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박준면}}}[br]Park Joon Myu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준면.jpg|width=100%]]}}} || || '''출생''' ||[[1976년]] [[3월 11일]] ([age(1976-03-1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데뷔''' ||1994년 연극 <노부인의 방문> || || '''소속사''' ||퀀텀이엔엠 || || '''직업''' ||배우, 싱어송라이터 || || '''가족 ''' ||배우자 [[정진영(소설가)|정진영]][* 前 문화일보 기자, 現 소설가. [[JTBC]]의 드라마 [[허쉬(드라마)|허쉬]]의 원작소설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61284302?cat_id=50010002&frm=PBOKPRO&query=%EC%B9%A8%EB%AC%B5%EC%A3%BC%EC%9D%98%EB%B3%B4&NaPm=ct%3Dlahv0gm8%7Cci%3Dda55bf8a8fca8bea560417f5299986ff3ce3ad43%7Ctr%3Dboknx%7Csn%3D95694%7Chk%3D3464c935144c6eac2ff491097d1fdd6e4ac87c26|침묵주의보]]를 썼다.][* 박준면보다 5살이 어리다]^^(2015년 8월 13일 ~ 현재)^^|| || '''MBTI''' ||[[INFP]]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junmuynpar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로 1994년 한ꞏ독 합작 연극 <노부인의 방문>으로 데뷔했다. 무대와 스크린을 넘나들며 신스틸러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2015년 8월에 5살 연하의 일간지 기자인 정진영과 같이 서울 용산구청에서 혼인신고로 결혼했다.[* 30대 말에 강산에의 권유로 작곡을 시작해 2014년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운 앨범 <아무도 없는 방>을 발표했다. 당시 음반과 관련해 자신을 처음 인터뷰한 기자가 지금의 남편이었다고 한다.] 뮤지컬 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고스트(뮤지컬)|고스트]], [[맘마 미아(뮤지컬)|맘마미아!]], [[미세스 다웃파이어(뮤지컬)|미세스 다웃파이어]]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해 연기력을 인정받아 제19회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다양한 무대에서 보여준 출중한 가창력을 바탕으로 예능에서도 활약 중이다. [[힙합의 민족2]]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특히 영입전에서 이센스의 삐끗을 선곡해 [[https://youtu.be/WUlq0jmCvpA|#]] 화제가 되기도 했다.] [[불후의 명곡]] 331회에서는 [[김현식]]의 <이별의 종착역>을 부르면서 우승한 전적이 있다. 2014년 전곡을 자작곡으로 채운 앨범 [[https://www.melon.com/album/detail.htm?albumId=2256171|아무도 없는 방]]을 발표하며 싱어송라이터로도 활동해 주목을 받았다. 이 앨범은 한겨레가 선정한 [[https://www.hani.co.kr/arti/culture/music/671129.html|2014년 가장 과소평가된 앨범]]이라는 평단의 호평[* 한동윤 음악평론가는 “섬세한 표현력과 깊은 울림의 보컬, 배우임을 잊게 하는 싱어송라이터로의 멋진 변신”이라고 평했다.]을 받기도 했다. == 출연작 == === 공연 === ==== 뮤지컬 및 연극 ==== ||
{{{#white '''연도'''}}} || {{{#white '''작품명'''}}} || {{{#white '''공연장소'''}}} || {{{#white '''배역'''}}} || || 1994년 || 노부인의 방문 || [[국립극장]] 대극장 || 마을사람 || || 1995년 || [[명성황후(뮤지컬)|명성황후]]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앙상블 || || 1996년 || 쇼코메디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앙상블 || || 1997년 || [[브로드웨이 42번가]]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메기 || || 1998년 || [[그리스(뮤지컬)|그리스]] || 호암아트홀 || 잔 || ||<|2> 2000년 || 듀엣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앙상블 || || [[렌트]]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솔리스트, 앙상블 || ||<|2> 2001년 || 청춘예찬 || 강강술래극장 || 간질 || || [[시카고(뮤지컬)|시카고]] || [[세종문화회관]] || 후넉 || ||<|3> 2002년 || [[유린타운]]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바비 엄마 || || 청춘예찬 || 학전블루소극장 || 간질 || || 삽 아니면 도끼 || 대학로 열린극장 || 아내 || || 2003년 || 사무엘 베케트의 연극 || 아트홀 스타시티 || 여자2 || ||<|2> 2004년 || 와이키키 브라더스 || 뮤지컬 전용관 팝콘하우스 || 영자[* 제10회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 || 세미뮤지컬 우먼 || 한양레퍼토리 씨어터 || 여자1 || ||<|2> 2005년 || 행진! 와이키키 브라더스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영자 || || 하드락 카페 || 폴리미디어 씨어터 || 세리[* 제11회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조연상 후보.] || || 2006년 || 밴디트 ||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 마리 || || 2008년 || [[씨왓아이워너씨]]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영매[* 제14회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조연상 수상.] || || 2009년 || [[올슉업]]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마틸다 || || 2009~2012년 || 천변살롱 || [[두산아트센터]] 등 || 박모단 || || 2012~2013년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 [[블루스퀘어]] 등 || 테나르디에 부인[* 제19회 한국뮤지컬대상 여우조연상 수상.] || ||<|2> 2015년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등 || 마마 ||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재연] || [[블루스퀘어]] 등 || 테나르디에 부인 || || 2018년 || [[폐경|메노포즈]] || [[광림아트센터]] BBCH홀 || IH전업주부 || || 2019년 || [[맘마 미아(뮤지컬)|맘마미아]] || [[LG아트센터]] || 로지 || || 2020~2021년 || [[고스트(뮤지컬)|고스트]] || [[디큐브아트센터]] || 오다 메 브라운 || || 2022년 || [[미세스 다웃파이어(뮤지컬)|미세스 다웃파이어]] || [[샤롯데씨어터]] || 완다 || || 2023년 || [[맘마 미아(뮤지컬)|맘마미아]] || [[충무아트센터]] 대극장 || 로지 || || 2023~2024년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 [[드림씨어터]][br][[블루스퀘어]] || 테나르디에 부인 || ==== 콘서트 ==== ||
{{{#white '''연도'''}}} || {{{#white '''일자'''}}} || {{{#white '''콘서트명'''}}} || {{{#white '''공연장소'''}}} || ||<|2> 2014년 || 7월 18일 || 박준면 콘서트 || 클럽오뙤르 || || 9월 12일 || 박준면 전석 매진 앵콜 콘서트 || 벨로주 || ||<|2> 2015년 || 3월 18일 || 커피콘서트 3 박준면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 || 7월 31일 || 울산서머페스티벌 || 태화강대공원 || ||<|2> 2016년 || 7월 29일 || 라이브클럽데이 || 클럽 타 || || 11월 2일 || 박준면 오랜만에 콘서트 || 벨로주 || || 2023년 || 5월 28일 || [[서울재즈페스티벌]] || 올림픽공원 88호수수변무대 || === 드라마 === ||
{{{#white '''방영 연도'''}}} || {{{#white '''방송사'''}}} || {{{#white '''작품명'''}}}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2005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시티]] - 다 함께 차차차 || 정자 ||<|5> 조연 || || 2006년 || 추석 특집 드라마 - 무기여 잘 있거라 || 동순 || || 2007년 ||<|2>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아현동 마님]] || 백금녀 || || 2009년 || [[내조의 여왕]] || 지애 선배 || ||<|2> 2010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결혼해주세요]] || 용미홍 ||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5]]]] || [[신의 퀴즈]] || 조영실 || 주연 || ||<|3> 2011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신기생뎐(드라마)|신기생뎐]] || 노은자 || 조연 ||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5]]]] || [[신의 퀴즈]] 시즌2 || 조영실 || 주연 ||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height=15]]]] || [[고봉실 아줌마 구하기]] || 변미자 ||<|2> 조연 || ||<|2> 2012년 || [[SBS Plus|[[파일:SBS Plus 로고(2009~2018).svg|width=40]]]] || [[그대를 사랑합니다(드라마)|그대를 사랑합니다]] || 맹신혜 ||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5]]]] || [[신의 퀴즈]] 시즌3 || 조영실 ||<|3> 주연 || ||<|4> 2014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KBS 드라마 스페셜]] - 돌날 || 미선 ||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5]]]] || [[신의 퀴즈]] 시즌4 || 조영실 ||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황금거탑]] || 준혁 아내 ||<|5> 조연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달콤한 비밀]] || 오선화 || ||<|5> 2015년 || [[블러드(드라마)|블러드]] || 이영주 || ||<|5>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내일을 향해 뛰어라 || 왕미녀 || || [[가면(드라마)|가면]] || 여부장 || || [[너를 사랑한 시간]] || 진상손님 || 특별출연 || || [[심야식당(SBS)|심야식당]] || 뚱녀 ||<|3> 조연 || ||<|2> 2017년 || [[사임당, 빛의 일기]] || 고혜정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완벽한 아내]] || 양순봉 || ||<|2> 2018년 ||<|2>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5]]]] || [[쇼트(드라마)|쇼트]] || 만복 모 ||<|2> 주연 || || [[신의 퀴즈: 리부트]] || 조영실 || || 2019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동네변호사 조들호2: 죄와 벌]] || 김숙희 ||<|2> 특별출연 || || 2021년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height=15]]]] || [[결혼작사 이혼작곡]] || 오들희 || || 2022년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슈룹]] || [[슈룹/등장인물#s-7.1|신상궁]] ||<|2> 조연 || === 영화 === ||
{{{#white '''연도'''}}} || {{{#white '''작품명'''}}} || {{{#white '''배역'''}}} || {{{#white '''비고'''}}} || || 2000년 || [[행복한 장의사]] || 부부 장의사 부인 || || || 2001년 || 고추 말리기 || 희선 || [* 제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관객상 및 우수상(1999), 제25회 서울독립영화제 우수작품상(1999), 제50회 베를린국제영화제 넷팩상 특별언급(2000).] || || 2005년 || [[주먹이 운다(영화)|주먹이 운다]] || 뚱녀 || || ||<|3> 2006년 || [[잘 살아보세]] || 덕팔 처 || || || [[삼거리극장]] || 에리사/매점/하쉬바 || || ||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 왕곱단 || || ||<|2> 2007년 || [[권순분 여사 납치사건]] || 안선녀 || || || 금지된 장난 || 아내 || 단편영화 || || 2008년 ||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영화)|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 까탈녀 || || || 2010년 || [[하모니(한국 영화)|하모니]] || 강연실 || || || 2011년 || [[투혼(한국 영화)|투혼]] || 뚱뚱한 간호사 || || || 2012년 || 러브 픽션 || 백선영 || || ||<|2> 2015년 || [[탐정: 더 비기닝]] || 빵집아줌마 || || || 어떤 살인 || 봉숙 || || || 2017년 || [[시간위의 집]] || 만신 || || ||<|2> 2018년 || [[뷰티풀 뱀파이어]] || 강물주 || [* 제22회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코리안판타스틱 부문 초청.] || || 냄새 || 집주인 || 단편영화 || || 2019년 || [[그대 이름은 장미]] || 강자 || || || 2021년 || 구구단 - 주홍 헬멧 || 준면 ||<|2> 단편영화 || || 2022년 || 아빠는 외계인 || 경애 || || 2023년 || [[밀수(영화)|밀수]] || 양금네 || || === 예능 및 교양 === ||
{{{#white '''연도'''}}} || {{{#white '''일자'''}}} || {{{#white '''방송사'''}}} || {{{#white '''프로그램'''}}} || {{{#white '''비고'''}}} || || 2005년 || 10월 1일 || [[EBS 1TV|[[파일:EBS 1TV 로고.svg|width=45]]]] || [[스페이스 공감]] 152회 || 공연 || || 2014년 || 11월 28일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백인백곡 - 끝까지 간다]] 5회 || 게스트 || ||<|4> 2015년 || 1월 8일 || [[EBS 1TV|[[파일:EBS 1TV 로고.svg|width=45]]]] || [[스페이스 공감]] 1088회 || 공연 || || 3월 30일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455회 || 게스트 || || 4월 25일~7월 11일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엄마가 보고 있다 || 고정 출연 || || 5월 3일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복면가왕]] || 게스트 || ||<|3> 2016년 || 1월 29일~2월 17일 || [[EBS 1TV|[[파일:EBS 1TV 로고.svg|width=45]]]] || [[스페이스 공감]] 특별기획 <재즈의 비밀>[* 2016년 제43회 한국방송대상 문화예술부문 작품상 수상] || 진행 || || 10월 18일~2017년 1월 17일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힙합의 민족 2]] || '''우승''' || || 10월 26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노래의 탄생]] 4회 || 게스트 || ||<|2> 2017년 || 1월 5일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잘 먹겠습니다]] 22회 || 게스트 || || 12월 2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불후의 명곡]] 331회 || '''우승''' || ||<|2> 2018년 || 8월 1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어쩌다 어른]] 146회 || 게스트 || || 10월 12일 ||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방구석1열]] 24회 || 게스트 || ||<|2> 2019년 || 7월 14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55]]]] || [[열린음악회]] 1251회 || 공연 || || 7월 23일 || [[MBC every1|[[파일:MBC every1 로고(2011-2022) 가로형.svg|width=100]]]] || [[비디오 스타]] 154회 || 게스트 || ||<|5> 2020년 || 3월 7일 ||<|4>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3> [[놀면 뭐하니?]] 32, 34, 38회 || 게스트 || || 3월 21일 || 게스트 || || 4월 18일 || 게스트 || || 9월 23일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687회 || 게스트 || || 11월 29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55]]]] || [[열린음악회]] 1312회 || 공연 || || 2021년 || 1월 23일 ||<|2> [[JTBC|[[파일:JTBC 로고.svg|height=17]]]] || [[아는 형님]] 265회 게스트 || 게스트 || ||<|4> 2022년 || 3월 14일~5월 30일 || [[뜨거운 씽어즈]] || 고정 출연 || || 4월 2일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불후의 명곡|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 549회 || 게스트 || || 7월 7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35회 || 게스트 || || 8월 24일 || [[MBC|[[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라디오 스타(황금어장)|라디오 스타]] 782회 || 게스트 || ||<|4> 2023년 || 3월 17일 ||<|2>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55]]]] || [[아침마당]] 9351회 || 게스트 || || 3월 26일 || [[열린음악회]] 1424회 || 공연 || || 5월 10일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SBS 나이트라인 ]] || 게스트 || || 6월 10일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도레미 마켓]] 277회 || 게스트 || === 라디오 === ||
{{{#white '''연도'''}}} || {{{#white '''일자'''}}} || {{{#white '''방송사'''}}} || {{{#white '''프로그램'''}}} || {{{#white '''비고'''}}} || ||<|3> 2014년 || 5월 23일 || [[KBS 2FM|[[파일:KBS CoolFM 로고.svg|width=100]]]] || 조정치 장동민의 두 시 || 게스트 || || 8월 9일 || [[TBS FM|[[파일:TBS FM 로고.svg|width=65]]]] || 오지혜의 좋은 사람들 || 게스트 || || 8월 20일 ||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width=110]]]] || [[아름다운 이 아침|아름다운 이 아침 김창완입니다]] || 게스트 || || 2016년 || || [[EBS FM|[[파일:EBS FM 로고.svg|width=68]]]] ||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게스트 || ||<|2> 2020년 || 10월 13일 || [[KBS 2FM|[[파일:KBS CoolFM 로고.svg|width=100]]]] || [[FM대행진|조우종의 FM대행진]] || 게스트 || || 11월 26일 || [[MBC FM4U|[[파일:mbc-fm4u.png|width=125]]]] || [[두시의 데이트|두시의 데이트 뮤지, 안영미입니다]] || 게스트 || || 2022년 || 6월 30일 ~ 현재 ||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width=110]]]] || [[박하선의 씨네타운]] || 고정 출연 || === 광고 === ||
{{{#white '''연도'''}}} || {{{#white '''기업'''}}} || {{{#white '''브랜드'''}}} || {{{#white '''비고'''}}} || || 2009년 || 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 에버리치 우체국예금보험 || [[https://www.adic.or.kr/ad/tv/show.do?ukey=4144&oid=@389967%7C11%7C1|광고 영상]] || || 2014년 || [[위니아]] || 위니아 제습기 습습송 || [[https://youtu.be/aAkb5N5whmg|광고 영상]] || === 화보 === ||
{{{#white '''발행연도'''}}} || {{{#white '''발행일'''}}} || {{{#white '''매체'''}}} || {{{#white '''비고'''}}} || || 2023년 || 6월호 || 더블유 코리아(W Korea) || [[https://www.wkorea.com/2023/05/25/%ec%9d%8c%ec%95%85%ec%9c%bc%eb%a1%9c-%eb%a7%8c%eb%82%9c-%ea%b3%a0%ec%83%81%ec%a7%80%ec%99%80-%eb%b0%95%ec%a4%80%eb%a9%b4/|화보]] || == 음반 == === 정규 === ==== 1집 아무도 없는 방 ==== ||<-5>
[[파일:아무도없는방.jpg|width=100%]] || ||<-5> '''아무도 없는 방'''(2014년 5월 15일 발매)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1 || '''우산은 하나''' || 박준면 || 박준면 || 타이틀 || || 2 || 아무도 없잖아 || 박준면 || 박준면 || || || 3 || 오던지 말던지 || 박준면 || 박준면 || || || 4 || 낮술 || 박준면 || 박준면 ||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0706000373|기사]]에 따르면 첫 자작곡이라고 한다.] || || 5 || 얼음 || 박준면 || 박준면 || || || 6 || 벌거벗은 당신 || 박준면 || 박준면 || || || 7 || 취한 밤 || 박준면 || 박준면 || || || 8 || 미련한 여자 || 박준면 || 박준면 || || || 9 || 늦여름 || 박준면 || 박준면 || || ===== 평단의 호평 ===== * 박준면의 노래는 이제는 쉽게 찾을 수 없는 어덜트 컨템퍼러리, 그러니까 성인 음악으로 부족함이 없다. 노랫말과 멜로디, 사운드로 빚어내는 정서는 삶이 만만치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살아있으므로 느낄 수밖에 없는 그리움과 외로움을 애써 피하지 않는 성인의 것이다. 우리에게 드물지 않았으나 이제는 갈수록 찾기 어려운 성인의 음악을 박준면은 보편적인 언어로 천박하지 않게 재현해냈다. 그래서 지나치게 빠르고 현란한 음악에 지치고, 그렇다고 옛날 음악에만 기댈 수도 없는 이들이 무심하게 곁에 두고 수시로 들어도 좋을 음악을 만들어냈다. 음악으로서의 가져야 할 힘이 있는 노래, 일컬어 좋은 가요다. 그냥 곁에 두고 생각날 때마다 듣고 싶어지는 노래다. 들을수록 새록새록 와 닿고 들을수록 더 좋아지는 노래다. 그녀의 삶 어디에서 이런 노래들이 흘러나와 그녀에게 닿았는지. 이제 배우 박준면은 뮤지션 박준면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 서정민갑(대중음악의견가) * 익숙한 얼굴이다. 이름을 모른 채로 그 익숙한 얼굴을 드라마와 영화에서 자주 접했다. 그는 데뷔한지 20년이 된 베테랑 배우이고, 연극과 뮤지컬에서 영화와 드라마로까지 영역을 넓혀왔다. 하지만 내가 박준면이란 이름과 얼굴을 일치시키게 된 건, 전적으로 그의 음악 덕분이었다. 그는 무대 위와 브라운관에서 주로 조연이었지만, 앨범 안에선 주연으로서 분명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조연(연주자)들의 뒷받침 속에서 박준면이란 이름을 확실하게 각인시켰다. - 김학선 (음악평론가) * 명성 있는 뮤지컬 배우가 대중음악 앨범을 내는 것은 사실 크게 화제가 될만한 일은 아니다. 오히려 지금까지의 경험상, 이 앨범은 무관심 속에 묻힐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좋은 음악이 외면당하는 것이 전적으로 청자들만의 잘못은 아니다. 그동안 이런 류의 결과물들이 보여줬던 '아르바이트'적인 의도와 성격에 대한 안 좋은 선입견이 자리하기 때문임을 또한 인정해야 한다. 요컨대, 본 작이 뮤지컬 배우의 흔한 가창 앨범이 아닌 준비된 싱어송라이터의 앨범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질 필요가 있다. 즉, 박준면은 자신의 경력에 기대지 않고 새로운 도전과 시작이라는 목적에 충실하게 부합하는 데뷔 앨범을 내놓았다. 블루스와 포크, 어덜트 컨템포러리의 감성이 자연스럽게 교차하는 앨범의 분위기는 시종일관 균형과 절제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박준면의 보컬은 극적인 효과를 내기보다는 곡의 특징적인 분위기를 살려내는데 주력한다. 그럼에도 앨범이 헤어나오기 힘든 매력을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결코 청자의 감성보다 앞서가지 않는 노련한 호흡과 감정처리로 세심하게 빚어낸 아홉 곡의 노래들이 하나의 훌륭한 앨범을 완성하고 있다. 오래 두고 깊이 음미할만한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 이태훈(음악평론가) ===== 네이버 온스테이지 라이브[* 2014년 8월 7일 네이버 온스테이지 194회 [[https://vibe.naver.com/onstage/season/2/article/5085|이것은 좋은 성인 가요]] 인용.] ===== [youtube(zbpEOSB08JI)] <아무도 없는 방>은 예상하지 못한, 그래서 더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양경렬 작가의 그림이 전면에 있는 앨범 재킷부터 인상적이었고, 그 안에 담긴 음악은 더 인상적이었다. 이 앨범이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배우가 만들고 부른 앨범이란 사실을 떠올리자면 더욱 눈길이 갈 수밖에 없다. 그는 뮤지컬 무대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 배우지만, 뮤지컬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과잉이나 화려함이 앨범에는 없다. 그저 자신과 그 또래의 이들이 공감할 법한 이야기를 담담하게 풀어놓는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이것은 좋은 '성인'가요다. 트로트가 아닌 낱말 뜻 그대로의 성인가요다. 한국에선 대다수의 성인들이 여전히 아이돌 음악을 듣고 있지만, 그 밖의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좋은 어덜트 컨템포러리 음악이 <아무도 없는 방>에 담겨 있다. [youtube(OKN29y9UrMs)] 뮤지컬계의 베테랑이지만 대중음악계에선 신인인 그를 위해 베테랑 연주자들이 모였다. 김홍갑(기타), 민재현(베이스), 고경천(키보드), 이기태(드럼)가 앨범에서, 또 온스테이지 촬영을 위해 함께했다. 영화로 치자면 스타급 조연들인 연주자들과 함께 주연으로서 박준면이 온스테이지 현장에 섰다. 결과는 앨범과 같다. 그는 주연의 자리에 부족함이 없이 훌륭하게 감정을 담아 노래한다. [youtube(YhtGzKtdLbs)] 직접 쓴 노랫말, 직접 붙인 멜로디가 싱어-송라이터 박준면의 입을 통해 흘러나올 때 우리는 위로 받기도 하고 공감하기도 한다. '미련한 여자'에서는 마치 다른 형식의 모노로그를 보여주듯 홀로 피아노를 치고 노래하며 깊은 여운을 남긴다. 베테랑 연주자들은 박준면이 빛날 수 있게 안정적으로 지원을 해준다. 고경천의 넘실대는 오르간 연주와 박준면의 성숙한 목소리는 자신들의 음악을 들어줄 새로운 대상을 찾고 있다. === 싱글 === ==== 집으로 ==== ||<-5>
[[파일:박준면집으로.jpg|width=100%]] || ||<-5> '''집으로'''(2016년 10월 28일 발매)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1 || '''집으로(The Way Home)''' || 박준면 || 박준면 || 타이틀 || || 2 || 집으로 (The Way Home) (inst.) || || 박준면 || || [youtube(MPsrXCZo9q4)] ==== 무지개 ==== ||<-5>
[[파일:박준면무지개.jpg|width=100%]] || ||<-5> '''무지개'''(2020년 6월 9일 발매)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1 || '''무지개''' || 조규찬 || 조규찬 || 피아노 : 전용준 || [youtube(vvEvs_G9wPA)] === OST === ==== 천변살롱 OST ==== ||<-5>
[[파일:박준면천변살롱.jpg|width=100%]] || ||<-5> '''천변살롱'''(2010년 8월 17일 발매) || || '''트랙''' || '''제목''' || '''비고''' || || 1 || 나는 열일곱 살이에요 || || || 2 || 이태리의 정원 || || || 3 || '''오빠는 풍각쟁이''' || 타이틀 || || 4 || 엉터리 대학생 || || || 5 || 해수욕장 풍경 || || || 6 || 외로운 가로등 || || || 7 || 다방의 푸른 꿈 || || || 8 || 신접살이 풍경 || || || 9 || 활동사진 강짜 (With 하림) || || || 10 || 개고기 주사 || || || 11 || 왕서방 연서 || || || 12 || 모던기생 점고 || || || 13 || 노들강변 || || [youtube(ATMYEN0XLXU)] === 기타 === ==== 노래의 탄생 TRACK 4 ==== ||<-5>
[[파일:노래의탄생집으로.jpg|width=100%]] || ||<-5> '''노래의 탄생 TRACK 4'''(2016년 10월 27일 발매)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1 || 집으로 (Prod. By 윤상X스페이스카우보이) || 박준면 || 박준면 || 보컬 : 윤도현, 샘김 || || 2 || 집으로 (Prod. By 바이브X킹밍) || 박준면 || 박준면 || 보컬 : 임세준, 박보람, 수란, 유성은 || [youtube(UxZ9qMGSFVg)] [youtube(CKzdft0W6I0)] ==== 뜨거운 씽어즈 PART1 ==== ||<-5>
[[파일:뜨거운싱어즈파트1.jpg|width=100%]] || ||<-5> '''뜨거운 씽어즈 PART1'''(2022년 4월 12일 발매)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비고''' || || 7 || 서울의 달 || 최준영 || 김건모 || 김건모 원곡 || [youtube(fkeBLGH94y8?t=321)] == 수상 경력 == ||
{{{#white '''연도'''}}} || {{{#white '''시상식명'''}}} || {{{#white '''수상부문'''}}} || {{{#white '''작품'''}}} || || 2008년 || 제14회 한국뮤지컬대상 || 여우조연상 || [[씨왓아이워너씨]] || || 2013년 || 제19회 한국뮤지컬대상 || 여우조연상 || [[레 미제라블(뮤지컬)|레 미제라블]][* [[https://youtu.be/QxPC_F-rn0E|수상소감]] 영상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 == 기타 경력 == * 2009년 : 우체국예금보험 공익사업 홍보대사 [[분류:1976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한국 여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한국의 뮤지컬 배우]][[분류:뮤지컬 여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