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의 박종진, rd1=박종진(동명이인))] [include(틀:제1야전군사령관)] [include(틀:제6군단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229, #006633 20%, #006633 80%, #005229)" '''[[제1야전군사령관|{{{#FFF 대한민국 제41대 제1야전군사령관}}}]][br]{{{#fff {{{+1 박종진}}}[br]朴鐘珍 | Park Jong-jin}}}'''}}}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박종진 대장.png|width=100%]]}}} || ||<|2><#006633> {{{#fff '''출생'''}}} ||<(> 1957년 || ||<(> [[충청남도]] [[서산시]] || ||<#006633><|2> {{{#fff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 1980년 ~ 2018년 || ||<#006633><|2> {{{#fff '''재임기간'''}}} ||제41대 [[제1야전군사령관]] || ||<(> 2017년 8월 10일 ~ 2018년 12월 31일 || ||||<:><#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6633> {{{#fff '''배우자'''}}} ||<(> 황금례 || ||<#006633> {{{#fff '''자녀'''}}} ||<(> 슬하 1남 1녀 || ||<#006633> {{{#fff '''학력'''}}} ||<(> [[서산고등학교]] {{{-2 (졸업)}}} || ||<#006633> {{{#fff '''임관'''}}} ||<(> [[육군3사관학교]] {{{-2 (17기)}}} || ||<#006633> {{{#fff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 ||<#006633> {{{#fff '''주요 보직'''}}} ||<(>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br][[제6군단]]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감찰실장[br][[제37보병사단]]장[br][[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br][[제5군단]] 참모장[br][[제17보병사단]] 102보병연대장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최종 보직은 [[제1야전군사령관]]이다. == 상세 == 1957년 충남 서산시에서 태어났다. 서산고등학교를 거쳐 1980년 [[육군3사관학교]] 17기[* 1980년에 임관했으므로 임관 연도로만 따지면 [[육군사관학교|육사]] 36기, [[학생군사교육단|학군사관]] 18기와 동기가 되지만, 이 당시 3사는 소위 임관 후 학사 학위를 위한 위탁교육을 받았으므로 임관 2년 후배인 육사 38기, 학군 20기와 진급 동기가 되었다.]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 '''대령''' *[[제17보병사단]] 102보병연대장 *[[육군보병학교]] 교무처장 * '''준장''' *[[제5군단]] 참모장 *[[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 * '''소장''' {{{-2 2011년 11월 진급}}} *[[제37보병사단]]장 {{{-2 (2011.11 ~ 2013.06)}}}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감찰실장 {{{-2 (2013.06 ~ 2014.10)}}} * '''중장''' {{{-2 2014년 10월 진급}}} *[[제6군단]]장 {{{-2 (2014.10 ~ 2016.10)}}} *[[제3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2 (2016.10 ~ 2017.08)}}} * '''대장''' {{{-2 2017년 08월 진급}}} *[[제1야전군사령관]] {{{-2 (2017.08 ~ 2018.12)}}}[* [[문재인 정부]]의 첫 고위 군인사에서 대장으로 진급하여 [[제1야전군사령관]]으로 취임했다.][* 자신보다 3년 임관이 늦은 [[김용우(1961)|김용우]] 대장(육사 39기, 1983년 임관)을 상관인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으로 모셔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 [[파일:868200_347399_1430.jpg|width=290]] || || 2017년 8월 10일, 육군 제1야전군사령관 이·취임식 [* 왼쪽의 부대기를 전달하는 인물은 [[장준규]] 당시 육군참모총장이고 가운데 있는 대장은 이임 사령관인 [[김영식(군인)|김영식]] 대장이며, 장준규 前 육참종장이 김영식 대장의 전임이었다. 그리고 장준규 前 육참총장과 박종진 대장은 서산 해미중학교 22회 동기이며, 임관연도도 같다. 게다가 장준규 전 총장의 이전 보직은 1군 사령관이었으니 임석상관, 이임지휘관, 취임지휘관 신분으로 39, 40, 41대 1군 사령관이 한 자리에 모인 셈이다.] || 2016년 10월 [[제6군단]]장 이임 후 받은 보직이 한직인 제3야전군 부사령관이었던지라 대장으로의 진급은 힘들어 보였으나 이듬해 5월 정권교체와 [[송영무]]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취임, 결정적으로 [[박찬주(군인)|박찬주]] [[제2작전사령관]]의 갑질 사건으로 인하여 대장 진급 가능성이 점쳐지더니 마침내 2017년 8월 인사에서 대장으로 진급하여 제1야전군사령관에 보임되었다. 이는 3사 출신으로는 역대 두 번째로 제1야전군사령관에 취임한 것인데, 3사 출신으로 첫 제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주인공은 [[박성규(군인)|박성규]] 대장(3사 10기)이다. 보통 야전군사령관급 인사에서 육사 출신이 2명 보임되면, 비육사 출신이 [[제2작전사령관]]으로 보임되는 경우가 다수였는데, 이번 인사는 이례적으로 비육사 출신이 제1야전군과 제2작전사령관을 맡게 되었다. 이 점에서 육사 출신의 과도한 독점 구도를 타파하겠다는 국방개혁 의지가 반영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9년 1월 1일부로 육군의 단일 야전군 사령부인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전날인 2018년 12월 31일 [[제1야전군사령부]] 해체식이 거행되었고, 박종진 사령관도 이날을 끝으로 군 생활을 마쳤다. 이로써 그는 '1군 사령부의 마지막 사령관'으로 역사에 기록되었다.[[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946514|관련기사]] 2021년 9월 10일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대선 예비후보]]인 [[경기도지사]] [[이재명]]의 [[열린캠프]]에 합류하였다.[[https://www.facebook.com/photo/?fbid=6095301723844939&set=a.157686954273142|#]] [[열린캠프]] 스마트강군위원회 소속으로 위원회에는 [[박종진(군인)|박종진]], [[김운용(군인)|김운용]], [[황인권]](이상 [[대장(계급)|대장]])[* 세 명은 [[열린캠프]] 스마트강군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최현국]], [[모종화]], [[고현수]], [[정항래]], [[김성일(육군)|김성일]](이상 [[중장]]) 등 장성급 인사들이 대거 들어왔다. 국방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한 김정섭, 여석주 전 국방부 정책실장 등 국방부에 몸담은 사람들도 참여하고 있다. == 여담 == * 3사 생도대장 시절, 생도들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연등 가능시간을 늘리고 체력단련도 강제가 아닌 자율적으로 실시하는 등의 개혁을 진행하였다. 당시 3사 생도는 전임 생도대장인 [[원홍규]] 준장의 관리아래 하루에 10km (아침2km 오후 체력단련 4km 금요일 주간 구보 4.6.8.10km 토요일 산악구보 완전군장 4.6.8.10km)가량을 구보하는 등 체력이 대단히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또한 원홍규 준장은 매번 외박 이후에도 구보실시, 생일을 맞은 생도를 축하해주기 위한 자리에서 벌어진 가혹행위에 대해 가차없이 퇴교를 때리는 등 3사관학교 생도들의 숨통을 조여오고 있었다. 이런 때에 박종진 장군은 3사 생도들에게 "단순히 체력이 강한 장교가 될 것이 아니라 스마트한 장교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자율적 학습 및 체력단련 방침을 채택했던 것. 당시 생도들도 박종진 장군의 이러한 방침을 크게 환영하는 입장이었는데, 박종진 장군이 생도대장에 취임한 지 채 1년도 안 돼 소장으로 진급하고 사단장으로 영전하게 되면서, 생도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침도 축소되었다. 때문에 생도들은 박종진 장군의 진급을 축하하면서도, 한편으론 많이 아쉬워했다고 한다. * 사단장 시절에는 3km 구보를 12분 30초에 주파했는데, 이 기록은 만 25세 미만 현역 장병의 특급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덕분에(?) 전속부관들이 체력단련 시간이면 사단장과 같이 구보하느라 고생이 많았다고 한다.(3야전군 부사령관 시절에도 3km 구보를 12분 30초 이내로 주파하였음.) --휘하 병사들도 이분 하나 때문에 체력단련만큼은 빡세게 했을 듯-- 다만 사단 역사관과 장병복지회관을 개보수하는 과정에서 타일 벽지 하나 고르는 것까지 체크하는 등 매사에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육본 감찰실장으로 부임 후, 보직의 특성상 적을 많이 만들어야하기에 진급과는 거리가 있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3사관학교 출신에서 [[원홍규]], [[서정열]] 장군도 이 보직을 역임 후 더 이상 진급하지 못했다. [* 다만 원홍규 소장은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간의 업보가 상당한 수준이었고 병장의 트위터 소원수리에 힘입어 [[김관진]] 국방부 장관에게까지 문제점이 제기된 수준이었다. 서정열 소장은 진급 운이 없었다고 봐야할 듯.]그런데 2014년 군 내부에서 28사단 의무병 살인사건, 22사단 임병장 총기난사등 엄청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때 사건의 진상을 소상히 밝히는 등 조치를 잘 한 것으로 인정을 받았기에 중장 진급을 하고 6군단장에 보직되었다. * 사령관 시절 17년도 중순~말부터 군내 차량사고가 지속 발생하였는데, 평상시 차량관리와 차량 이동전 검차, 운행책임자(선탑자) 및 운전병의 임무를 더더욱 강조하기 시작했다. 일례로 차량 '안전벨트'를 '생명벨트'라는 용어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지시하고, 군용차/개인차(간부 사제차) 상관없이 모두 생명벨트를 철저히 매고 부대 위병소 출입마다 초병들이 검사하도록 시스템화 하였다. * 2018년 9월 11일, [[노컷뉴스]]는 국방부 장관으로 영전한 정경두 합참의장을 대신해 합참의장으로 내정된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의 후임으로 발탁되었다고 기정사실화하여 단독으로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79&aid=0003143857|보도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합참의장에 [[박한기]] 대장이 내정되면서 오보로 밝혀졌다.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은 직을 유지하여 인사 폭을 줄인다고. * [[김승겸]] 現 합참의장이 본인의 직속부하였는데 6군단장, 1군사령관시절 김승겸의 28사단장, 3군단장 취임식을 주관하였다. * [[제6군단]]이 2022년 11월 30일 부로 해체되면서 6군단장 출신으로서는 마지막 대장 진급자가 되었다.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종진, version=71)] [[분류:서산시 출신 인물]][[분류:서산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3사관학교 출신]][[분류:제1야전군사령관]][[분류:문재인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