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박재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고양시민축구단 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축구감독 '''}}}}}}}}} || ||<-3> [[파일:166433925_4213733125326982_8551959766201521693_o.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박재현}}} [br] Park Jae-Hyeon''' || ||<-2> {{{#000000,#e5e5e5 ''' 생년월일 ''' }}} ||[[1980년]] [[10월 29일]] ([age(1980-10-29)]세) || ||<-2> {{{#000000,#e5e5e5 ''' 국적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2> {{{#000000,#e5e5e5 ''' 신체 ''' }}} ||179cm, 79kg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000,#e5e5e5 ''' 학력 ''' }}} ||[[통진중]] - [[통진고]] - [[상지대]]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대구 FC]] (2003) [br]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2004) [br] '''[[인천 유나이티드 FC]] (2005~2010)''' [br] 에스니코 스피래우스 (2010) [br] SC 고아 (2011) [br]사뭇송크람 FC (2012~2013) || || {{{#000000,#e5e5e5 ''' 감독 ''' }}} ||인천 풋볼파크 (2014~) [br] [[고양시민축구단]]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ws1173934914_60246_1_m.jpg|width=100%]]}}}|| > '''미추홀의 고릴라! [br] 모든것을 삼켜버려 [br] 박재현~!''' > ---- > '''박재현의 인천 응원가''' 대한민국의 현 축구감독이자 전 축구선수로,[[인천 유나이티드]] 팬들에게 사랑받던 선수 중 한명이었다. 현역 시절 포지션은 윙어였다. 별명은 '''적토마''', '''미추홀의 고릴라'''. [[2021년]]에는 [[K4리그]] 참가팀 [[고양시민축구단]]의 감독을 맡았었다. == 선수 경력 == === 인천 입단 이전 === 김포 통진중-통진고를 거쳐서 [[상지대학교]]에 진학해서 활약하였다. 상지대를 졸업한 이후에 행선지가 정해지지 않아서 테스트를 보다가, 새로 창단된 [[대구 FC]]의 [[박종환]] 감독에게 합격점을 받으며 대구에 입단했다. 하지먀 힘들게 들어 온 대구에서는 프로 데뷔는 성공했으나 3경기 출장에 그쳐 큰 활약 없이 퇴단했다. 이 시기에 2군에만 머물자 이름을 박성호에서 박재현으로 개명했다. 2004년에 [[한국 내셔널리그]] 소속 [[울산 현대미포조선]]으로 이적했는데, 이 팀에서 포텐이 터져 '''득점 2위'''에 오른다. 미포조선의 주축 윙어로 기용되며 7골을 넣은 활약은 프로에서 다시 그를 주목하게 했다. === [[인천 유나이티드]] === [[파일:박재현.jpg|width=600]] 2005 시즌을 앞두고 박재현은 고향팀인 인천의 제의를 받아 이적했다. 첫 시즌에는 당시 준우승을 기록할 정도로 스쿼드가 좋은 인천이었고, [[셀미르]], [[방승환]], ~~[[이준영(1982)|이준영]]~~ 등 다양한 측면 자원이 있는지라 4경기 출장에 그쳤다. 그마저도 선발로 기용된 적은 없었다. 그러나 대구 시절과는 다르게 박재현은 적은 기회에도 팀에 잔류했다. 2006년에는 드디어 선발 데뷔전을 치르기도 했고, 로테이션 급 윙어로 위상이 올랐다. 박재현의 전성기로 볼 수 있는 시점은 2007년 [[박이천]] 감독대행의 밑을 거쳤을 때부터이다. 2007 시즌 박재현은 박이천 감독의 신뢰를 얻어 더 많은 경기에서 기회를 얻었다. 특히 리그컵에서는 득점을 많이 기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박재현의 프로 데뷔 골도 2007년에 나왔는데, 상대는 친정 대구였다. 2008년에도 로테이션 자원으로 꽤 기회를 얻었고, 2009년에는 출전 기회는 조금 줄었으나 그 와중에 4개의 도움을 기록하는 등 스쿼드 멤버로 쏠쏠한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2009 시즌 종료 후 연봉 협상에서 이견이 생기면서 결국 팀을 떠났다. === 인천 퇴단 이후 === 자유계약 상태가 된 박재현은 해외 진출에 도전했고, 그의 에이전트이자 유럽 이적 전문가인 홍이삭을 통해 그리스 2부리그 에스니코스 피라에우스로 합류했다. 그러나 이렇다 할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반 시즌만에 팀을 나왔다. 이후 친정 미포조선에 합류했으나, 폼이 워낙 떨어져 과거의 모습이 나오지 않았다. 그 다음 해에는 [[용인시청 축구단]]에서 뛰다가, 인도와 태국 무대를 경험한 후 은퇴를 선언했다. == 지도자 경력 == [[2020년]] [[12월 31일]] 대한민국 4부 축구리그인 [[K4리그]]에 참가하는 [[고양시민축구단]]의 감독으로 부임했다.[[http://www.newsrep.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3804|#]]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memberNo=17035333&volumeNo=30782058|‘미추홀 고릴라’의 도전, 고양시민축구단 새 감독 박재현 (2021년 2월 23일 인터뷰)]] FA컵 2라운드에 진출하며 구단 역사 2번째 프로 팀과의 대결을 성사시켰다. 이후 성적 부진 때문인지 시즌 말에 [[김진옥(축구)|김진옥]]에 감독직을 내주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 플레이 스타일 == 별명 적토마 / 미추홀의 고릴라에서 볼 수 있듯 스피드와 파워를 갖춘 윙어 자원으로 평가받았다. 이를 활용한 돌파가 주무기이고 활동량 및 수비가담도 좋은 평가를 들었다. 그러나 단조롭고, 경기 운영 능력과 팀 플레이에 미숙한 점이 단점. [각주] [[분류:198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감독]][[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대구 FC/은퇴, 이적]][[분류: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은퇴, 이적]][[분류:용인시청 축구단/은퇴, 이적]][[분류:고양시민축구단/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