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인터넷 방송인]][[분류: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분류:1999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나무위키 인터넷 방송인 프로젝트]] ||<-2><:>{{{+5 '''박홍시'''}}}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홍시 프사.jpg|width=100%]]}}} || || '''{{{#fff 생일}}}''' ||[[1999년]] [[9월 27일]] ([age(1999-09-27)]세)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 키}}}''' ||166cm|| || '''{{{#fff 혈액형}}}''' ||A형|| || '''{{{#fff MBTI}}}''' ||[[INTP]] ||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fff 팔로워}}}''' ||23,449명[* 2023년 05월 20일 기준][[https://socialblade.com/twitch/user/persimmon927/realtime|실시간]] ||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fff 첫 방송일}}}''' ||2020년 7월 11일 '''[dday(2020-07-10)]일째''' || || '''{{{#fff 롤 닉네임}}}''' ||[[https://www.op.gg/summoners/kr/%EB%B0%95%ED%99%8D%EC%8B%9C | 박홍시]]|| || '''{{{#fff 별명}}}''' ||곰팡이군주, 트시하라 홍토미|| || '''{{{#fff 관련 링크}}}''' ||[[https://www.twitch.tv/persimmon927|[[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tgd.kr/s/persimmon927|[[파일:트게더 아이콘.svg|width=20]][* 트게더에서 쉘터로 이주. 사용하지 않음]]] | [[https://shelter.id/persimmon0927/community|[[파일:쉘터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persimmon092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persimmon927/|[[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소개 == >'''고멘...''' >이 스트리머는 한국에서 최초로 시작되어 일년에 한 바퀴 돌면서 보는 사람에게 행운을 주었고 지금은 당신에게로 옮겨진 이 방송은 4일 안에 팔로우를 해야 합니다. [[트위치]]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 스트리머이다. [[IRL]]로 방송을 시작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위주의 방송에 종합게임을 첨가하여 스트리밍을 진행한다. 자주 하는 게임 장르는 쯔꾸르, 공포, 콘솔 게임이다. '''박홍시'''라는 닉네임은 어릴적 별명인 감에서 따왔다고 한다. 좀비 아포칼립스 세상에선 아내와 자식중 자식을 미끼로 쓰고 도망가겠다 밝혔다. == 연혁 == ||<-2>
'''트위치 연혁''' || || {{{#ffffff '''날짜'''}}} || {{{#ffffff '''상세 내용'''}}} || || 2020-07-10 || 트위치 첫 방송 || || 2021-07-10 || 트위치 1주년 || || 2021-09-04 || 최강 여스대회 제 2회 우승 || || 2022-01-29 || 최강 여스대회 제 3회 우승 || || 2022-07-07 || 전략적 팀 전투 다이아 승급 || || 2022-07-10 || 트위치 2주년 || || 2022-08-21 || 롤 최고티어 달성(골드 1) || || 2022-09-19 || 트위치 팔로워 10,000명 달성 || || 2022-11-22 ||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달성 || || 2022-11-29 || 트위치 팔로워 20,000명 달성 || || 2023-07-10 || 트위치 3주년 || == 방송 == === 방송일정 === 방송일정은 박홍시 팬 커뮤니티인 쉘터[* [[https://shelter.id/persimmon0927/community]]]에 방송 2~3시간전에 미리 공지된다. 보통 19시 30분에서 20시 사이에 방송을 시작하여 새벽 1시에 방송을 종료한다. === 방송성향 === 앞서 기술한 별명과 달리 방송진행은 매우 무난하다. 소심한 성격 탓에 뭐든 조심하는 편이며, 게임 방송위주라 어렵지 않게 유입이 가능하다. [[IRL]]의 경우 소통이 매우 잘 되는 편이지만, 게임 중에는 여러가지를 동시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소통이 원활하지는 않다.[* 게임 도중 질문을 하고 채팅창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 방송규칙 === {{{#!wiki style="margin:0px auto;display:table" > > 성희롱 금지 > > > 신상 관련 질문 금지 (간단한 신상은 !명령어) > > > 타 스트리머, 시청자 비하 금지 > > > 시청자 간 친목 금지 (닉네임 언급) > > > 방송과 무관한 내용의 어그로 금지 > >* 강제 퇴장 해제 요청은 받지 않습니다. 매너 채팅 부탁드려요! * >}}} === 콘텐츠 === ==== 정기진행 콘텐츠 ==== * [[리그 오브 레전드]] - 박홍시의 주력 게임(--잘한다는 뜻은 아니다--) 주로 룰루 제라스, 카르마, 벡스 등을 플레이하며 탑, 정글을 제외한 대부분의 라인을 다 할 줄은 안다. * [[전략적 팀 전투]] - 박홍시 역사상 최고티어 게임 * [[발로란트]] - 에임이 안 좋아서 웃긴 장면이 많이 연출 되는 편.[* [[https://www.youtube.com/shorts/B2-zrj3dDOQ]]] * [[폴가이즈]] - 자칭 모든 맵 초고수 --방송 초창기 땐 미션실패해서 울고불고하면서 방송했었다. -- * [[오목]]시참 - 승률이 매우 안 좋은 편. ====# 종합게임 #==== * [[13일의 금요일: 더 게임]] - 시참으로 종종 플레이를 하며, 보통 가장 먼저 죽는다. 이에 트수들의 방플을 의심하며 모두 같은 캐릭터로 진행하는 극단적인 처방을 내렸지만 결과는 똑같았다고 한다. * [[곰아저씨 레스토랑 ]] - 완결 * [[공간을 먹는 악어]] - 완결 * 내가 현자가 될 수 있을 리 없잖아, 무리무리!(※무리가 아니었다?!) - 완결 * [[네모바지 스폰지밥: 코스믹 셰이크]] - 완결 * [[더 데빌 인 미]] - 완결 * [[데이브 더 다이버]] - 완결 * [[라스트 오브 어스]] - 완결 * [[러브 샘]] - 완결 * [[러스트]] - 스트리머서버 2주차 심해덤과 듀오로 플레이 하였다. * [[레드 데드 리뎀션 2]] * [[로스트 저지먼트: 심판받지 않은 기억]] - 완결 * [[리틀 나이트메어]] - 게임이 재미있었는지 dlc, 다음시리즈 모두 플레이 하였다. * [[리틀 나이트메어 II]] - 완결 * [[마력 척결관: 리그 오브 레전드 이야기]] - 완결 * [[마인크래프트]] - 시청자 참여 콘텐츠로 2회 진행하였으나, 2회 모두 시청자들이 관리가 안되어 파멸로 이어졌다. * [[말과 나의 이야기, 앨리샤]] - 자기가 잘한다고 계속 우기는 게임중 하나지만 서비스를 종료하여 증명할 방법은 없다. --해외 프리서버에서 시참중 트수한테 1:1을 진 적이 있다.-- * 맞춤법 용사 : 맞춤법에 너무 민감해서 주변의 빈축만 사던 내가 이세계에서는 용사라고? - 완결 * [[맨 오브 메단]] - 완결. [[심해덤]]과 함께 플레이 * [[메구와 몬스터]] - 본인은 눈물이 적으며 굉장히 잘 울지 않는다고 호언장담을 하고 시작하였으나 스토리가 점차 진행되면서 중반부 즘에 처참히 무너져 폭풍오열을 하게된 게임이다 전반적인 스타트 라인이나 스토리라인이 잘 짜여져 있고 결말이나 게임성도 괜찮은편, 중간부분부터 울기 시작해 엔딩이 끝난 이후에도 훌쩍이며 중간중간 계속 울음버튼이 눌렸다고 한다. --매우 볼만하니 유튜브 다시보기 메구미와 몬스터를 한번쯤 보는걸 추천한다.-- * 메타 용사의 모험 - 완결 * [[모여봐요 동물의 숲]] - 신년맞이 콘텐츠로 진행하였으며, 시청자와 함께 보낼려 하였으나 단 한 명의 시청자도 참여 하지 않아 혼자 외롭게 2021년을 맞이 하였다. --2022년에는 많은 참여자가 있었다-- * [[몬스터 헌터 라이즈]] - 고인물 유입들이 많이 놀러왔지만, 홍시의 플레이를 보고 이를 갈며 도망쳤다. * [[발헤임]] - 시청자 참여 콘텐츠로 진행 하였고, 꽤나 재밌게 진행될 뻔 하였으나 박홍시와 홍시단 모두 다 너무 못해서 진행이 안되어 빠르게 막을 내렸다. *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 - 귀엽다, 귀엽다 말만 하고, 현재는 결말을 못 본 채 고이 잠들어 있다. 칩을 어디 뒀는지 조차 모르는 걸로 보아 앞으로 볼 일 없는 게임으로 추정된다. --기대하지 말자-- * [[살육의 천사]] - 수 많은 오글거리는 대사들을 조리돌림하였다. 혹시나 있었을 살육의천사 팬보이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을지도 --(없었으니 걱정 안해도 된다)-- * [[수박게임]] - 수박 1개 완성 * [[스타크래프트]] - 트수들의 추천에 게임을 진행하였지만, 컴퓨터에게 1대1을 지고 유기하였다. * [[스테퍼 케이스: 초능력 추리 어드벤처]] * [[썸썸 편의점]] - 아델라를 공략하였으며, 나름 재밌게 잘 진행 되었지만, 미연시가 취향에 안 맞는지 이 이후 미연시는 단 한번도 플레이 하지 않았다.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 - 완결. 아동용 게임이라 엔딩을 일찍보면 남는 시간에 무엇을 해야하나 걱정했지만 쓸데없는 걱정이였다. * [[아웃라스트 트라이얼]] * [[언차티드 2: 황금도와 사라진 함대 ]] - 완결. 에임보정이 없어 많은 적들이 등장하는 후반 기차씬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 [[언차티드 4: 해적왕과 최후의 보물]] - 완결 * [[엘든 링]] - 한때 스트리머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트리가드 챌린지에 성공하고, 접목의 고드릭 클리어 이후 방송을 끄고 친구와 엔딩을 봤다고 한다. * [[역전재판]] - 스토리 진행 중이지만 꽤 오래 플레이 하지 않은 걸로 보아 더 이상 기대 안 하는게 좋을 듯 하다. * [[용과 같이: 극]] - 완결 * [[용과 같이 유신! 극]] - 완결 * [[용과 같이 제로: 맹세의 장소 ]] - 완결 * [[우리는 여기에 있었다 탐험대 - 우정의 배]] - 완결. [[심해덤]]과 같이 플레이 * [[인과율(게임)]] - 쯔꾸르 게임 방송의 시작이 된 게임. 스토리가 깔끔해서 좋다 라는 평가를 함. * [[인어늪]] - 완결 * [[장미와 동백 - 호화찬란 버전]] - 완결 * [[저지아이즈]] - 완결 * [[전역은 오는가]] - 미필 박홍시의 군대 게임 입문기였다. 하지만 뜬금없는 스토리에 경악을 금치 못하며 중도 포기하였다. * [[짱구는 못말려! 나와 박사의 여름 방학 ~끝나지 않는 7일간의 여행~]] - 회귀물 게임의 특징답게 매일매일 같은 플레이가 반복되어 지겨워질 무렵 완결이 났다. 플레이 당시는 매우 지루해 했으나 결말을 보고 만족해 했다. * [[지뢰용사 : 지뢰찾기 초급을 겨우 깰까말까한 내가 이세계에서는 용사라고?]] - 완결 * [[지뢰찾기]] - 고급난이도를 밤을 새워가며 겨우 클리어 하였다. 이 당시 집에서 몰컴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상당시간 노마이크 지뢰찾기 방송을 트수들은 시청하였다.예상외로 당시 시청자 반응은 좋은 편이였다. --왜 좋았는지는 미스테리다.-- * [[컵헤드]] - 반복되는 피지컬 게임은 생각보다 잘해서 컵헤드는 dlc까지 전부 클리어 했다. * [[파스모포비아]] - 스트리머 심해덤과 함께 플레이. 둘다 성격이 소극적이라 그런지 의사소통이 중요한 게임에 의사소통이 전혀 안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모습이 재미있어서 당시 시청하던 트수들의 반응은 좋았던 편 * 파스파투 2: 방황하는 예술가 * [[페이퍼 마리오]] - 폭탄병 이라는 인게임 캐릭터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이에 답답함을 참지못해 유기하였다.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 - 완결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제로의 비보 ]] * [[포켓몬 유나이트]] - 재미가 많이 없었는 지 어느 순간부터 안하는 중 * [[피카츄배구]] - 트수 시참 중 1승 전패를 기록, 이외에도 처음하는 노누미, 매니저 쫀절미 모두에게 승률이 안좋다. * [[휴먼: 폴 플랫]] - 시참으로 3회 정도 진행하였다. 특정맵 우승자에게 [[13일의 금요일: 더 게임]]을 선물 하였다. * [[ALTF42]] * [[Brain Meltdown - Into Despair ]] - 노말 난이도 8/19 체크포인트에서 포기 * [[Beyond Blue]] - 완결 * [[브램블: 산속의 왕|Bramble: The Mountain King]] - 완결 * [[콘트라밴드 폴리스]] - 완결 * [[Grand Theft Auto V]] - 완결 * GYLT - 완결 * Hide&Chick - 시청자 참여 게임을 진행하였으나, 수 많은 시청자중 단 2명만 참가하여 안좋은 기억이 남아있다. * [[Ib]] - 재미있게 플레이 하였으며, 주인공 이브와 남자 주인공 게리를 이어주기 위해 엔딩을 반복해서 보았고, 결국 이어주었다. * [[It Takes Two]] - 노누미와 함께 플레이 * [[JellyCar Worlds ]] - 녹음을 할 때가 가장 재밌었다고 한다. --10분정도 플레이하다가 종료-- * [[Loretta]] - 완결 * [[Mind Scanners]] - 완결 * [[Only Up!]] - 완결 * [[P의 거짓]] - 완결 * [[Phasmophobia]] * [[Poly Bridge 2]] * [[Poly Bridge 3]] * [[Poppy Playtime]] - 문제를 풀어 넘어가야 하는 구간을 감각적으로 넘겨버려(--찍었다는 뜻--) 정상적으로 스토리를 진행하지 못했다. * [[Project Zomboid]] * [[Raft]] - 바다에서 쓰레기 줍는게임 나름 힐링게임으로 즐겼으나 스토리 컨텐츠를 많이 못즐기고 관짝행 * [[Road 96]] 국경 탈출하는 게임, 하루만 하고 끝낼려 하였지만 본인의 실수(숨을 참아야 하는 상황에서 숨을 쉬어 버림)로 인하여 하루를 더함. 덕분에 하루를 더 함으로 탈출이 스토리 끝이 아니라 스토리가 더 있는걸 알고 다행이라고 함. * [[Shadow Corridor]] - 일명 그림자 복도 은은한 일본풍 분위기와 캄캄한 복도의 공포감으로 초중반까진 흥미진진하고 공포를 느끼며 재밌게 진행하였지만 중간에 곡옥 버그로 인하여 재시작 후 공포는 커녕 제단찾기 스트레스로 매미의 복도를 클리어후 게임을 마무리 하였다. * [[Scene Investigators]] * [[Skul: The Hero Slayer]] - 피지컬의 한계를 느껴 중도하차 * [[Stray]] - 같이 다니던 로봇이 죽자 오열을 하였다. * [[The Case of the Golden Idol ]] - 11장까지 깨고 엔딩크레딧이 나와 끝인줄 알았으나 후일담의 추리 화면을 보자마자 황급히 종료. * The Isle Tide Hotel * The Many Pieces of Mr. Coo * [[The Normal Thing]] - 완결 * [[Tricky Towers]] - 자칭 초고수 게임 중 하나. 시참으로 진행하였으나, 뉴비만 골라서 학살한 느낌이 없지않아 있다. 승률은 좋은편 * [[Underground Blossom]] - 완결 * [[We Were Here Forever]] - 매니저 쫀절미와 같이 플레이 하였다. 굉장히 뛰어난 문제풀이 능력을 보여주며 캐리를 하였다. --둘 사이의 우정이 생각보다 견고하지 않다는걸 보여주는 게임이였다-- * Verne: The Shape of Fantasy - 완결 * [[Visage]] - 중도하차한 게임중 하나. 무섭다기보단 길이 너무 복잡해 힘들다며 유기하였다. --절대 무섭다고 도망친게 아니라고 한다.-- * [[どこかで見た“あのゲー”ムたちを棒人間で作ってみたけれど、果たしてあなたはクリアできるのか?]] - 30분 정도 하다가 런 * [[パラソーシャル ]] - 완결 ==== Just chatting ==== * '''그림방송''' - 30,000채널포인트로 신청이 가능하나, 현재는 진행을 하지 않는다. * '''노래방송''' - 트수들이 신청한 노래 중 본인이 아는 것을 부름. * '''댄스방송''' - 코카인, Like U 같은 섹시 컨셉 댄스에 취약하며[* 오그라들어서 못추겠다고 함.] 정상수 자쿰댄스나 양자택일 같이 코믹한 댄스에 강한 모습을 보인다.--광대 그 자체-- * '''요리방송'''(잠정중단) * '''저녁메뉴''' 고르기 - 저녁메뉴를 고르는데 평균 30분 이상이 소요되어 그리 민심이 좋은 컨텐츠는 아니다. * '''힙합낭송회''' - 딱 1회 진행하였다. VVS라는 노래의 가사를 분석하였는 데 대부분의 트수들이 졸음을 못참고 잠들었다. === 방송 용어 === * '''○○산''' - 친구가 개발한 유행어라며 방송에 소개, 사용법은 그냥 아무말에다가 산을 붙이면 된다. ex) 인정산, 드가산, 가보산 * '''에바마''' - 노누미가 자주쓰던 유행어. 제법 많이 쓰다가 요새는 안쓰는 편. == 주변 인물 == * [[굥이]] - 여스대회 시즌2 원딜 * [[김하선]] - 여스대회 시즌2,3 서폿, 박홍시 생방송에 자주 찾아와 트수가 되어 채팅을 치며 논다. --악질채팅 칠 때 가장 신나 보이는건 안비밀-- * 노누미 - (제일 친한 스트리머였는데 지금은 일반인) 수많은 게임을 같이 하였으며, 현실합방도 많이 하였다. 박홍시의 볼뽀뽀에 당한 적이 있다.[* [[https://clips.twitch.tv/ResoluteEasyCrabFeelsBadMan-oEzcp6eL40eSi3S5]]] * [[도현]] - 박홍시가 도현의 팬이며 굿즈를 구매한 적도 있다. 박홍시가 롤할 때 도현이 팔로우한 알림이 떳는데 이를 모르고 계속 게임만 해서 나중에 클립을 보고 알았다고 한다. * [[막눈]] - 여스대회 시즌3 팀장 (미드) 당시 대회에서 파멸적인 캐리로 홍시를 우승하게 도와준 일등공신이다. 여담으로 막눈이 홍시에게 롤 경기티켓을 준다고 하였지만, 당시 그 전염병에 걸린 상태라 거절하였다. * 만찌이 - 여스대회 시즌3 정글 * [[심자몬]] - 여스대회 시즌2 정글 * [[심해덤]] - [[Phasmophobia]] 합방, 박홍시가 짱구(나와 박사의 여름 방학)게임을 하고 있을 때 레이드하여 친해지는 계기가 됨. 둘다 극강의 소심한 성격으로 기적의 의사소통을 보여 주었다. 뚝딱거리는 케미(?)가 의외로 호평을 받았다. 23년 1분기 러스트 스트리머서버(2주차)에서 심트와홍트 러브하우스로 다시 한 번 홍덤듀오 케미를 보여주었다. * 얌얌님_ - 여스대회 시즌3 탑, 생방송에 자주 놀러와 같이 게임을 많이 한다. (--박홍시는 생방송에 찾아온 얌얌이를 맨날 놀린다--) * 어린이즈 - 아주가끔 호스팅 하는 사이, 본인이 직접 구독하는 스트리머중 하나. * [[이석현(인터넷 방송인)|이석현]] - 방송 당시 트수들의 권유로 롤 듀오를 한 번 했다. 이후 듀오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오면서 박홍시가 성장하는데 큰 도움을 줬다. 아직까지는 시트콤인지 로맨스 코미디인지 장르가 불분명한 상황에 놓여있다. * 조다빈 - 박홍시의 음지 선배이며 현재는 음지생활을 청산해 나가는 중이라고 전해진다. 여담으로 포켓몬 유나이트 세계대회 우승시 박홍시에게 천만원을 준다는 약속(?)을 했다. 박홍시 방송의 정기구독 결제를 한 사실을 기억하지 못해 장기 정기구독자가 되어버렸다라고 본인은 주장하는데 진실은 알 수 없다. 술방송 때 찾아가 홍시방 시청자인 걸 밝히면 "너희들은 홍선생님한테 진짜 잘해줘라, 홍시님이 착해서 너희들이" 라는 말을 반복해서 들을 수 있다. * 쫀절미 - 매니저이자 대학교 친구. 가뭄에 콩나듯 방송을 키며, 종종 같이 합방을 한다. --사실 이 방은 매니저가 할 일이 없다, 그래서 그런지 보기 힘든 편-- * 찡스1 - 방송에 자주 놀러오는 스트리머다. 구독도 꾸준히 하고 도네를 자주하는 걸로 보아 박홍시 육수로 추정된다. 현재 구독 연장은 6개월로 늘어났다. 최근 방송을 통해 본인은 열렬한 팬이라고 직접 밝혔으며 롤토체스 시참에 나서기도 했다. 박홍시에게 귓속말도 와서 트파를 가자고 한 걸로 보아 둘이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 2월 9일 [[다크앤다커]] 방송 도중 말을 놨으며 언니라고 부르기도 하는 등 사이가 많이 가까워졌다. * 홍냥이 - 키우는 고양이 죨귀다 * [[이민호(프로게이머)|Crown]] - 여스대회 시즌2 팀장 (탑) == 사건사고 == === 여스대회 결승 화면 미송출 사건 === 2022년 1월 29일 제 3회 최강 여스대회 결승전 마지막판을 시청자들에게 화면을 보여주지 않고 진행하였다. 게임이 끝난후 시청자들의 반응이 이상함을 느껴 화면이 송출되지 않았음을 알고 왜 귓속말로 알려주지 않았냐고 한 적이 있다. == 여담 == * 컴퓨터 사양은 CPU는 인텔 코어 i9-12세대 12900KF , 메모리는 32GB(16Gx2), 그래픽카드는 3070ti를 사용한다. * 최강 여스 롤 대회 시즌3에서 막눈팀으로 얌얌, 만찌이, 막눈, 김하선과 함께 팀을 이루어 우승을 거머쥐었다. * [[잔나비]]의 광팬이다. * [[이시하라 사토미]] 닮은꼴로 핫클립에 올라간 적이 있다. * 휴대폰으로 [[갤럭시 S22+]]를 사용한다고 한다. * 욕하지 않기 공약을 1년째 하고 있는데 아직도 시원하게 욕을 하고 있다. * 현재 대학교 5학년 재학 중이며 학교와 학과는 비밀이다. 졸업 예정은 아직까지 없다. * 롤 티어는 골드에서 머물고있지만 비공식 롤 대회에서 2회 우승한 전적이있다. (원딜 포지션 징크스 펜타킬) * 닮은 꼴로 [[신세휘]], [[최성은]], [[노윤서]], [[표예진]], [[구교환]], [[서강준]], [[이시하라 사토미]] 등이 있다. * 골드 3을 못가서 운 적이 있다. * 방송을 킬 때 어머니의 청소기 소리가 함께 들린다. * 손편지를 좋아한다고 한다. 트수가 써준 손편지에 자주 우는 편이다.[* [[https://clips.twitch.tv/AwkwardFurryBeeBloodTrail-HX1nTsHoiUWtVx9k]]] 단, 글씨가 너무 악필이면 울새도 없이 해독하느라 바쁘다. * 항상 방송을 키고 나서 눈화장을 마무리한다. * 트수들한테 직접 디자인한 굿즈를 많이 뿌리는 편이다. * 생일을 밝히면 생(ㄹ)일 축하송을 불러준다. (이 노래가 트수들이 생일을 숨기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 경찰서 신세를 진 적이 있다.[* 싸움 현장에 있어 피해자 및 목격자 신분으로 간 것.] * 패션센스(홍머병)가 처참해서 트수들에게 옷을 조공받은 적이 있다. * 본인피셜 아직 모솔이라고 한다. * 키에 비해 상당히 마른 편이다.(멸치복근 소유자)[* [[https://clips.twitch.tv/AltruisticEmpathicClipsmomDancingBaby-TPk0LnJTQl3xgSiO]]] * 속눈썹이 매우 긴 편이며, 속눈썹 펌을 하고 면봉을 3개 올린 클립이 핫클립에 올라간 적이 있다. * 푸쉬업을 단 한 개도 못한다 [* [[https://www.twitch.tv/persimmon927/clip/DifferentElegantMonitorPanicVis-_dGWEOTMOf9qPGls]]] * 방송을 하지 않을 때는 대부분의 시간을 유튜브나 트위치에 투자하는 사이버 망령답게 온갖 인터넷밈을 꿰뚫고 있으며 시청자들도 잘 모르는 마이너한 밈까지 알고 있다. * 웃음 허들이 굉장히 낮은 편이라 그런지 웃참 컨텐츠에 미션이 걸려도 10초를 못 버티고 바로 웃어버린다. * 이상형은 귀여우면서 본인이 귀엽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라고 한다. * 피자를 매우 좋아하는 편이며, 아주 지독한 민초파이다. * 방송 초창기에는 눈물이 많은 편이었으나, 멘탈이 좋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