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재벌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br][[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8.svg|width=7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9.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6년 한국시리즈|{{{#fff 1996}}}]]''' || '''[[1997년 한국시리즈|{{{#fff 1997}}}]]''' ||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40번}}}''' || || 정재한[br](1989) || {{{+1 →}}} || '''{{{#ff0000 박재벌[br](1992~1998)}}}''' || {{{+1 →}}} || [[윌리엄 브릭스|브릭스]][br](1999) || }}} || ---- ||<-2>
'''{{{+2 박재벌}}}[br]朴財閥 | Park Jae-beol''' || ||<|2> '''출생''' ||[[1968년]] [[9월 17일]] ([age(1968-09-17)]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진흥고]] - [[건국대학교 야구부|건국대]]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1992년 [[육성선수|신고선수]] ([[해태 타이거즈|해태]]) || ||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 (1992~1998)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태 타이거즈]]에서 활동했던 前 야구선수. 좌타자가 귀한 [[해태 타이거즈|해태]]에서 좌타 대타요원으로 활약했다. == 선수 경력 == 진흥고 시절 청소년 대표를 지낼 정도로 아마야구에서 수준급 좌타자로 인정받았으나, 정작 프로 드래프트에서는 지명받지 못하고 신고선수로 [[해태 타이거즈|해태]]에 입단하였다.[* 본인이 [[야사시TV]]에 출연해 밝힌 바에 따르면 은퇴 후 안정적 직장을 원해 [[한국전력공사 야구단]]으로 진로를 정했으나, 한전에 입단하기로 한 건국대 야구부 1년 선배 [[강형석]]이 팀을 무단이탈해 [[OB 베어스]]에 입단하는 바람에 괘씸죄(?)로 한전 입단이 무산되었고, 한전과의 입단 계약이 파기된 것을 모르던 프로 스카우트들도 지명을 포기했다고 한다.] 첫 시즌인 [[1992년]]에는 표본은 작지만 wRC+ 108.1, WAR* 1.05 라는 쏠쏠한 스탯을 기록했다. 그 이후 1995~1996년에도 많은 경기에 뛰면서 [[장성호]]가 성장하기 전까지 팀 내에서 좌타요원으로 활약했으나, 해태가 IMF로 인해 운영이 힘들어지자 1998 시즌이 끝난 후 방출되면서 은퇴하였다. 특이점이라면 엄청난 수의 [[몸에 맞는 공]]을 얻어낸 것이다. 통산 1006타석에서 무려 51개를 얻어내며 5%가 넘는다. 통산 [[볼넷]] 57개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KBO 역대 최다인 최정(3.7%), 박석민(3.4%)을 아득히 뛰어넘는 비율. 여담으로 유난히 [[정삼흠]]에게 유난히 강해서 1년치 안타의 절반 가량을 정삼흠을 상대로 뽑아냈다고 한다. KBO 최초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92년 LG 전에서 동일 투수에게 3연타석 사구를 맞았다.[* 박재벌 이후로 LG 최훈재(1995년 쌍방울전), 삼성 정경배(1999년 쌍방울전), 두산 양의지(2014년 한화전), 키움 김주형(2021년 한화전)이 동일 투수 3연타석 사구 기록자다.] == 여담 == * '재벌'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갖고 있는데 '돈 많은 집안'을 뜻하는 [[재벌]]과는 한자까지 똑같다. 의도적으로 이 이름을 갖게 됐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 은퇴 후 현재는 [[경기도]] [[용인시]]에서 꽃집을 운영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NIUXRQdtIk|유튜브 영상]] 타이거즈 OB 모임에서도 얼굴을 비추고 있다. * 야구 중계 시 중계진이 "박재벌 선수 야구 그렇게 하면 재벌 못 됩니다" 드립을 친 적이 있었다. * 2023년 11월 [[구한성]]과 함께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했다.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의 발단이 본인이었다고 밝혔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출장 경기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볼넷}}} || {{{#ffff00 사구}}} || {{{#ffff00 삼진}}} || {{{#ffff00 출루율}}} || {{{#ffff00 장타율}}} || {{{#ffff00 OPS}}} || || 1992 ||<|7> [[해태 타이거즈|해태]] || 66 || .275 || 36 || 6 || 1 || 2 || 15 || 29 || 12 || 10 || 9 || 15 || .364 || .382 || .746 || || 1993 || 19 || .115 || 3 || 1 || 0 || 0 || 0 || 3 || 0 || 1 || 0 || 5 || .148 || .154 || .302 || || 1994 || 10 || .200 || 2 || 1 || 0 || 0 || 0 || 2 || 0 || 0 || 0 || 4 || .200 || .300 || .500 || || 1995 || 98 || .239 || 78 || 9 || 5 || 1 || 25 || 35 || 20 || 17 || 18 || 23 || .311 || .306 || .617 || || 1996 || 116 || .249 || 68 || 14 || 2 || 1 || 21 || 32 || 6 || 16 || 17 || 26 || .329 || .326 || .655 || || 1997 || 76 || .208 || 20 || 4 || 0 || 1 || 10 || 16 || 7 || 12 || 7 || 9 || .333 || .281 || .615 || || 1998 || 8 || .111 || 1 || 0 || 0 || 0 || 1 || 1 || 1 || 1 || 0 || 3 || .200 || .111 || .311 || ||<-2> '''[[KBO 리그|KBO]] 통산''' [br] (7시즌) || 393 || .239 || 208 || 35 || 8 || 5 || 72 || 118 || 46 || 57 || 51 || 85 || .321 || .314 || .63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KIA 타이거즈/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8년 출생]][[분류:1992년 데뷔]][[분류:1998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광주진흥고등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