반시뱀을 줄이기 위해 1910년에 [[몽구스]]를 수입했는데, 대략 100년이 지난 현대에 들어서는 생태적 재앙이 되었다. 기껏 수입했더니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먹으라는 반시뱀은 안 먹고]]''' 무해한 다른 [[뱀]]이나 [[도마뱀]], [[새]][* 특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오키나와 뜸부기(Yambarukuina)를 꽤 많이 잡아먹었다고 한다.]들을 덮치는가 하면, 사람이 키우는 [[닭]]장을 습격하고 [[고구마]]밭을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이처럼 오히려 몽구스가 반시뱀보다도 더 큰 문제가 되어 [[오키나와현]]은 2014년 반시뱀이 아니라 몽구스 완전 제거를 목표로 한 소탕작전을 벌였을 정도이다.[* 이 과정에서 다른 야생동물들이 [[몽구스]] 덫에 걸리는 경우가 있어서 환경운동가들이 많이 비난했다.] 애초에 뱀을 잡으려고 몽구스를 푼 것이 패착이었던 게, [[몽구스]]는 [[뱀]]을 사냥할 수 있기는 해도 [[뱀]]만 먹고 살지는 않는다. [[몽구스]]도 다른 먹이가 있으면 어지간해서는 [[뱀]] 사냥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뱀 사냥은 [[몽구스]] 입장에서 상당한 부담이다. 또한 '''몽구스는 주행성이지만, 반시뱀은 야행성이라 왠만하면 잘 만나지도 않았다.'''[* [[아메토크!|아메토--크]]의 오키나와 게닌편에서는 둘이 주요 활동시간대도 달라서 잘 만나지도 않는데다, 잡아먹으라고 들여온 몽구스가 현재는 반시뱀과 함께 수영대결(관광객 대상의 이벤트)이나 벌이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https://youtu.be/OpHFZdniS94|해당 내용을 다룬 2010년 KBS 다큐멘터리]]. == 창작물 == 1970년대까지는 그야말로 공포스런 존재로, 반시뱀을 소재로 한 만화까지 있을 정도였다. 만화 [[테니스의 왕자]]의 [[히라코바 린]]의 필살기 '[[허브]]'의 원래 이름은 이 하부. 즉 [[오역]]이다. [[짱구는 못말려]] 2번째 극장판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의 등장인물 미스터 '[[허브]]'도 마찬가지. 또한 [[충왕전]] 에 나오는 왕지네가 작중 하부(반시뱀)지네라고 소개되었는데 인터넷에 치면 전부 허브지네라고 나온다. [[사채꾼 우시지마]]에도 '[[하부]]'라는 야쿠자 보스가 나온다. [[포켓몬]] [[세비퍼]]는 이 반시뱀에서 온 것으로 일본 이름이 아예 '하부네쿠'이다. [[디지몬]] 중에는 하부몬(허브몬)이 있는데 이는 하부(반시뱀)와 [[허브(식물)|허브]]를 노린 말장난이다. 만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 나오는 캐릭터 [[아스이 츠유]]의 동기 중에 '망구스 하부코'라는, 얼굴이 반시뱀 형상인 여학생이 있다. 보통 사납게 묘사되는 반시뱀 이미지와는 달리 이쪽에선 감정 표현을 잘 못할 뿐이지 마음씨 고운 친구로 나온다. [[용과 같이 3]]에서 오키나와 출신인 [[시마부쿠로 리키야]]는 등짝에다가 하부 문신을 새겼다. 본토에서 온 주인공 키류가 훌륭한 뱀이라고 문신을 칭찬하자 화를 내면서 뱀이 아니라 하부라고 정정한다. 이에 키류가 뱀이나 하부나 무슨 상관이냐고 물어보자 하부는 오키나와의 혼이라고 대답한다. [[GTO(만화)|GTO]]의 [[오니즈카 에이키치]]는 이 뱀에게 [[음경|거시기]]를 물리고도 살아남았다. 다행히 [[고자]]는 면한 듯하다. [[탐정학원Q]]에서는 [[큐(탐정학원Q)|큐]]와 [[미나미 메구미|메구]]가 구교사 지하실에 갇혔을 때 누군가가 반시뱀을 집어넣었고 메구가 물려 위기에 빠진다. 적당히 묶어 시간은 벌 수 있었지만 정말 시간만 번 수준이었다. 다행히 제때 구출되어 [[혈청]]을 구할 수 있었다. [[꼬마마법사 레미 ƒ]]에서 [[마죠트루비용]]이 살모사떼를 소환해 도레미 일행을 위협할 때 [[후지와라 하즈키]]가 이내 반시뱀이라는 걸 알아보고[* 처음에 기둥으로 도망칠 때 모모가 살모사가 벌레냐고 하자(일본어로 살모사와 벌레는 발음이 비슷하다. 더빙판에서 절이름이냐고 말한다.) 이내 하즈키가 웃음을 처지고 냉정해졌다.] 천적이 몽구스를 소환해 처리한다. == 여담 == [[SR-71]] 전략정찰기 중 오키나와에 주둔한 기체들은 원래 별명 [[블랙버드]] 대신 하부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각주] [[분류:아시아살무사속]][[분류: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