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fff {{{+1 박제천}}}[br]朴堤千}}}'''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시인 박제천.jpg|width=100%]]}}}|| || '''이름''' ||<(>박제천 || ||<|2><:> '''출생''' ||<(>[[1945년]] [[3월 23일]] || ||[[서울특별시]] || ||<:> '''사망''' ||<(>[[2023년]] [[6월 10일]] (향년 78세) || ||<:> '''학력''' ||<(> [[성동고등학교]] {{{-2 (졸업)}}}[br][[동국대학교]] {{{-2 (국어국문학 / 중퇴)}}} || ||<:> '''직업''' ||<(> 시인 || ||<:> '''가족''' ||<(> 배우자, 슬하 1남 박진호 || ||<:> '''약력''' ||<(> || ||<:> '''링크''' ||<(> [[https://www.facebook.com/munhakac?mibextid=ZbWKw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시인. == 생애 == 그는 동국대 국문과에서 수학했으나 중퇴했으며 1966년 문예지 현대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1975년부터 연시집 '장자시집' 3권을 펴낸 데 이어 '심법(心法)', '율(律)', '달은 즈믄 바람에', '너의 이름 나의 시', '나무 사리' 등 17권의 시집을 펴냈다. 그는 '장자시', '노장시편' 등을 통해 노장사상의 정신을 시에 대입해 현대적으로 변용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에도 일련의 시 작업을 펼쳤고 1994년 문학아카데미를 설립해 시인 후배들을 양성하면서 현재까지 계간 문예지 '문학과창작'(통권 178권)을 발행했다. == 사망 == 2023년 6월 10일 오전 3시 서울 혜화동 자택에서 지병으로 숨을 거뒀다. [[분류:1945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성동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