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semimembranosus'' '''}}}[br]{{{#ffffff ''' ''(반막근, 반막양근)'' '''}}} || |||| [[파일:반막근.jpg|width=100%]][* 초록색 표시된 게 오른쪽 반막근. 반막근 겉에 위치하는 반힘줄근은 제거되었다.] || || 이는 곳[br](origin) || 궁둥뼈결절[br](ischial tuberosity) || || 닿는 곳[br](insertion) || 정강뼈 안쪽관절융기[br](medial condyle of tibia) || || 동맥[br](artery) || 아래볼기동맥, 깊은넙다리동맥[br](inferior gluteal a., deep femoral a.) || || 신경[br](nerve) || 궁둥신경의 정강신경 부분[br](tibial part of sciatic n.) || || 기능[br](action) || 엉덩관절 폄, 무릎관절 굽힘[br](hip extensor, knee flexor) || [목차] [clearfix] == 개요 == 반막근(semimembranosus m.)은 넓적다리 뒤칸에 위치하는 [[햄스트링]] 근육들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반힘줄근]]의 깊은쪽에 위치하므로 뒤칸을 처음 해부하면 반힘줄근에 가려져 일부분만 보인다. 개정 전 용어는 반막양근([[半]][[膜]][[樣]][[筋]])[* [[반 반]], [[꺼풀 막]], [[모양 양]], [[힘줄 근]].].--어째 개정을 했는데 별로 달라진 게 없다.-- == 구조 == 이름처럼 반막근은 바로 겉쪽에 있는 반힘줄근보다 좀 더 납작하고 넓은 막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그래서 넓적다리 뒤칸 해부 시 반힘줄근이 겉에 있는데도 반막근이 다 가려지지 않고 일부분이 보인다. 구조가 조금 특이한 편인데, 궁둥뼈결절 위가쪽(superolateral) 면에서 일어날 때는 힘줄 형태다가 넓적다리 위쪽에 도달하면 힘살[* 흔히 우리가 [[근육]]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이미지의 부분이다. 근육 조직들이 뭉친, 붉은 부분.]이 되고, 넓적다리를 절반 정도 주행하고선 다시 힘줄이 된다. 이 힘줄은 무릎 이하에서 다양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 얕은 부분: [[무릎관절]]의 위가쪽에서 일부가 [[빗오금인대]](oblique popliteal lig.)를 형성하고, 또 다른 일부는 [[오금근]](popliteus m.)의 근막(aponeurosis)을 형성하여, [[정강뼈]]의 가자미근선(soleal line)[* 이전에는 popliteal line이라고 주로 지칭된 정강뼈 뒷면의 선이다. 오금근 닿는곳의 밑쪽 경계이며, [[가자미근]](soleus m.),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ngus m.), [[뒤정강근]](posterior tibialis m.) 등 굉장히 많은 다리 뒤쪽을 주행하는 근육들이 일어나는 곳이다.]에 붙는다. * 깊은 부분: [[정강뼈]]의 안쪽관절융기(medial condyle of tibia) 근처의 [[고랑]](groove)[* 일상 용어 그대로, 움푹 들어간 부분.]에 가서 닿는다. 일어나는 곳은 궁둥뼈결절의 위가쪽 면, 닿는곳은 정강뼈의 안쪽관절융기 뒷면이다. 반막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반힘줄근이나 넙다리두가래근 긴갈래와 똑같이 [[궁둥신경]]의 정강신경 부분이다. 혈액을 공급받는 동맥은 햄스트링 근육들의 윗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아래볼기동맥]]과 고샅인대 바로 밑에서 [[넙다리동맥]]에서 분지되어 넓적다리 뒤칸까지 주행해 오는 [[깊은넙다리동맥]]이다. == 기능 == 다른 햄스트링 근육들인 [[넙다리두갈래근]]이나 [[반힘줄근]]과 마찬가지로 엉덩관절을 피고 무릎관절을 굽히는 작용을 한다.[* 물론 넙다리두갈래근 짧은갈래는 엉덩관절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무릎이 이미 굽혀진 상태에서는 반힘줄근과 함께 종아리의 안쪽돌림에 관여한다. 이때, 넙다리두갈래근만은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 종아리의 가쪽돌림을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