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박재민)] [include(틀:에스팀)] ||<-2>
'''{{{+2 박재민}}}[br]Park Jaemi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박재민_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83년]] [[7월 30일]] ([age(1983-07-30)]세) || ||[[미국]] [[인디애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국방의 의무를 마친 대한민국 국적자라고 방송에서 여러 번 밝힌 적이 있다.] || || '''신체''' ||186cm, 78kg, [[O형]] || || '''종교''' ||[[불교]] || ||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체육교육학ㆍ경영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 (정책학 / [[석사]])}}}[br][[조지타운 대학교]] [[대학원]] {{{-2 (스포츠산업경영학 / 석사과정)}}}[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학 / 박사과정)}}} || || '''경력''' ||[[정화예술대학교]] 실용댄스전공 전임교수[br][[비보잉|브레이킹]] 국제심판[br]대한[[댄스스포츠]]연맹 이사/공인심판/지도자[br][[국제스키연맹]] 알파인, 하프파이프 국제심판[br]대한스키협회 스노보드 심판위원장[br][[대한스키지도자연맹]] 공인지도자[br]스노보드 국제심판[br][[전국체육대회|전국동계체육대회]] 스노보드 서울시 대표선수[br]한국[[3X3 농구|3대3농구]]연맹 이사[br][[대한민국농구협회|대한농구협회]] 공인심판 || || '''비보이 닉네임''' ||Snipa || || '''소속 크루''' ||[[T.I.P Crew|[[파일:tipcrew_logo_transparent.png|width=80]]]] || || '''소속사''' ||[[에스팀]]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pro.challeng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MBTI''' ||[[INFP]]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비보이[* 비보이 크루 T.I.P. Crew의 멤버이다.] 출신 연기자. 연기자 이외에도 '''교수, 번역가[* <사랑이 구한다>라는 책을 우리말로 번역한 적이 있다.[[http://ch.yes24.com/Article/View/31265|#]]], 방송인, KBS 스노보드/농구 해설위원, 운동선수, 심판 등''' 경력의 폭이 굉장히 넓으며, 고학력과 다양한 경력, 왕성한 활동으로 [[엄마 친구 아들|엄친아]], [[만능 캐릭터]], [[팔방미인|십잡스]], [[헤르미온느 그레인저|헤르미온느]] 등으로 불리는 인물이다. [youtube(06AOm1uwLq8, width=500, height=281)] == 생애 == [[https://entertain.v.daum.net/v/20160909145110530|[인터뷰] 여전히 ‘ing’, 배우 박재민의 추억 만들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56486|[인터뷰②] 박재민 "평창올림픽 해설 후 관심↑, 인생 2막 열었다"]] 초등학교 때에는 성악을 했고, 당시 어린이 뮤지컬이나 방송에도 자주 출연했다고 한다. 그러던 중 10살 때 AFKN에서 [[비보잉]]을 처음 접하고 춤을 따라 추기 시작하며 지금까지 비보이로 활동하고 있다. 농구 전공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를 다니며[* 경영학 복수전공. 이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농구대잔치에서 준우승을 했을 정도로 성적이 좋았으며, 전국체전에서 스노보드 서울시 대표선수로도 활동했다. 2004년 학부생 시절 다함께 출신의 사범대 학생회장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사범대 부학생회장에 출마하여 유세 때 훌륭한 댄스 공연으로 학우들의 정신을 혼미케 하였으나 선거에서 패배하고 만다. 대학 입학 후 다시 비보잉을 시작했는데 양쪽 어깨 습관성 탈골이 심해지면서 비보이 전문 MC를 아르바이트 식으로 틈틈이 하게 되었고, 그 모습이 방송관계자의 눈에 띄어 비보이를 소재로 한 케이블TV의 VJ로 발탁이 되면서 방송활동을 시작했다. 예능 출연 이후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 등장, 일명 "식스팩 죄수"로 불리면서 주목받았으나 출연 2회차만에 칼맞고 절명했다. 이때 다시 살려내란 여성팬들의 절규가 이어졌단 후문. [[파일:짝눈이.gif|width=500]] 2010년[* 사실 2009년 드림팀 2회 때 비보이 팀 임원으로 나온 적이 있었다.] 이후로 [[출발 드림팀]]에 반고정 멤버로 출연했으며, 운동 잘 하는 만능 스포츠맨 이미지로 나오며 [[리키 김]]에 이은 '''2인자''' 별명을 얻었다.[* 나중에 1위를 하고 눈물을 터뜨린 적이 있다.[[https://youtu.be/tiDgCjjbwSU|#]]] 탄탄한 근육질 몸매는 트레이너 출신인 [[최성조]]와 비교해도 우월할 정도. == 경력 == === 스포츠 관련 === ==== [[스노보드]] ====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20&aid=0003127960|“‘알못’ 스노보드 경기를 몇 십분 째…” 배우 박재민 중계 해설, 인기 폭발]]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716893|[직격인터뷰] '해설 호평' 박재민 "10년전 국제심판자격증 취득, 관심 감사"]] [[https://sports.v.daum.net/v/20220205130846989|배우 박재민의 '전문성+재치 입담' 꽉찬 스노보드 해설에 호평 세례[올림픽 오늘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469&aid=0000657162|노메달에도 "고개 드세요" 누리꾼 마음 녹인 배우 출신 해설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3174574|"해설이 금메달"…한국 선수 안 나온 스노보드 260만뷰 본 이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9ly0VtdaTY, width=500, height=28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C2NtQbkA7Q, width=500, height=281)]}}} || 2010년 이래로 [[전국체전]] 스노보드 서울 대표로 꾸준히 출전한 선수이며, 이후 스노보드 국제심판 자격증도 땄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한국방송공사|KBS]]의 스노보드 전 종목 해설위원을 맡아[* KBS에 근무하는 대학 선배의 추천이 있었다 한다.] 능수능란하고 전문적인 스노보드 해설로 많은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박재민의 해설이 호평받은 이유는 경기와 출전 선수들에 대한 풍부한 배경지식, 또렷한 발음, 유머까지 곁들인 해설로 스노보드 경기를 보는 재미를 한층 업그레이드 시켰기 때문으로, 특히 시청자 입장에서 알아듣기 쉬운 용어와 설명을 더하며 스노보드에 관심 없는 시청자들도 그의 해설에 즐거워했다.[* 박재민은 꾸준히 시청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해설을 선보였는데, 시청자들이 헷갈려 할 수 있는 선수들의 회전수를 설명할 때는 “등-배-등-배만 보면 된다”라는 친절한 맞춤식 해설로 시청자들을 도왔다. 그는 “바라보는 쪽에서 등-배-등이 보이면 한 바퀴가 되는 것”이라며 이후 장면마다 꼼꼼한 설명을 보태 시청자들이 경기를 완벽히 즐기게끔 만들었다.] 중계 때마다 연일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박재민의 이름이 올랐는데, 그 소식을 듣고 본인은 1년 반동안 드라마도 못 찍고 있는데 스포츠로 실검 1위를 차지했다며 셀프디스를 시전하기도 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노르딕 복합 현장 MC 등으로도 전방위로 활약했으며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는 설상 및 빙상 종목 장내 아나운서로 나섰다. 이 때의 대호평으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KBS 스노보드 해설을 또 맡게 되었다. 등장하는 선수의 능력과 장단점을 비롯해 개인적인 친분이나 한국과 관련된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꺼내면서 전문성과 재미까지 꽉 찬 해설을 보여주었다. [youtube(cBQs3Dk6iu8, width=500, height=281)] 반면 이러한 대중들의 호평과는 달리 일부 스노보드 팬들은 박재민이 기술적으로 다소 부정확한 해설을 한다면서 선수들 뒷이야기보다는 기술규정집이나 더 찾아보라며 비판하기도 한다. 이들은 박재민이 스노보드 알파인 종목 선수였고 알파인과 하프파이프 심판이지 슬로프스타일과 빅에어 심판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한다. 스케이팅 종목에 비유하면 마치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가 같은 스케이팅 종목이라며 피겨스케이팅 해설을 하는 셈이라는 것. 하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라는 것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국제스키연맹(F.I.S)[[https://www.fis-ski.com/|#]]에서는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 심판이 따로 나눠져있지 않고 모든 종목의 시험을 통과해야만 통합 자격증을 발급해준다.[[https://assets.fis-ski.com/image/upload/v1578994357/fis-prod/assets/FIS_SB_FK_JudgesHandbook_1920_Update_Dec2019.pdf|#]]. 또한 박재민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에서 직전에 있었던 국제심판 세미나에서 빅에어 종목 시험을 100점 맞아 전세계 1등을 했음을 밝히기도 했다.[* 이런 내용이 피드백이 된건지 베이징 올림픽 때는 기술에 대한 정확한 해설과 판독, 한국 하프파이프의 안타까운 현실 등을 잘 설명한 해설로 스노보드 팬 커뮤니티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반드시 본인의 종목이어야지만 해설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중계방송에서 경쟁사인 SBS 역시 박영남 한 명이 전 종목 해설을 하고 있고, MBC는 김교진, 박성진, 조성우 세 명이 해설을 하고 있다.] 비슷한 예로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 출신인 [[곽민정]] 해설위원이 피겨 아이스댄스나 페어 종목을 해설할 수 없냐 하면 그렇지 않다.[* 다만 곽민정 역시 여자 싱글과 아이스댄스 선수 경력을 모두 갖고 있는 SBS 이호정 해설에 비해서는 전문성이 떨어진다며 피겨 팬들에게 비판받은 적이 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부분.]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종목은 평행대회전, 스노보드 크로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빅에어로 세부종목이 나뉘어져 있는데, 이러한 세부종목마다 해설을 따로 섭외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보니 박재민이 모든 세부종목의 해설에 투입되었고 따라서 해설의 전문성보다는 동계올림픽 방송을 통해 종목을 처음 접하는 대중들의 눈높이에 맞춘 중계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에서 실제로 스노보드 종목에 출전하는 250여명의 선수들의 정보를 모두 검색해 방송을 준비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러한 흥미 위주의 해설이 비판받을 수는 있지만 방송사간 시청률 경쟁이 치열한 올림픽 중계방송에서 박재민의 해설 방향이 [[엄재경|반드시 틀렸다고 볼 수는 없다.]] 대중들은 스노보드 세부 종목과 해설의 정확도를 꼼꼼히 따져가며 채널을 선택하진 않기 때문이다. 평창 올림픽 시절부터 박재민의 해설이 호평받았고 인기도 많은데다 KBS의 채널이 두 개다 보니 MBC나 SBS보다 중계종목도 중계시간도 두 배 가량 더 많았는데[* 타사와 달리 KBS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은 스노보드 경기 대부분을 예선부터 결선까지 전부 중계했다. 지상파 3사의 베이징올림픽 스노보드 중계방송 편성을 비교하면 '''KBS는 19.4시간''', MBC는 8.7시간, SBS는 11.8시간이었다.] '''박재민은 다섯가지 세부종목 + 예선부터 결선 + 남/여/혼성 모두 혼자 해설을 맡았다.''' 반면 캐스터는 [[강승화]], [[엄지인]], [[오언종]], [[이영호(아나운서)|이영호]] 네 명이 나누어 맡았으니 가히 혹사라 불릴 정도로 베이징 올림픽 기간동안 많은 해설을 했다. ==== [[농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7eKXDTijR8, width=500, height=28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B3-dseKdz8, width=500, height=281)]}}} || 대학 시절 서울대 농구팀의 일원으로 [[농구대잔치]]에도 출전한 아마추어 농구선수 출신이다. 연예인과 전프로선수들로 구성된 사회공헌 농구팀 LUV의 2016-17 시즌 주장을 지냈다.[* 박재민이 태어난 미국 [[인디애나]]주는 미국 내에서도 거의 유일하게 [[농구]]가 [[미식축구]]와 [[야구]]보다 더 인기가 많은 '농구의 주'이다.] [[NBA]]의 상당한 팬이다. 특히 고향 팀인 [[인디애나 페이서스]] 팬이다. 가장 좋아하는 선수는 페이서스의 전설 [[레지 밀러]]로 거치는 팀마다 밀러를 따라 등번호로 31번을 단다고 한다. 이외에 [[르브론 제임스]]를 좋아하며, 조손의 느바 출연 당시 덩크를 멋지게 하지 못하는 선수는 슈퍼스타의 자질이 없다는 주장을 피력한 바가 있는 것을 볼 때 피지컬하고 다이내믹한 농구 스타일을 선호하는 것 같다. 또한 농구 심판 자격증을 취득한 엄연한 농구 전문 인력으로 농구의 각종 룰에 정통하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KBS 1라디오]]의 스포츠 프로그램인 '[[스포츠 스포츠]]'의 NBA 전담 코너 '조-손의 느바'[* 코너 제목은 '''조'''현일 [[SPOTV]] [[NBA]]해설위원과 월간 점프볼의 '''손'''대범 편집장의 성에서 따왔다.]에 [[조현일]], [[손대범]] 두 고정 멤버와 함께 출연 중이다. 역할은 조, 손 두 명의 난상토론을 듣고 난 뒤 승패를 결정하는 판관 박재민. 또한 대학농구리그 캐스터로도 활동 중이다. [[SBS]]의 [[진짜 농구, 핸섬타이거즈]] 에서는 해설자 역할을 맡게됐다. 파트너는 [[정우영(아나운서)|정우영]]. JTBC [[마녀체력 농구부]] 에서도 해설위원으로 출연했다. 멤버들의 실력을 위트있게 커버해주고 정형돈의 드립을 받아줄 수 있는 뛰어난 중계 능력을 자랑했다. [[2020 도쿄 올림픽]] [[3X3 농구]] 종목 KBS 해설위원을 맡으며 평창 올림픽에 이어 2대회 연속 올림픽 해설을 하게 되었고 하계와 동계 올림픽에서 모두 해설자로 참여하는 진기록을 세웠다.[[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48568|[글렌다박의 블루오션] 박재민 "동·하계 올림픽 동시해설 아직도 얼떨떨해" ①]] 이 때문인지 영화 [[리바운드(한국 영화)|리바운드]]에서도 출연을 하는데 캐스터 역할로 특별 출연을 했다. ==== 그 외 ==== 이외에도 대한댄스스포츠연맹 이사/공인 심판/지도자 자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대한댄스스포츠연맹이 [[비보잉|브레이킹]] 종목을 주관하는 공인단체이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2363059|기사]]를 통해 비보이 출신인 김헌준과 박재민 등이 KFD 이사를 맡고 있음이 알려졌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353&aid=0000040917|또다른 기사]]에서는 기자가 KFD 이사 박재민과 국가대표 브레이킹팀 관련 문답을 한 것이 확인된다.] 브레이킹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과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됨에 따라 비보이 출신 방송인이기도 한 박재민이 해설을 맡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박재민은 2021년 브레이킹 국가대표 선발전 <브레이킹K> 현장 MC를 2022년 <브레이킹K> 1차 대회에서는 심판위원장, 파이널에서는 심판을 맡았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후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962247|인터뷰]]에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브레이킹과 3대3 농구 해설로 참여 예정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KBS스포츠 유튜브에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iSBGAa6yIgcjnti-rHEBS9byGg24qGJq|2020 도쿄올림픽 프로젝트 [올ㅋ\]]] 이라는 웹예능에 출연해 서핑, 조정, 사격, BMX, 태권도 등 온갖 종목을 체험하는 컨텐츠를 촬영했다. [youtube(e11ozQjFnyc, width=500, height=281)] === 작품 활동 === ==== 연극 ====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3> 2015년 || 유민가 || 이홍 || || 아버지 || 장동욱 || || 헤이그 1907 || 이위종 || || 2016년 || 법대로 합시다 || 유길동 || || 2017년 || 과부들 || 엠마누엘 || || 2018년 || 협력자들 || 블라디미르 || || 2019년 || 망자 죽이기 || 류보미르 || || 2020년 || 동굴 가족 || 공작 || || 2021년 || 리어왕 || 에드가 / 톰 || || 2022년 || 위선자 따르뛰프 || 따르뛰프 || || 2023년 || 리어왕 || 에드먼드 || ==== 영화 ==== ||
'''개봉 연도''' || ''' 제목''' || ''' 배역''' || ''' 활동''' || || 2009년 || 춤추는 닌자의 전설 || 가와사키 가이 ||<|3> 조연 || || 2014년 || 하이프 네이션 : 힙합 사기꾼 || 배틀MC || || 2020년 || [[소리꾼]] || 남민 || ||<|3> 2022년 || [[카시오페아(영화)|카시오페아]] || 수진 남편 || 특별출연 || || [[한산: 용의 출현]] || [[와타나베 시치에몬]] ||<|2> 조연 || || [[한산 리덕스]] || [[와타나베 시치에몬]] || || 2023년 || [[리바운드(한국 영화)|리바운드]] || [[박재민]] || 특별출연 || ==== 드라마 ==== ||
''' 방영 연도''' || ''' 방송사''' || ''' 제목''' || ''' 배역''' || ''' 활동''' || || 2011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공주의 남자]] || 짝눈이 || 조연 || || 2013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PLAY GUIDE || 박재민 || 주연 || ||<|2> 2014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조선총잡이]] || 종태 ||<|3> 조연 || || [[왕의 얼굴]] || 봉두 || || 2016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내 사위의 여자]] || 차익준 || || 2023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셀러브리티(드라마)|샐러브리티]] || 박재민 || 특별출연 || ==== 뮤지컬 ==== ||
'''공연 연도''' || '''제목''' || '''배역''' || || 2014년 || 문나이트 || 이민수 || === 방송 활동 === ==== 예능 및 교양 ==== * 섹션TV 연예통신 * B-boy Hot Battle * [[출발 드림팀 시즌 2]] *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 * 완판기획 * 올스타 올림픽 * All The K-pop * 다이아몬드 걸 시즌2 * 추석특집 스타 애정촌 * 쇼챔 트루백쇼 * 절대남자 BODY COMPLETE * 불멸의 국가대표 시즌2 * 스타 다이빙 쇼 스플래시 * 댄스 배틀 코리아 * 청춘 익스프레스 * 뷰티STAR그램 * Touch Q * 차이나는도올 * 아는 만큼 보인다 * 버저비터 * 행복난민 * 외계통신 * [[진짜 사나이 300]] * 온드림스쿨 시즌1 * 트렌드로드 * [[머선129]] * [[역사저널 그날]] * [[진짜 농구, 핸섬타이거즈]] * [[유 퀴즈 온 더 블럭]] - ([[2022년]] [[3월 2일]]) [[유 퀴즈 온 더 블럭/144회#s-4|144회]] * [[마녀체력 농구부]] * '''[[해 볼만한 아침 M&W]] 진행''' * 현지인 브리핑, 지금 우리 나라는 * [[씨름의 제왕]] ==== 라디오 및 웹컨텐츠 ==== ||
''' 날짜''' || ''' 방송사''' || ''' 방송명''' || ''' 역할''' || || 2016년~2018년 || [[Arirang Radio]] || Catch The Wave || 진행 || || 2018년 || 믹스콘 || 킹스스피치 ||<|2> 진행 || ||<|4> 2019년 || 코리아 뷰파인더 || 베베퀴즈 || ||<|3> [[KBS]] || [[스포츠 스포츠]] ||<|2> 고정출연 || || 조손의 느바 || || 2020 도쿄올림픽 프로젝트 : 올ㅋ || 진행 || ==== 스포츠 해설 ==== ||
'''방송사''' || '''대회명''' || '''종목''' || || [[KBS N]] ||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2> [[스노보드]] || ||<|4> [[KBS]]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3> 현장 리포팅 ||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 || [[네이버]] || 터리픽 12 || [[농구]] || ||<|3> [[KBS]] || [[2020 도쿄 올림픽]] || [[3X3 농구]] ||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2> [[스노보드]] || || [[2022 베이징 동계패럴림픽]] || || [[KBS 제1라디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축구]] || || [[KBS]]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 [[3X3 농구]], [[브레이킹]] || == 여담 == * 양친이 모두 교수이며 형은 UN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세바시]], KBS 청소년 공감콘서트 온드림스쿨 등에서 강연을 했다. 세바시는 무려 3번이나 강연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HH1-GRabuI, width=500, height=28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wuT9HVoWi4, width=500, height=28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RFJ-rwcOTw, width=500, height=281)]}}} || * 2009년 제 4회 맨즈헬스 쿨가이 선발대회에 출연해 우정상을 수상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745549|#]] * 과거 농구 선수 시절에 대회를 준비하다 부상을 입고 중환자실에 입원할 당시 우울증을 겪은 적이 있었다. 실제로 박재민은 이 부상으로 인해 현재까지도 오른쪽 허벅지 일부의 감각이 없으며 운동 능력에 제한이 있다고 한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2238357|#]][[https://entertain.v.daum.net/v/20130809220507230|#]] 또한 2012년 <짝> 출연 이후 비방성 기사때문에 대중의 오해를 받고 방송을 쉬는 동안 절에 들어가 몇 년간 산 적도 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5&aid=0000014030|#]][[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3004632|#]] 이때 상기한 <사랑이 구한다> 책을 번역하면서 번역가로도 데뷔했다.[[http://ch.yes24.com/Article/View/31265|#]] * [[파스칼 시아캄]], [[라존 론도]]를 닮았다. 이때문에 조손의 느바 같이 NBA 컨텐츠에서 시아캄 관련 드립이 가끔 나오기도. 그리고 최근 자신의 조부를 지탄하고 나선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 군과도 닮았다. [[디시인사이드]]에서는 전 대통령의 손자를 닮아서 왕자상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 MBTI는 INFP라고 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5&aid=0003174574|#]] * 영화 한산에서 보여준 연기력과 일본어 실력이 호평을 받았다. [[https://blog.naver.com/1mokiss/222867674479|#]] * 증조부가 독립운동을 했다고 한다. [[https://star.mt.co.kr/stview.php?no=2022090818580575450|#]] * [[2023년]] [[3월 30일]] [[해 볼만한 아침 M&W]] 생방송 진행 도중 코피가 났다. 다행히 곧바로 광고로 넘어가며 위기를 넘겼지만 스튜디오로 넘어와서 다시 코피가 터졌다. 원인은 피로 누적이라고. 갑작스런 코피에도 의연하게 대처한 박재민의 프로정신이 돋보였다는 평가가 뒤따랐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18&aid=0005452711|#]] [[http://m.site.naver.com/17tXx|#]] || [youtube(iHRaqBb8bmk)] || * 2023년 7월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개봉에 맞춰 출연진들이 내한했을 때 행사 진행을 맡았는데, 훌륭한 영어 실력과 진행 능력을 선보여서 큰 호평을 받았다. 진행자의 질문과 출연진의 답변을 모두 통역사가 일일히 번역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본인의 질문은 직접 한국어로 관중들에게 언급한 뒤에 영어로 출연진들에게 물어보고 그에 대한 출연진들의 답변은 현장 통역사가 진행하면서 매우 빠르고 깔끔한 진행이 이어져서 헐리우드 영화의 내한 행사를 박재민이 도맡아야 한다는 반응이 쏟아지는 중이다. === 기부 및 선행 ===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독립유공자 후손을 지원하기 위한 기부를 꾸준히 해 왔다. 2015년 1000만원, 2017년부터 3년간 500만원씩 기부했으며, 2014년 세월호 피해자 지원을 위해 1000만원을 기부했다.[[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460536|#]] 그간 박재민의 기부금은 세월호 침몰피해 유가족 지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인 [[나눔의 집]] 어르신들의 의료비 지원[* 박재민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한 봉사에 앞장서고 있다. 그는 나눔의 집 홍보대사이기도 하다.], 독립유공자 후손 중 기초생활 수급자 가정의 학생들의 장학금 등으로 사용됐다. 이외에도 심장병 어린이와 다문화 가정 지원을 위한 자선 농구대회에 참석하는 등 꾸준한 나눔활동을 펼치고 있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동안 알려진 바로는 대한민국 스노보드 선수들에게 개인적으로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스노보드 신동'으로 불리는 2006년생 [[이채운]] 선수가 장학금 1호 수혜자라고 하며,[* 올림픽 후 인터뷰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477&aid=0000343659|기사]]를 통해 "이채운은 제 장학금을 받은 사실을 모르고 있다. 사실 장학금을 받으면 주변에서 그 선수가 오해를 받는 경우가 생긴다. 익명 장학금이었는데 공개돼서 민망하고 조심스럽기도 하고, 이채운 선수는 절대 몰랐다는 걸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해설위원으로서 스노보드 남자 하프파이프 예선에 출전한 이채운의 경기를 생중계했다.[[https://youtu.be/ozxzaMmuvhQ|#]] * 박재민은 장학금에 대해 "저도 스노보드 선수 생활을 한 20년 가까이 했고, 1년 내내 아르바이트를 해서 장비를 사서 시합에 나갔다. 돈이 정말 많이 드는 스포츠라는 걸 알고 있다. 장비도 비싼데다 수준급의 국제 경쟁력을 가지려면 해외에 자주 나가야 하고, 그러면 선수들 부모님 등골이 휜다. 제가 스노보드 심판이자 심판위원장이라는 타이틀을 부여받았을 때 '스노보드로 돈을 벌게 되면 무조건 후배들한테 돌려주자'라는 마음가짐을 가졌다. '혹시 돈을 벌지 못하게 되면 다른 곳에서 벌었던 돈을 후배들한테 투자를 하자'고 생각했다. 구체적으로 밝힐 순 없지만 올해까지 몇명의 선수가 익명으로 장학금을 받았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터뷰에서 그는 "저도 개인 사비이고, 프리랜서다 보니 월 수익에 오르내림이 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항상 내림이다. 제가 부담을 느낄 정도라면 선수들의 부모님들은 더 힘든 상황을 겪고 있었을 거다. 선수들에게는 투자, 성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라며 "친구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나서 통장 잔고가 20만원, 30만 원 정도 남은 적도 있었다. 끝까지 지속 못할까봐 걱정인 거지 다른 걱정은 없다. 물론 기업들의 후원을 받으면 좋겠지만, 선수들이 공개가 되고, 기업이 원하는 게 생기면 취지가 바뀔 수 있다"라고 계속 사비로 자신의 장학금을 유지하고, 힘이 닿는 한 장학금의 규모도 늘리겠다고 했다.] * 박재민은 잘 알려져 있는 현혈자이기도 하다. 대한적십자사 헌혈 홍보대사이기도 한 그는[[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17/2019061701166.html|#]] 2022년 7월 기준 126회의 헌혈을 했으며, 고등학생 때부터 꾸준히 해왔다고 인터뷰를 통해 밝히기도 하였다. [[https://theqoo.net/square/2398037383|#]] * 박재민은 연예인 봉사활동단을 모집하여 2013년부터 연탄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멤버로는 아나운서 [[정인영(방송인)|정인영]], 가수 [[손호영]], 배우 [[김동준(제국의아이들)|김동준]] ([[제국의아이들]]), 배우 [[서지석]], 배우 [[박재정(배우)|박재정]], 배우 [[김은영(배우)|김은영]], 배우 [[김윤지(배우)|김윤지]] 등이 있다. [[https://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36954|#]][[https://www.bntnews.co.kr/article/view/bnt201811220045|#]] * 2022년 대한민국을 휩쓸고 간 태풍 피해지역에 영화 한산에 출연한 배우들과 함께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다녀왔다. [[https://enews.imbc.com/News/RetrieveNewsInfo/357489|#]] * 소아암 환우들과 가족들에게 맥도날드 햄버거 160세트를 기부했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790767|#]] 박재민은 평소 맥도날드 팬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 세종사회복공동모금회에 1000만원을 기부하였다. [[http://www.sj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61911|#]] *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성금 2000만원을 기부하였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310_0002221963&cID=10601&pID=10600|#]] * 박재민은 2023년 6월 5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 열매) 고액 기부자 모임인 아너소사이어티의 가입을 알렸다. [[http://www.stoo.com/article.php?aid=87494175741|#]] [각주] [[분류:한국 남배우]][[분류:비보이]][[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1983년 출생]][[분류:인디애나 주 출신 인물]][[분류:대한외국인 역대 한국인 우승자]][[분류: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설상 해설자]][[분류:브레이킹 해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