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IA 타이거즈/간략(코칭 스태프))] ||
'''{{{#fff 박태원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93번}}}''' || || 팀 창단 || {{{+1 →}}} || '''{{{#fff 박태원[br](2015~2017)}}}''' || {{{+1 →}}} || [[윤강찬]][br](2018)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87번}}}''' || || [[김민호(1961)|김민호]][br](2017~2021) || {{{+1 →}}} || '''{{{#00275a 박태원[br](2022)}}}''' || {{{+1 →}}} || [[손정욱]][br](2023~)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85번}}}''' || || [[오준형]][br](2021) || {{{+1 →}}} || '''{{{#fff 박태원[br](2023~)}}}''' || {{{+1 →}}} || 현역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IA 프로필 박태원.png|width=100%]]}}} || ||<-2> '''KIA 타이거즈 No.85''' || ||<-2> '''{{{+2 박태원}}}[br]朴台原 | Park Tae-Won''' || ||<|2> '''출생''' ||[[1992년]] [[2월 17일]] ([age(1992-02-17)]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성동초등학교(서울)|성동초]] - [[잠신중학교|잠신중]]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 - [[연세대학교 야구부|연세대]][* 스포츠레저학과 11학번.] || || '''신체''' ||188cm, 90kg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1년/신인드래프트#s-3|2011년 9라운드]] (전체 72번, [[KIA 타이거즈|KIA]])-- [br]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s-3.2|2015년 2차 8라운드]] (전체 74번, [[kt wiz|kt]]) || || '''소속팀''' ||[[kt wiz]] (2015~2017) || || '''지도자''' ||[[NC 다이노스]] 1군 타격보조코치 (2022)[br][[KIA 타이거즈/2군|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휘문고 재학 시절에는 주전 내야수이자 2번 타자로 활약했으며, 2010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8강전에서 당시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팀이었던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를 상대로 0-1로 뒤진 9회 초 1사 2루에서 광주일고 좌완 에이스 --[[유창식]]--의 2구째를 받아쳐 우익수 키를 넘기는 동점 1타점 3루타를 때렸으며, 승부치기로 진행된 연장 10회 초 1사 2, 3루에서는 좌익수 앞에 떨어지는 행운의 안타로 2타점을 올렸고, 11회에는 7-3으로 앞선 2사 3루에서 1타점 쐐기 중전 안타를 날렸다. 총 6타수 3안타·4타점의 맹타. 특히 3안타 모두 최고 시속 148㎞의 강속구를 뿌리는 당시 고교 투수 최대어 유창식을 상대로 뽑아냈다는 점에서 더욱 값진 활약이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4149387#home|#]] 이후 졸업을 앞두고 신인 드래프트에 참여해 9라운드에서 [[KIA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았으나, KIA 입단 대신 대학 진학을 택하면서 휘문고를 졸업하고 연세대로 진학했으며, 대학 진학 후에는 외야수로 전향했다. [[https://m.blog.naver.com/kusf_sport/110188050433|#]] 대학시절 [[최영환]]을 상대로 연타석 홈런을 기록한 적이 있으며[[https://blog.naver.com/sis_boom_bah/10168273710|#]], 제 68회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홈런상을 수상하였다. === [[kt wiz]]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t박태원.jpg|width=100%]]}}}|| 연세대 진학 후에는 [[한국프로야구/2015년/신인드래프트|2015년 신인드래프트 2차 8라운드 74순위]]로 [[kt wiz]]에 입단했다가 2017년 은퇴했다. kt에 있는 3년간 1군 경력은 전무했으며 대부분 kt 팬들조차 그의 존재를 모르던 무명 선수였다. == 지도자 경력 == === [[NC 다이노스]] === kt에서 방출된 뒤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넘어갔으며, 귀국 후 모교 연세대 대학원[* 프로야구선수 출신임에도 대학원을 졸업 및 학위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작성하는 등 학업능력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에서 공부를 계속 하다가 2022년부터 [[NC 다이노스]]의 코치로 영입되면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보직은 1군 타격보조코치. 하지만 [[채종범]]과 함께 2022 시즌 팀 타격이 부진한 원인으로 지목받으면서 평가는 좋지 못하다. 다만 메인 타격코치는 채종범이고 박태원은 보조코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판은 채종범 쪽에 몰렸고, 박태원 관련 비판은 어린 나이의[* 2022년 시즌 기준 팀 내 주축 타자들인 [[양의지]], [[손아섭]], [[박건우]]보다도 어리다.] 코치를 뜬금없이 1군 타격코치로 세운 게 맞냐는 프런트에 대한 비판에 가깝다. 결국 시즌 종료 후 1년만에 NC를 떠났다. === [[KIA 타이거즈]] === 2023년 KIA 퓨처스팀의 타격코치로 선임됐다. NC에서 채종범과 세트로 까였던 것과 달리 KIA에서는 반응이 괜찮은 편. 2022년과 비교하여 퓨처스 팀 지표를 비롯해 개인스텟을 봐도 타격부분에서 스텝업한 선수들이 많이 늘어났고, 2군에 있던 선수들이 1군 콜업되자마자 맹타를 휘둘렀기에 KIA팬들은 박태원의 코칭능력을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2023년 퓨처스리그 전체 '''팀홈런, 팀타점 1위'''를 기록했다. 정확하게 팀홈런 88개를 기록하였는데, 퓨처스리그 팀홈런 2위를 기록한 두산과 20개 차이를 보이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2019년 반발계수를 줄인 공인구로 변경한 이후 퓨처스리그에서는 평균 50개 정도의 팀홈런을 기록했다는 점을 보았을 때 대단한 수치이다. 참고로 2019년 이후 퓨처스리그에서 팀홈런 80개를 넘긴 팀은 23시즌의 기아가 유일하다. 또한, 매시즌 유망주에 머물던 김석환을 퓨처스 전체 홈런, 타점 2관왕에 올리며 호평이 많다. 만년 꼴찌에 허덕이던 기아 퓨처스팀을 환골탈태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며, 내부평가도 좋은 것으로 보인다. 한가지 여담이 있다면 22시즌 2군에서 1할을 기록했던 [[한승연(야구선수)|한승연]]을 적극 코칭해 23시즌 남부리그 홈런 상위권을 찍게 만들게한 큰 장본인이다.[* 한승연의 인터뷰에 따르면 박태원 코치의 코칭과 달라진 마인드로 올해 좋은 성적을 찍을수 있었다고 밝혔다.[[https://www.youtube.com/watch?v=lCLNkcEM04g&t=87s|#]]] 구단 유튜브에 나와 인터뷰한 내용에 따르면 다양한 데이터를 잘 다루고, 선수에 따른 맞춤형 코칭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튜브 영상 인터뷰에서 말을 상당히 잘해 팬들에게 호평이 많다[[https://www.youtube.com/watch?v=IF_IxZIrxoI&t=27s|#]].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장타율 || 출루율 || || 2015 ||<|3> [[kt wiz|kt]] ||<|3><-13> 1군 기록 없음 || || 2016 || || 2017 || ||<-2> '''[[KBO 리그|KBO]] 통산''' ||<-13> 1군 기록 없음 || == 여담 == * 빠른 생일이지만 1992년생들과 같이 학교를 다녔다. 성동초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공부를 잘해 수업을 종종 빠지는 야구부였음에도 중간, 기말고사를 보는 사립초등학교에서 6년 내내 일반학생들과 전교 1등까지 다투었다고 한다. * [[NC 다이노스]]에 코치로 부임하면서 휘문고 동문인 [[박민우]]와 재회하게 되었다.[* 박민우는 휘문고 재학 시절 팔꿈치 수술로 1년 유급했다.] * 2022 시즌 '''KBO 리그 최연소 코치'''였다. 구단을 가리지 않고 박태원보다 나이가 많은 선수들이 상당히 많았다. 기존 최연소 코치였던 [[롯데 자이언츠]]의 [[나경민]] 코치보다 1살 어리다. * 운동선수가 공부를 못해서 운동을 한다는 이미지가 싫었기 때문에 운동도 공부도 절대 놓치지 않았다고 하였다. 또한, 대학시절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며 운동과 공부를 잘하는 학생선수로 명성이 높았다고 한다[[https://blog.naver.com/kusf_sport/110188050433|#]]. * 대학졸업반일 때 학점이 4.3만점에 4.3을 받으며 연세대에서 과수석을 차지한바 있다[[https://blog.naver.com/sis_boom_bah/220201274879|#]].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휘문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kt wiz/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