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박지훈(동명이인))] || '''박지훈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IA 타이거즈 1차 지명 선수)] ---- ||
'''박지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7번}}}''' || || [[정용운]][br](2011) || {{{+1 →}}} || '''{{{#fff 박지훈[br](2012~2014)}}}''' || {{{+1 →}}} || [[신창호]][br](2015~2016.6.30.)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9번}}}''' || || [[박동민]][br](2016) || {{{+1 →}}} || '''{{{#ffffff 박지훈[br](2017)}}}''' || {{{+1 →}}} || [[하준영]][br](2018~2021)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37번}}}''' || || [[배힘찬]][br](2016.7.1.~2017) || {{{+1 →}}} || '''{{{#ffffff 박지훈[br](2018~2019)}}}''' || {{{+1 →}}} || [[이우성(야구선수)|이우성]][br](2020~2021)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gers_co_kr_20171016_144136.jpg|width=100%]]}}}|| ||<-2> '''{{{+2 박지훈}}}[br]朴志燻 | Park Ji-Hoon''' || ||<|2> '''출생''' ||[[1989년]] [[9월 21일]] ([age(1989-09-21)]세) || ||[[대구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본리초등학교|본리초]] - [[대구중학교|대구중]]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2년/신인드래프트#s-3|2012년 1라운드]] (전체 4번,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12~2019)'''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4~2016)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KIA 타이거즈]]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파일:경북고 박지훈.jpg]]||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 시절 || ||[[파일:단국대 박지훈.jpg]]|| ||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 시절 ||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고등학교]]를 나온 지라 [[배영수]]를 가장 존경하는 선수로 꼽았다. 2012년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KIA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았다. === [[KIA 타이거즈]]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109/2012/02/10/201202100959774415_1.jpg|width=100%]]}}}|| 그런데 지명 받을 때 [[영 좋지 않다|영 좋지 않은]] 표정이라 말이 많았다. 원하던 팀 [[삼성 라이온즈]]에 뽑히지 않아 징징거리는 거라며 욕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http://sports.news.nate.com/view/20101107n04734|집안 사정이 좋지 않았음]]을 감안하면 혼자서 타지 생활을 해야 한다는 걱정으로 착잡해서 그랬던 것으로 보인다. 저 사진 때문에 박지훈은 지명되자마자 썩지훈이란 별명이 생겼다(…). 그동안 고생하신 어머니 생각에 눈물이 난 표정이라고 본인이 해명했다. 여담으로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의 [[김시진]] 감독이 드래프트 당시 박지훈을 탐을 내서 뽑자고 했으나, [[이장석]]이 "아니다. 고교야구를 씹어먹은 애는 뭐가 달라도 다르다."라며 [[한현희]]를 뽑았다. === [[박지훈(야구선수)/2012년|201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지훈(야구선수)/2012년)] 유일한 필승조(...)였던 [[손영민]]마저 부상과 개인사로 인해 전력에서 이탈하면서 혼자서 제 몫을 해주었다. 다만 신인이어서 그런지, 시즌 후반에는 체력 저하로 부진하였다. === [[박지훈(야구선수)/2013년|201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지훈(야구선수)/2013년)] 구속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다 보니 제구가 되지 않아 시즌 초에는 별로 활약하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 밸런스가 갖춰진 후 시즌 중반부터 올라와서 다시 필승조 역할을 해주기 시작했(…)으나, 후반기에 들어서면서 다시 털리며 부진하였다. 결국 10.92라는 충공깽 그 자체의 [[평균자책점]]으로 시즌을 마감하고 말았다. === 군입대 === 전년도의 부진 이후 2014년 [[스프링캠프]] 도중 팔꿈치 부상으로 조기 귀국했다. 결국 2014년 5월 27일에 팔꿈치 수술을 받으며 시즌을 마감했다. 이에 따라 군 복무 및 재활 병행이 확정되어, 2014년 12월 8일부터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기로 했다. 특이하게도 본가인 대구가 아닌, [[KIA 타이거즈]] [[기아 챌린저스 필드|2군 구장]]이 있는 [[함평군]]에서 복무 중인 것이 확인됐다. 선수관리 취지로 당시 [[스카우트]] 팀에 재직 중이던 [[정회열]]이 박지훈에게 주소를 옮겨서 함평에서 복무할 것을 제안했다고 한다. [[기아 챌린저스 필드]] 내 클럽하우스에서 숙식하면서 평일에는 함평공설운동장에서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하고, 일과시간이 끝난 이후나 주말에는 [[기아 챌린저스 필드]]에서 재활 겸 야구 훈련을 하는 것. 훗날 이러한 패턴을 팀 후배 투수인 [[이민우(야구선수)|이민우]]가 그대로 밟게 되었다. 2016년 12월 9일에 복무를 마치고 소집 해제됐다. === 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125896_153659_1456_99_20170411221604.jpg|width=100%]]}}}|| 소집 해제 후 [[한승혁]], [[임창용]]과 함께 뒷문이 부실한 기아의 필승조 요원으로 낙점됐다. [[스프링캠프]]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였고, 시범경기 5경기서 5⅓이닝 동안 단 1실점만 하며 건재함을 알렸다. 4월 1일 대구 삼성전, 선발 투수 [[팻 딘]]의 다음 투수로 나와 삼진 2개를 곁들이며 8회를 마무리했다. 이 날 [[심동섭]]과 더불어 유일하게 사람 노릇을 해준 불펜 요원. 4월 4일 SK전, 좋은 피칭을 보인 [[한승혁]]의 뒤를 이어 올라와 9회를 삭제했다. 4월 16일 넥센전에서 이 날 제구가 안 되는 [[손영민]]의 뒤를 이어 마운드에 등판했고, 팀이 역전승하며 이 날의 승리투수가 되었다. 4월 22일 LG전에선 5:2로 이기고 있을 때 올라와 첫타자 [[이형종]]에게 안타를 맞고 [[손주인]], [[박용택]]과 모두 풀 카운트까지 가는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외야 플라이와 삼진으로 막아 냈다. 이후 [[루이스 히메네스(1988)|히메네스]]를 내야 플라이로 잡아내며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으로 홀드를 챙겼다. 현재까지는 KIA에서 거의 유일한 불펜 믿을맨인 듯. 4월 25일 삼성전에서는 선발 [[임기영]]의 뒤를 이어 올라와서 대타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에게 안타를 허용했으나, 바로 [[박해민]]에게 병살타를 유도해 냈다. 2사에 [[강한울(야구선수)|강한울]]에게 다시 안타를 내주고 [[구자욱]]에게 3구 연속 볼을 던졌으나 그 이후 3구 연속 몸쪽 스트라이크를 꽂아넣어 루킹 삼진을 이끌어 내고 홀드를 챙겼다. 이후 타자들이 폭발해서 팀은 11:3으로 승리. 5월 3일 8회에 등판하여 아웃카운트 하나만 잡고 내려갔다. 5월 14일 9회 말, SK전에 등판하여 공 1개를 던져 [[김동엽(1990)|김동엽]]에게 끝내기 홈런을 맞았다. 5월 23일 한화전에서 5실점을 했다. 폼이 슬슬 떨어지는 모습이 확연히 보일 정도. 5월 27일 롯데전에선 팩질로 만루를 만들며 망해버렸다. 이후 아름다운 2군행. 시즌 초반 [[한승혁]], [[임창용]]을 필두로 한 필승조 불펜진이 무너지면서 답이 없는 KIA 불펜의 힘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받았지만 그것도 4월까지. 이후 얻어맞는 횟수가 눈에 띄게 늘며 구위 자체가 가벼워진 게 눈에 보인다. 5월 27일 말소된 이후 부상에 시달리며,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 2018 시즌 === 계속 재활을 이어갔다. 2군에서 조차 4월에 3경기 뛴게 전부다. 사이버투수가 되는 줄 알았으나... 마무리캠프 영상에 등장한 것으로 보아 내년엔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일단 팔각도를 스리쿼터로 내리고 내년 시즌을 맞이한다고 한다. === 2019 시즌 === '''드디어 스프링캠프 명단에 이름이 올렸다.''' 만일 박지훈마저 돌아온다면 KIA의 불펜은 정말로 넉넉한 팀이 될 것이다. 특히 두둑한 배짱인 박지훈이 옛날 모습으로 제대로 된 공을 뿌려댄다면, 또 다른 마무리 후보로 등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별다른 활약 없이 1군은 물론이며, 2군 기록조차 거의 없이 사라져 버렸다. 시즌 종료 후 결국 방출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http://m.kwangju.co.kr/article.php?aid=1574256000683161011|#]] 들리는 소문에 따르면 통증이 심하고 구속이 올라오지 않아 선수 생활을 그만뒀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 은퇴 === 은퇴 후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광주광역시 북구)|용봉동]]에 『박지훈의 야구매니아』라는 개인 야구레슨장을 차렸다.[* 정확한 주소는 북구 용봉동 문화소통로 70-1. 용봉동 파출소 근처에 있다.] 2020년 1월 18일에 열린 [[윤석민(투수)|윤석민]] 팬 은퇴 기념 행사에 등장하여 야구레슨장을 차렸다는 것을 알리고, 한 팬에게 1개월 무료수강권을 경품으로 나눠줬다. 같은 팀이었던 [[김지성(야구)|김지성]], [[고장혁]]이 코치로 있다. 2022년 초에 야구 예능 [[빽 투 더 그라운드]] 1기 공개 입단 테스트에 참여했는데, 아쉽게도 선발되지 못했다. 대신, 8화에서 상대팀인 '드림리턴즈'의 선발 투수로 출전. == 피칭 스타일 == [[경북고등학교 야구부|경북고등학교]] 시절에는 130km/h 중후반에서 140km/h 초반까지 구속이 상승하며 에이스 역할을 했으나, 2008 드래프트에서 지명을 받지 못했다. 직구 구속은 뛰어나나 커맨드나 변화구 제구가 부족했던 것이 원인이었던 듯.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학교]] 시절에는 140km/h대 초반의 구속과 다양한 변화구를 가지고 있는 즉시전력감 선수로 평가받았다. 130km/h 정도에서 형성되는 각도가 괜찮은 슬라이더와 주 무기로 쓰는 스플리터가 매우 인상적이다. 프로 2년차인 2013년에는 구속과 구위를 끌어올리며 150km/h대의 속구와 140km/h대에서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장착했다. 영점만 제대로 잡힌다면 강속구로 윽박지르는 피칭도 기대해 볼 만하다. [[윤석민(투수)|윤석민]]과 비슷한 매우 부드러운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2 ||<|8> [[KIA 타이거즈|KIA]] || 50 || 61⅓ || 3 || 3 || 2 || 10 || 0.500 || 3.38 || 55 || 3 || 35 || 37 || 25 || 23 || 1.39 || || 2013 || 35 || 29⅔ || 2 || 1 || 1 || 4 || 0.667 || 10.92 || 48 || 6 || 23 || 27 || 36 || 35 || 2.36 || || 2014 ||<-15> 1군 기록 없음 || || 2015 ||<|2><-15> 군복무([[사회복무요원]]) || || 2016 || || 2017 || 18 || 14 || 1 || 1 || 0 || 4 || 0.500 || 7.07 || 16 || 1 || 10 || 10 || 12 || 11 || 1.79 || || 2018 ||<|2><-15> 1군 기록 없음 || || 2019 || ||<-2> '''[[KBO 리그]] 통산[br](3시즌)''' || 103 || 105 || 6 || 5 || 3 || 18 || 0.545 || 6.00 || 119 || 10 || 68 || 74 || 73 || 70 || 1.71 || == 여담 == [[파일:RxPMq1r.jpg]] * 감정 표현이 거의 없다. 항목에 게시된 사진들을 봐도 거의 표정이 똑같은 편. 하지만 그도 [[http://gall.dcinside.com/list.php?id=tigers&no=3515395&page=1&recommend=1&recommend=1&bbs=|환하게 웃을 때가 있다!]] 웃을 때 보이는 [[덧니]]도 그의 매력 포인트(?) 중 하나. * 모자에 가려져서 보기 힘들지만, 오른쪽 눈썹 근처의 관자놀이쯤 되는 곳에 점이 하나 있다. [[파일:attachment/PJH_Dreamteam.jpg]] * [[단국대학교]] 재학 중이던 2009년 겨울, [[출발 드림팀]] [[KIA 타이거즈]]편에서 얼굴을 보인 바 있다. [[http://blog.naver.com/v_tigers?Redirect=Log&logNo=10143371717|출처]] * 마구마구2014에서 13 박지훈은 놀랍게도 '''레어카드'''로 나왔다(…)[* 아무리 이 게임에서 레어카드가 영 좋지않은 취급을 받는다지만 당장 본인의 12시즌 카드도 스페로 겨우 나왔을 정도인데 이건 너무한 게 아니냐는 원성을 들었다. 거기다 타올에서 이 시점까지 쓸만한 계투가 박지훈 이외에 03 신용운(…) 정도 밖에 없어서 타올 유저들에겐 필수 카드로 쓰였을 정도. 현재는 09 [[손영민]], 06 [[신용운]], 88 [[방수원]](가명 이주관), 91 [[김정수(1962)|김정수]](가명 문상현)플래티넘 추가로 그나마 나아졌다.]. * 대졸 선수가 고졸 선수에 비해 가질 수 있는 장점을 [[http://news.donga.com/amp/all/20120605/46789469/1|설명한 적이 있다.]] * 2022년 4월 방영된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1996 한국시리즈|96]], [[1997 한국시리즈|97]]시즌 우승 멤버인 [[박재용]]과 함께 동반출연했고, 8월 1일에는 투수 선배인 [[윤석민(투수)|윤석민]]과 함께 출연했다. 촬영장소 역시 박지훈이 운영하는 야구레슨장이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2019년 은퇴]][[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