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7년 한국시리즈|{{{#ffffff 1997}}}]]'''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1995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8번}}}''' || || [[김대현(1962)|김대현]][br](1986~1988) || {{{+1 →}}} || '''{{{#ff0000 박진철[br](1993~1996)}}}''' || {{{+1 →}}} || [[이원식(야구)|이원식]][br](1999~2004)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1번}}}''' || || [[최재영(야구)|최재영]][br](1994~1996) || {{{+1 →}}} || '''{{{#ff0000 박진철[br](1997~2000)}}}''' || {{{+1 →}}} || 이윤학[br](2001) || ||<-5> '''{{{#fff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14번}}}''' || || 김경진[br](1999~2000) || {{{+1 →}}} || '''{{{#f01e23 박진철[br](2001~2003)}}}''' || {{{+1 →}}} || [[심재학]][br](2004~200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5번}}}''' || || [[진필중]][br](1995~2002) || {{{+1 →}}} || '''{{{#000 박진철[br](2004)}}}''' || {{{+1 →}}} || 김태구[br](2005) || }}} || ---- ||<-2>
'''{{{+2 박진철}}}''' || ||<|2> '''출생''' ||[[1975년]] [[2월 28일]] ([age(1975-02-28)]세) || ||[[전라남도]] [[함평군]][*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태어난 곳은 함평이고 이후 광주로 이사가서 야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서림초 - [[광주진흥중학교|진흥중]] -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언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3년/신인드래프트#s-4.1.6|1993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해태 타이거즈|해태]]) || ||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 (1993~2003)''' [br] [[두산 베어스]] (200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해태-KIA와 두산에서 활약했던 잠수함 투수였다. == 선수 경력 == 원래는 투수가 아니라 1루수였다. 그러다가 광주진흥고 입학 당시 키가 크다는 이유로 1루수에서 [[언더핸드]] 투수로 전향했으며, 진흥고 졸업 후 1993년 고졸연고계약으로 연고 팀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데뷔 첫 해인 1993년에 1승을 기록한 걸 제외하면 1994년까지 거의 2군에만 머물렀다. 1995년 시즌 1군 1경기에 등판했으나 승수를 올리지는 못했다. 한 때 오버핸드 투수로의 전향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그 즈음 영장이 나와 '''현역'''으로 입대해 군 복무를 수행했다.[* 당시 [[상무 피닉스 야구단]]은 프로 선수들의 입대를 허용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홈 경기에 한해 출장이 가능한 방위병으로 병역의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아예 현역으로 입대한 사례가 종종 있었는데, [[최향남]], [[이도형]] 등이 90년대에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친 사례다.]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온 1997년부터 1군에 자리잡아 [[추격조]]로 간간히 나오기 시작했고, [[1997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어 2차전에 팀이 지고있는 상황에 추격조로 등판했다. 팀이 우승해 우승반지를 얻었고[* 다만 기여도가 낮아서인지 우승 보너스가 50만원밖에 안나왔다고 한다.], 그 다음해인 1998년 시즌에는 1승을 기록했다. 타고투저가 심각했던 1999년 시즌에는 팀 사정상[* 이 해 해태는 팀 홈런 210개, 팀 타점 723개로 [[양준혁]], [[홍현우]], [[트레이시 샌더스]], [[장성호]]가 버티고 있던 막강한 타선에 비해 투수진이 매우 부실했다. 우선 [[임창용]]이 [[삼성 라이온즈]]로 현금 트레이드되었고, [[이강철]]과 [[이대진]]은 각각 무릎과 어깨 부상으로 일찌감치 시즌 아웃, 여기에 시즌 중에는 젊은 유망주 [[김상진(1977)|김상진]]이 위암으로 작고했다. 팀 내 최다승 투수였던 [[곽현희]]의 경우 평균자책점이 무려 6.15였으며 팀 평균자책점은 무려 5.21로 투수진이 최악인 상황이었다.] 선발투수로 전업해 114이닝 3승 7패 ERA 5.20을 기록하며 sWAR 2.10을 달성했다. 그해 4월 17일 [[현대 유니콘스]]와의 경기에 선발로 등판해 9회 1사까지 [[노히트 노런]]을 하다가 연속 몸에 맞는 볼과 패스트볼 그리고 [[박경완]]의 [[스퀴즈 번트]]로 실점해 KBO 역사상 실점으로 노히트노런이 무산된 유일무이한 사례를 기록하였다. 여담이지만 해태 타이거즈라는 이름으로 치러진 마지막 경기에서 선발투수로 출전하였다. 즉, 해태의 마지막 선발투수다. 하지만 그 경기는 난타전이 되면서 노디시전. 이후 팀명이 [[KIA 타이거즈]]로 바뀐 2003년까지 주로 추격조로 활동했으며, 2003년 시즌 종료 후 [[심재학]]을 상대로 [[황윤성(야구선수)|황윤성]]과 함께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되었으나 1년만에 두산에서 방출당하며 그대로 은퇴했다.[* 겨우 트레이드가 되었던 참에 부상을 당해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프런트에서 자비로 수술하라는 말에 격분해서 그 자리에서 박차고 나왔다고 한다.]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김태완(1966)|김태완]]이 술회하기를 대만 전지훈련 당시, 그가 묵던 객실에서 바깥으로 술병을 던져 대만 경찰이 긴급히 출동하는 사태가 있었으며 자칫 대만 전훈 중단 및 전원 귀국의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매니저가 온갖 선물 공세로 대만 경찰을 되돌려 보냈다고 말했다. == 여담 == * 키가 194cm으로 현역시절에는 프로야구 최장신 선수 기록을 갖고 있었다.[* 1998년 당시에는 196cm라고 OB 베어스와의 개막전 경기에서 중계방송했던 MBC 중계진이 언급하였다.] 그래서 그런지 키 크고 덩치 좋은 선수를 선호하던 [[김응용|코감독]]이 절대 다른 팀으로 보내주지 않았다고 한다. * 긁히는 날에는 선발로 7~8이닝 정도 먹어줄 수 있는 선수였으나, 이 선수의 문제는 제구력. 키 큰데도 언더로 던지는 이유가 제구력 때문이었다. 당시는 제구력 향상을 위해 언더핸드 전향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박진철도 이러한 케이스였다. * 고교 후배 [[임창용]]과 함께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했으며 2023년 8월 중순에 방영됐다. * 현재는 야구와 거리를 두고 [[경기도]] [[양평군]]에 장모 성함을 딴 가게이름[* 미자네숯불갈비]으로 고깃집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5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광주진흥고등학교 출신]][[분류:우언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