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관련 정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_quarter_time.gif]] [* 위 짤은 '4분음 3박자'이다.] [목차] == 개요 == {{{+1 [[拍]][[子]][[標]], Time signature}}} [[박자]]를 나타내는 기호로 [[음자리표]], [[조표(음악)|조표]]와 함께 악보의 맨 처음에 붙는 기호이다. 다 장조(가 단조)라면 조표는 안 붙여도 되지만 음자리표와 박자표는 [[필수요소]]다. 다만, 음자리표나 조표와는 달리 박자표는 곡의 맨 처음에만 붙일 뿐 굳이 행마다 붙여 줄 필요는 없다. 곡이 진행되는 도중에 박자표가 바뀌면 그 부분에 새 박자표를 붙인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musicscore_head.png]] 이 그림과 같이 음자리표와 조표를 먼저 붙이고 박자표는 그 다음에 붙인다.[* 그림은 4분음 4박자의 라장조(나단조) 곡.] 악보에서 박자(Meter)는 한 곡 전체에 거쳐 마디(Bar)나 박(Beat)과 같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패턴과 악센트를 가리킨다. 리듬과 달리 박자의 시작은 반드시 울리는 것은 아니지만, 연주자[* 또는 가수]는 박자를 암시하고 듣는 사람은 그것을 예상한다. 반면 박자표는 한 마디(Bar) 안의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위 숫자는 마디 당 박 수를 나타내며 아래 숫자는 각 박의 음값(Note)을 나타낸다. 여기서 박자(Meter)는 셈여림으로 강 약 중강 약 등의 감정 조절을 말하며, 박(Beat)은 시간 개념이고 박자(Meter)는 감정 개념이다. == 박자표의 형식 == 박자표는 흔히 쓰는 방식대로 [[분수(수학)|분수]]로 나타내는데, 오선 위에 나타낼 때는 맨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뎃줄을 중심으로 해서 맨 윗줄과 가운뎃줄 사이에 분자를 쓰고 가운뎃줄과 맨 아랫줄 사이에 분모를 쓴다. 분모의 숫자는 박자의 기준이 되는 음표를 의미하며 분자의 숫자는 박자의 기준이 되는 음표가 한 마디 안에 들어가는 수를 뜻한다. [math(\dfrac yx)]라는 박자를 읽을 때 한국에서는 수학의 분수처럼 '[math(x)]분의 [math(y)]박자'라고 읽는데 이것은 잘못된 방식이며, '[math(x)]분음 [math(y)]박자'로 읽는 것이 옳은 방식이다. 이는 [math(x)]분음표가 한 박자를 이루며 그 [math(x)]분음표 [math(y)]개의 길이가 곧 한 마디의 길이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4분음 4박자'는 한 마디 안에 4분음표가 4개 들어간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분모 부분에 들어갈 숫자는 [math(2^n)](단, [math(n)]은 양의 정수)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숫자이다. 이론상으로는 분모 부분에 1을 넣어서 온음표를 1박으로 할 수도 있기는 하다. 간혹 4/♩.[* 4/점사분음표, 해당 박자표는 8분음 12박자와 같다.]의 경우처럼 분모에 음표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분자에는 아무 자연수나 들어갈 수 있지만 2,3,4 등이 많이 쓰인다. 또한 (1+½∕4) 의 경우처럼 분자에 분수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 박자의 종류 == === 단순박자 (Simple time signatures) === 말 그대로 단순한 박자이다. 한 마디 안의 박자 수가 4박 이하인 경우를 단순박자로 분류하는데 이는 셈여림의 패턴이 말 그대로 단순하기 때문이다. 홑박자라고도 부른다. [[four-on-the-floor]]는 한 마디가 4개의 박으로 이루어졌을 때 마디마다 네 번씩, 그러니까 정박마다 꼬박꼬박 킥드럼을 치는 리듬을 의미한다. 다음은 단순박자의 몇 가지 예시이다. 셈여림의 숫자는 n분음표를 의미하며, 큰 숫자는 센박(강), 작은 숫자는 여린박(약), 조금 큰 크기의 숫자는 중간 센박(중강)[* 중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엄밀히 따지면 틀린 표현.], 조금 작은 크기의 숫자는 중간 약한박(중약)을 의미한다. || '''박자 수''' || '''박자표''' || '''셈여림''' || ||<|2> 2 ||{2 \over 2} ||'''{{{+3 2}}} 2''' || ||{2 \over 4} ||'''{{{+3 4}}} 4''' || ||<|2> 3 ||{3 \over 4} ||'''{{{+3 4}}} 4 4''' || ||{3 \over 8} ||'''{{{+3 8}}} 8 8''' || || 4 ||{4 \over 4} ||'''{{{+3 4}}} 4 {{{+1 4}}} 4''' || 이들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박자는 4/4 박자. 'Common time'이라고도 부른다. 그 이름답게 정말 썩어나갈 정도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데, [[록 음악]], [[블루스]], [[컨트리 뮤직]], [[펑크 록]], [[대중음악|팝]], [[테크노]], [[하우스(음악)|하우스]], [[트랜스(음악)|트랜스]], [[힙합]] 등 다양한 장르에서 4/4 박자를 쓴다. 마찬가지로 [[K-POP]]도 대부분 4/4 박자로 되어 있다. [[트랩(음악)|트랩]], [[덥스텝]] 같은 경우는 4/4인데 킥, 스네어를 2분음표로 진행한다. 2/2 박자는 'Alla breve' 혹은 'Cut time', 'Halftime'이라고도 불린다. 이 역시 4분음표 4개가 한 마디가 된다는 점은 4/4 박자와 같지만 박자의 기준 음표가 4분음표가 아닌 2분음표라는 점과 셈여림의 패턴이 강-약-강-약의 반복이라는 점이 차이점이다. [[행진곡]]이나 [[뮤지컬]] 등에 자주 쓰인다. 2/4 박자는 박자의 기준 음표가 4분음표인 채로 2개밖어 없어서 4분음 4박자보다 한 마디의 초길이가 절반이다. 강-약-강-약 패턴의 반복이라는 점은 2/2 박자와 같다. 주로 [[폴카]]나 [[행진곡]] 등에 쓰인다. 가요에서 쓰일 때는 잠시 변박할 때 많이 쓰인다.[* 4/4에서 2/4박자, 다시 4/4로. 근데 6/4로 통합하는 경우도 있다...(원래 6/4는 복합박자이지만, 여기서의 6/4만은 복합박자로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3/4 박자는 4분음표를 1박으로 해서 (강-약-약)-(강-약-약)으로 진행되는 단순한 패턴이다. 이 경우 같은 BPM에 4/4박자의 마디 길이보다 3/4정도 짧다. [[왈츠]][* 이쪽의 영향력 때문에 3/4박자가 왈츠 리듬(Waltz Rhythm)으로도 불린다.], [[미뉴에트]], 해학곡 등에 주로 쓰인다. 대표적인 클래식 곡으로 [[https://youtu.be/p7kQAc26kao|요나손의 뻐꾸기 왈츠]],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등이 있다. 비단 클래식 외에도 [[컨트리 뮤직]]이나 [[대중음악|POP]]에도 가끔 쓰인다. [[래퍼]] [[비와이]]가 3/4 박자 랩이 주특기이다.(대표적으로 [[The Time Goes On]]에 있다.) 가요에서도 3/4 박자가 매우 적긴 하지만 간혹 발견되는데, 대표적인 3/4 박자 곡으로 [[신문희]]의 '[[아름다운 나라]]'[* 3박자 치고는 템포가 빨라(4분음표로 하면 180) 6/8이나 12/8박자로 하는 경우가 많다(이렇게 하면 점4분음표 = 60).], [[옥상달빛]]의 [[수고했어, 오늘도]][* 극초반부 벌스 부분 빼고는 [[왈츠]] 형식의 쿵짝짝 반주로 이루어져 있다. 근데 6/8로 표현하는 악보가 대다수이다.] '[[아이유]]의 [[Real+#s-5.2|잔혹동화]][* 이쪽은 아예 반주가 쿵짝짝으로 [[왈츠]] 형태의 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데 6/8로 적힌 악보도 있다. 이 쪽은 점4분음표를 1분에 52번 연주하도록 템포가 설정됐다. 3/4라면 4분음표 156번.]', '마음을 드려요', [[예민]]의 '산골 소년의 사랑이야기', [[주현미]]의 '비내리는 영동교', [[박선주]]의 '귀로', [[박보영]]의 '나의 왕자님', ''''''--[[박효신]]의 '야생화--'''''''[* 3/4박자라기보다는 6/8이나 12/8에 더 가깝다. 템포가 느려서(12/8 표기 시 점4분음표 = 44~46) 그렇지.], 주병선의 '칠갑산', [[이소은(가수)|이소은]]의 '서방님', [[토이(가수)|토이]](Feat. [[성시경]])의 '소박했던 행복했던', [[곽진언]]&[[김필]]&[[임도혁]]의 '당신만이'[* 원곡 버전은 4/4박자이지만 이 세명이 [[슈퍼스타K6]]에서 3/4박자로 리메이크했다.], [[포맨]]의 'My Angel', [[들국화(밴드)|들국화]]의 '[[내가 찾는 아이]]' 등이 있다. [[합창]]곡에서는 3/4박자 곡이 많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박지훈의 '도라지 꽃'이라는 합창곡이 있다.[* 변형판으로 6/4박자도 있다. [[https://youtu.be/lf3462eZemU|6/4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4분음 8박자도 존재한다. === 복합박자 (Compound time signatures) === 단순박자의 한 박을 또 다시 등분한 박자이다. 1박을 3박으로 나누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예를 들어 6박자는 단순박자인 2박자에서 1박을 3박씩으로 나눠서 6박으로 만든 박자이다. 겹박자라고도 부른다.[* 음악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3/4박자와 6/8박자를 헷갈려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3/4는 3박자의 단순 박자이고, 6/8은 2박 계열의 복합 박자이다. 실제로 6/8은 점4분음표를 기준으로 카운트하는 경우가 많다. 근데 3/4는 대부분 점4분음표 2개를 연속해서 넣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 의외로 6/8은 점8분음표 2개를 연속해서 넣는 곳도 종종 보인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음악'''에서 주로 많이 쓰인다. [[국악]]의 경우 9/8 박자는 세마치장단, 12/8 박자는 자진모리장단, 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 굿거리장단[* 한국 작사, 작곡의 찬송가 중 6/8박자에 해당하는 찬송가 대다수 역시 굿거리장단에 해당하는 경우가 있다.]이 대표적이다. 또한 12/8 박자는 유럽 민속음악에서 자주 접할 수 있으며, 16세기 아일랜드 지역의 춤곡인 '''지그'''(gigue)가 바로 이 박자로 유명하다. 그래서 6/8 박자나 12/8 박자는 [[중세]]풍 분위기를 쉽게 자아낼 수 있다.[* 덤으로 [[세이킬로스의 비문]] 역시 6/8 박자로 구성됐다.] [[https://youtu.be/19dx6AkC_GY|#]][[https://youtu.be/N4q2kBe82-o|3/4박자와 6/8박자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영상]] 또한 셔플이나 [[스윙(음악)|스윙]]이 적용된 음악을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할 때에도 많이 쓰인다. 원래 이 리듬들은 1박을 3의 배수로 분할하는 게 보통으로 악보에서는 1:1이나 3:1로 적고도 연주할 때에는 2:1로 연주하는 따위로 표현하지만, 오케스트라에선 이 박자들은 적은 대로 연주하는 것이 기본이라[* 클래식 및 기타 오케스트라 곡의 경우 점8분음표+16분음표랑 8분음표 셋잇단음표가 한 박에 같이 있으면 재즈에서처럼 점8분음표를 2/3박으로 연주하는 게 아니라, 얄짤없는 [[폴리리듬]]이 된다. 다만 쇼팽의 경우 에키에르판이라고 알려진 National Edition에서는 점8분음표를 2/3박으로, 16분음표를 1/3박으로 처리할 것을 제안했는데, 18세기 기보법을 쇼팽이 준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4/4 기반으로 [[셋잇단]]음표를 도배하는 대신 복합박자로 표현한다. 또한 마칭밴드처럼 통일성이 강한 음악을 하는 경우에도 스윙 파트가 있으면 12/8 박자로 대체한다. 이는 4/4 박자에만 국한되는 게 아닌 [[아레사 프랭클린]]의 Natural Women 같은 3/4 박자 스윙은 9/8 박자로 나타낸다.[* 들어보면 드럼이 하이햇으로 1박을 셋잇단표로 쪼개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다음은 1박을 3박씩 나눈 복합박자의 예시이다. || '''박자 수''' || '''박자표''' || '''셈여림''' || || 6 || [math(6 \over 8)] ||'''{{{+3 8}}} 8 8 {{{+1 8}}} 8 8''' || || 9 || [math(9 \over 8)] ||'''{{{+3 8}}} 8 8 {{{+1 8}}} 8 8 {{{+1 8}}} 8 8''' || || 12 || [math(12 \over 8)] ||'''{{{+3 8}}} 8 8 {{{+1 8}}} 8 8 {{{+2 8}}} 8 8 {{{+1 8}}} 8 8''' || 2박을 6박으로 나누었을 때의 셈여림은 이렇게 된다. || '''박자''' ||<-6> '''셈여림''' || || 2 || 강 || || || 약 || || || || 6 || 강 || 약 || 약 || 중강 || 약 || 약 || 일본의 작곡가 [[카지우라 유키]]의 작품들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박자이기도 하다. 가요계에서도 간혹 발견되는데 [[버스커 버스커]]의 '[[여수 밤바다]]', [[버즈(한국 밴드)|버즈]]의 '어쩌면', [[선우정아]]의 '구애', [[마크툽]]의 '오늘도 빛나는 너에게', [[임영웅]]의 '이제 나만 믿어요', [[이수영(가수)|이수영]]의 '휠릴리', [[하이 스쿨 뮤지컬: 졸업반]]의 '[[Can I Have This Dance]]',[* 특히 이 곡은 3/4박인 왈츠를 추는 상황을 12/8박으로 재해석했다.] [[원슈타인]]의 '존재만으로' 등이 12/8 박자를 쓰는 점을 알 수 있다. [[https://youtu.be/WlU9z0xt768|12/8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옥상달빛]]의 '수고했어 오늘도', [[바네사 메이]]의 [[https://www.youtube.com/watch?v=pf9eBn4yyqA|Contradanza]][* 특히 [[https://www.youtube.com/watch?v=PDOMLsG1qao|이 곡]]은 [[https://www.youtube.com/watch?v=ZFxccE2eddM|4/4박자로 해석할 경우]] 2/4박이 추가되는 혼합박자 곡으로 다소 이상하게 해석된다.]처럼 6/8박자 곡도 있긴 있다.[* 이외에 [[울프마더]]의 [[https://www.youtube.com/watch?v=Nr0SqIAFohk|Joker And The Thief]]도 경우에 따라 몇몇 구간을 6/8박자로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ADzoCUj85I|#]]] 하지만 6/8박자는 대체로 동요나 찬송가에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섬집 아기]]와 [[고요한 밤 거룩한 밤]]. === 혼합박자 (Complex time signatures) === 서로 다른 단순박자끼리 섞여 한 마디를 이루는 박자이다. 5박(2박+3박), 7박(2박+2박+3박) 등이 있다. 섞임(Mixed)박자라고도 부른다. 각 마디마다 다른 박자를 가진 경우도 있다.[* 이중 2/4박자를 추가해서 곡을 늘이는 느낌을 주는 경우도 있다. [[Paradise City]]가 대표적인 예시. [[https://youtu.be/4LZrcXE_Vjg|#]]] 혼합박자의 셈여림은 원래 센박이어야 할 박자가 중간 센박으로 바뀐다. 다만 마디의 맨 처음에 오는 센박은 그냥 무조건 센박이다. 흔히 접할 일이 없는 특이한 박자 같지만 예상 외로 유명한 노래들 중 이런 박자가 많은데, 다음은 혼합박자의 몇 가지 예시이다. || '''박자 수''' || '''박자표''' || '''구성 순서''' || '''셈여림''' || ||<|2> 5 ||<|2> \displaystyle {5 \over 4} || 2 + 3 ||'''{{{+2 4}}} 4 {{{+1 4}}} 4 4''' || || 3 + 2 ||'''{{{+2 4}}} 4 4 {{{+1 4}}} 4''' || ||<|2> 7 ||<|2> \displaystyle {7 \over 4} || 2 + 2 + 3 ||'''{{{+2 4}}} 4 {{{+1 4}}} 4 {{{+1 4}}} 4 4''' || || 3 + 2 + 2 ||'''{{{+2 4}}} 4 4 {{{+1 4}}} 4 {{{+1 4}}} 4''' || || 9 || \displaystyle {9 \over 8} || 2 + 2 + 2 + 3 ||'''{{{+2 8}}} 8 {{{+2 8}}} 8 {{{+1 8}}} 8 {{{+1 8}}} 8 8''' || ||<|2> 11 ||<|2> \displaystyle {11 \over 4} || 2 + 2 + 2 + 2 + 3 ||'''{{{+2 4}}} 4 {{{+1 4}}} 4 {{{+1 4}}} 4 {{{+1 4}}} 4 {{{+1 4}}} 4 4''' || || 3 + 3 + 3 + 2 || '''{{{+2 4}}} 4 4 {{{+1 4}}} 4 4 {{{+1 4}}} 4 4 {{{+1 4}}} 4''' || ==== 5/4 ==== 미션 임파서블의 사례처럼 한 마디를 장-장-단.단.으로 구성하면 처음에 느긋하게 진행되다가 갑자기 긴박해지는 느낌을 곡 내내 조성할 수 있어서 곡의 스윙감을 살리기 좋다. 보컬이 들어간 곡으로는 [[라디오헤드]] 4집 [[Kid A]]에 수록된 '[[Morning Bell]]'이라는 곡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곡은 3+2박으로 5/4박을 구성하여 뒤 2박 부분에 스네어 박을 쪼개어 독특한 느낌을 준다. 유명한 5/4 곡으로는 다음과 같다. * [[데이브 브루벡]] - [[https://youtu.be.com/-DHuW1h1wHw|Take Five]] *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https://youtu.be/XAYhNHhxN0A|테마]][* 역사가 오래되다보니, 링크처럼 일부 테마곡은 도입부만 5/4이고 중간부분을 4/4로 바꾼 경우가 있다.][* 미션 임파서블의 메인 테마곡이 5/4박자가 된 데에는 숨겨진 이스터에그가 있다. 해당 곡은 한 마디를 한박반(점4분음표)/한박반/한박(4분음표)/한박의 패턴으로 구성하여 딴-딴/따단 (장-장-/단.단.)으로 나누었는데 이를 [[모스 부호]]로 치환하면 미션 임파서블의 약자인 M.I. (--..)가 된다!] * [[앵그리버드 클래식]] 7번째 황금알 이스터에그에도 [[https://youtu.be/dKei6x7rLwA|음악]] * [[라디오헤드]] - [[Morning Bell]] * [[앤트맨과 와스프]] [[https://youtu.be/uk-Vi5Zke20|엔딩곡]] * [[MDK]] OST [[https://youtu.be/9bZyR8Em7ao|Dreaming of Victory]], [[https://youtu.be/XsmjUBRAWFg|Facing the Inevitable]] * [[메탈슬러그 시리즈|메탈슬러그]] OST [[Steel Beast]]와 [[Assault Theme]] *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의 [[https://youtu.be/Hez8W3TceZU|Brothers In Arms]] * [[플랑드르 스칼렛]]의 테마곡 [[U.N.오웬은 그녀인가?]][* 초반부 한정. 그 이후부터는 4/4가 나온다.] * [[라디오헤드]] - [[15 Step]] * [[퀸즈 오브 더 스톤 에이지]] - [[https://youtu.be/na9FlXLz0VM|Hanging Tree]] * [[언더테일]] OST [[https://youtu.be/LS86CPaShI4|Here We Are]] 또한 5/8 곡으로는 다음과 같다. * [[양방언]] - [[https://youtu.be/vDd38LEu48Y|Frontier]] * 아테나이오스, 리메니오스 - [[델포이 찬가]] * [[메탈리카]] - [[Master of Puppets(노래)|Master of Puppets]][* 악보 상으로는 5/8 이지만 음원은 21/32--(...)-- 박자다.] 한편 곡 전체를 4/4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곡 도입부 말미에 임시로 5/4박을 채용하는 사례도 있다. 이렇게 하면 간주를 마치고 휘몰아치는 느낌을 주면서 곡 시작에 임팩트를 주기 좋으며 이와 비슷한 예시로 [[울트라맨이야]]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lxnv5AwfP0|#]][* 반대로 중간 3/4박을 채용해서 빠르게 시작하는 느낌을 주거나 분위기를 잠시 바꾸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메탈슬러그 2]]의 [[https://youtu.be/l826iC4py0w|LIVIN' ON THE DECK]]와 [[환청케이크]]가 있다. [[https://youtu.be/N6Wtvs42Ne8|이외의 예시]]] [[https://youtu.be/KQ76-WiFTlo?t=250s|5/4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 7/4 ==== 5/4와 마찬가지로 기존 4/4의 두 마디에서 마지막 마디의 한 박자를 끊어 불안정한 느낌을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 [[C418]] - [[https://youtu.be/D09Okc11afI|Haggstrom]][* [[마인크래프트]] OST] * [[데이브 브루벡]] - [[https://youtu.be/lbdEzRfbeH4|Unsquare Dance]] * [[핑크 플로이드]] - [[Money(핑크 플로이드)|Money]][* 단, 솔로 부분은 12/8박이다.] * [[앤트맨(영화)|앤트맨]] [[https://youtu.be/O_5NwVy8L5M|테마]][* 엄밀히 말하자면 7/8로 들리지만 일단 악보에선 7/4로 표기되어있다. [[https://musescore.com/rodgerc26/ant-man|#]].] *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https://youtu.be/pAb8ZVfica0|테마]] * 더트 트랙 레이싱 2 [[https://youtu.be/gczZJpGQqCI|메인 메뉴 음악]] * [[메이플스토리]]의 캐릭터 [[호영(메이플스토리)|호영]]의 테마곡인 [[https://youtu.be/3QRLjglu8sI|Riding on the Clouds]] * [[코메이지 코이시]]의 테마곡 [[https://youtu.be/4syvy2vjvQY|하르트만의 요괴소녀]][* 이 음악은 중간에 4/4가 나온다] * [[소년탐정 김전일/드라마|소년탐정 김전일 드라마]] 1기, 4기, 5기 [[https://www.youtube.com/watch?v=bOJiUCTHxVY|BGM]] * [[메탈슬러그 3]]버전 [[Steel Beast]] * [[애니뮤직]]의 Starship Groove * [[디스터브드]]의 Down with the Sickness[* 후반부 구간에 나온다] * [[Finch(밴드)|Finch]]의 Ink * [[에버랜드]]의 최대 인기 어트랙션인 [[T 익스프레스]] [[https://youtu.be/CzpoOMrd9fY?t=791|테마곡]] * phonon - polyriddim [[https://youtu.be/-UA6n7iKeYQ|7/4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 9/8 ==== 9/8박은 겹박자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혼합박자처럼 쓰일 수도 있다. * [[스팅(가수)|스팅]]의 [[https://youtu.be/WnwmOfmZbb0|I Hung My Head]] * [[레드 제플린]]의 [[https://youtu.be/W711RXvFwmI|The Crunge]] * [[킹 기저드 & 더 리저드 위저드]]의 [[https://youtu.be/dPXObWXgvbw|Gaia]] * [[데이브 브루벡]]의 [[https://youtu.be/vKNZqM0d-xo|Blue Rondo Ala Turk]] [[https://youtu.be/I7BxNEhVHhY|9/8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 11/4 ==== 11/4의 대표곡으로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인 [[에코(리그 오브 레전드)|에코]]의 [[https://youtu.be/qmb-S_vgzPs|테마]], [[전람회의 그림]] 중 [[https://youtu.be/r9JpKXBw5Z4|프롬나드]]와 [[OutKast]]의 Hey Ya가 있다.[* 이외에도 [[드럼매니아]] 같은 일부 리듬게임들에서도 특이한 박자들을 가진 곡들을 볼 수 있다.][* 11/4와 비슷한 11/8박자도 있다. [[https://youtu.be/wS9t4Ftkz7Q|11/8박자 노래들을 소개하는 영상]]] [[유요윳페]]의 [[Leia]]에서는 11/8(5/8+6/8)박자, 6/8박자, 5/8박자를 전부 구현한다. 13/8, 17/8과 같은 복잡한 박자는 [[Djent]]나 [[매스 록]] 같은 일부 록 음악에서 사용된다. [[https://youtu.be/Rv_a6rlRjZk|Plini - Electric Sunrise, 13/8]] [[https://youtu.be/br2s0xJyFEM|Bjork - Moon,17/8]] [[https://youtu.be/eh1dVptApmc|Yes - Changes, 17/8]] 특이한 박자를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특수한 박자표를 쓰지 않고 마디마다 박자를 바꾸어주는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위의 예시로 든 전람회의 그림 중 프롬나드에서는 11/4박자를 쓰지만 악보의 박자표는 11/4를 쓰는 것이 아니라 5/4와 6/4가 한 마디씩 반복된다.[* 정신나간 피아노곡으로 유명한 [[Circus Galop|서커스 갤럽]]에도 비슷하게 9/16+5/16 구간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_SmlZ3Cwn0&t=79s|#]]] 어차피 혼합박자라는 것이 서로 다른 단순박자를 합쳐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마디마다 바꿔도 정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4/4박인 것으로 들리는 [[앨리스 인 체인스]]의 Stone같은 경우에는 곡 전체의 불안정안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3/4+5/4로 번갈아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cSc20pl8JM|#]]] 좀 더 특이한 예로는 마디마다 박자가 달라지긴 하지만 위와 같이 정해진 규칙은 없는 경우로, 유명한 곡으로는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의 엔딩 곡인 [[https://youtu.be/s_qgv75wuYY|Cap's Promise]]가 있다. 1분 42초부터 박자 변경이 굉장히 자주 나온다.[* 1분 42초부터 각 마디의 박자를 6분음 n박자([math(\frac n6)])라고 한다면, n은 차례로 다음과 같다: 6565 657656 657656 6666 6666 454546 44 6565 46465 46465 4444 446 446 44] 조금 다른 경우로, 프레드릭 제프스키와 같은 일부 현대 작곡가의 경우, 단순박자 토막을 덧셈기호로 연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math(\dfrac{22}{8})]라는 박자가 [math(\dfrac{6+5+6+5}{8})]로 기보되기도 한다. 위 [math(\dfrac{11}{4})]는 각각 [math(\dfrac{2+2+2+2+3}{4} )], [math(\dfrac{3+3+3+2}{4} )], [math(\dfrac{5+6}{4})](프롬나드)로 표기할 수 있다. 일반적인 표기법은 어디서 박자를 끊을지 갈피가 잡히지 않고, 윗문단처럼 마디마다 바꿔쓰는 경우 반복하기에는 귀찮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 문단에 있는 표기법은 두 단점들을 모두 극복했다고 볼 수 있다. 페르마타를 넣는 대신 한 마디 안에서만 5/4나 7/4를 쓰는 경우도 있다. === Irrational time signatures === [youtube(yLCD6sJdsOs)] [math(\dfrac{4}{5})], [math(\dfrac{2}{6})]처럼 분모가 2의 거듭제곱이 아닌 박자를 말한다. 이러한 박자를 사용한 곡으로는 토마스 아데스의 [[https://www.fabermusic.com/music/piano-quintet-3267/score|피아노 5중주]], [[브라이언 퍼니호그]]의 [[https://youtu.be/htAECBNb32Y|Superscriptio]]가 있다. == 특수 박자표 == 분수 형식의 박자표를 대신해서 다음과 같이 특수한 박자표를 쓰기도 한다. 의미의 차이는 없다. * Common tim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Commontime.svg.png|bgcolor=white]] 'Common time'의 머릿글자인 'C'를 그대로 쓴 것으로 4/4 박자표와 같다. * Cut Common Time(Cut Tim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px-Allabreve.svg.png|bgcolor=white]] Common time을 의미하는 'C'에 세로선을 하나 그은 모양으로 2/2 박자표와 같다. 사용할 때는 '2온음표 기준'이라는 뜻의 'Alla breve'를 같이 쓰는 경우가 많다. [각주] [[분류:악보]][[분류:음악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