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박인수)] [include(틀:박인수)] [목차] == 개요 == [[박인수]]의 [[별명]] 문서이다. == 일반 별명 == * '''박''': 이재혁의 '''"쿨"''', 유창현의 '''"윷"''', 김승태의 '''"슨"''', 유영혁의 '''"윾"''', 문호준의 '''"문"''' 전대웅의 '''"웅"''' 과 더불어 한 글자 별명을 가진 선수 중 한 명이다. 이재혁과의 대결은 '''쿨박대전''', 유창현과의 대결은 '''윷박대전''', 유영혁과의 대결은 '''윾박대전''', 문호준과의 대결은 '''문박대전'''으로 불리곤 한다. * '''인수분해''': 카트라이더 KeSPA Cup 2017 결승전 2set에서 나온 박인수의 실수에서 따온 걸로 본인이 분해당하는 뜻으로 붙혀졌지만, 박인수의 위상이 올라감에 따라 오히려 이젠 박인수가 다른 선수를 정지시킬 때 쓰는 별명이 되었다. * 박X수 듀오, 박수듀오: 박인수와 [[박현수]]의 케미가 잘맞아 생긴 별명이다. * 이탈리안 박인수, 피사 집주인: 듀얼 레이스 X와 2019 시즌 2에서 나온 월드 이탈리아 피사의 사탑 맵을 압도적으로 잘하는 걸 보고 성승헌 캐스터가 경기 도중에 붙여주었다. 박인수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별명이라고 한다. * 박피자: 형독의 장인 콘텐츠에 등장한 피사의 사탑 장인으로 한 때 박인수의 스승이다. 똑같이 생겼지만 자신은 박인수가 아니며 박인수가 자신을 따라하는 거라고 한다. * 타노스: 2019 시즌 1 인터뷰에서 Flame이 카트계의 어벤져스라는 말을 듣자 자신은 어벤져스를 무찌른 타노스를 하겠다고 말한 것에서 유래. 박인수가 보여준 괴물같은 포스와 잘 어울려서 자주 쓰인다. '''박노스'''라고도 불린다. 타노스 [[https://youtu.be/UAC-iEslBn4|마스크]]와 건틀렛을 소지하고 있고 개인 방송에서 보여주기도 한다. * 연습 벌레: 카트라이더 리그의 공식적인 연습 벌레로 주변에서 박인수가 연습을 진짜 많이 한다고 하여 붙혀진 별명이다. * 멋진샌박주장: 정승하가 박인수에게 말을 걸 때 줄여서 멋샌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 샌박인수: 샌드박스의 박인수라는 뜻이며 트위치 이름이기도 하다. 센 박인수라는 뜻이라고 쓰이기도 한다. * 문호준 킬러: 2019 시즌 1 결승전에서 공식적으로 언급된 별명이다.[* [[파일:2019_시즌1_박인수.jpg|width=100%]]] * 카트걸: 2019 시즌 1 카쁠쁠에서 카트걸 김효진의 자리를 노려서 생긴 별명. 현재 카트걸인 최시은의 자리도 노리고 있는데 최시은은 샌드박스 카트라이더 팀 선수 자리를 노리고 있다.[[https://youtu.be/ej-oGCSd1JI|영상]] 최시은과 만나면 카트걸 에결을 하곤 한다. [[https://youtu.be/CIJeqffzmgg?t=112|#]] * 짱구: 짱구의 똘끼 있는 모습이 박인수와 닮았다. 성격도 성격이지만 머리를 너무 짧게 잘라서 머리가 쥐 파먹었을 때 정승하가 짱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팬들이 박인수에게는 짱구 스티커, 김승태에게는 철수, 정승하에게는 맹구, 박현수에게는 흰둥이 스티커를 각각 보내주었다. 4명의 트위치 프사 모두 각각의 캐릭터 그림으로 바뀌었다. 정승하는 요즘 박인수를 부를 때 막힘없이 자연스럽게 "야 짱구야"라고 한다고 한다. 더 웃기는 건 그걸 게임 도중에도 한다고 한다. * 불꽃 주행: 정준 해설 위원이 붙여주었던 별명이다. 두려워하기보다는 거침없이 도전하는 플레이를 보여주다 보니까 불꽃주행이란 말이 붙은 것 같다고 본인이 말했다. [[http://www.dailyesports.com/view.php?ud=202007091217333030b78bb58252_27|기사]] * [[하와 수]]: [[정승하]]와 케미를 이룰때 사용되는 별명으로, 정승하가 '''하''' 그리고 박인수가 '''수'''로 22 SC 8강 4경기 아이템전 핫클립 썸네일로도 등극되었다. [* 그런데 [[정준하]], [[박명수]]와 각각 성이 똑같다. '''정'''준'''하''', '''정'''승'''하''', '''박'''명'''수''', '''박'''인'''수''' .] == 긍정적인 별명 == * '''팀전 황제''': 신 BIG 3 중에서 '''팀전'''에서 가장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실제로 역대 팀전 우승 횟수에서 V6를 차지해 BIG 3 중에서 1등을 달리고 있고, 본인이 에이스 역할을 하며 이끌어낸 우승이 다수 있기에 생긴 별명이다. * 이벤트전 황제: 듀얼 레이스 X나 복면 카왕 시즌 2와 같은 이벤트 리그에서 정규 리그에서 못한 개인전 우승 등 성적이 좋아 붙여졌으며 이벤트 리그 1 vs 1에서만 '''21전 21승으로 유일무이한 전승'''을 하고 있어 생긴 별명이다. * 승자연전 최강자: 이벤트 리그인 듀얼레이스 X에서도 승자연전에서 본인만 남았을 때 배성빈, 문호준, 박도현을 차례로 잡아내며 팀을 1세트 승리로 이끌었고, 2022 시즌 2 승자연전에서는 올킬을 하고 우승하여 붙여진 별명이다. * 1 vs 1 최강자, 에결 종결자: 듀얼레이스 X 때부터 2019 시즌 1(2020년 초창기)까지 1 vs 1 경기에서는 믿고 볼만큼 2018년 중후반기부터 2020년 2월까지 SPOTV(넥슨 아레나) 주관 카트라이더 대회에서 1 vs 1로 치러진 모든 경기의 전적이 무려 23전 20승 3패로 87%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펼쳐 생긴 별명이다. 또한 승자연전 올킬, 팀전 일대일 최다연승, 팀전 일대일 최다승등 각종 일대일 기록등을 가지고있다. * 극복의 아이콘: 2021 시즌 2, 개인전 32강 B조와 팀전 플레이오프에서 안좋은 기억을 딛고 극복을 해내어 붙혀진 별명, 이젠 리브 샌드박스 팀원 전체에게 확대되었다 * 세대 교체의 아이콘: 듀얼레이스 X에서 성승헌 캐스터가 이전까지 문호준, 유영혁 다음의 선수들이 왕좌를 놓고 싸운 경우는 있었지만 보통 넘겨받을 준비만 했었지 이렇게 박인수처럼 유영혁, 문호준을 끌어내린 선수는 없었다고 평할정도로 세대교체가 단 한 시즌만에 완벽하게 되어 생긴 별명이다.. * SAVIOR: [[구원자]]라는 의미로, 카트라이더 리그의 구원자라는 의미다. 실제로 박인수가 2018년 후반부터 급격히 성장한 기량으로 생긴 문호준과의 라이벌리로 '''카트라이더 리그를 다시 부흥하고 흥행시킨 1등공신'''이기에 붙여진 별명이다. 그리고, 2019 시즌 1에서의 팀 이름도 [[SAVIORS]]로 구원자들, 카트리그를 구원할 선수들이라는 의미에서 지어진 이름이고 박인수가 그 주장에 대표 선수였기에 이 별명 역시 박인수를 상징하는 별명 중 하나다. * 차세대 최강자, 차세대 황제: 2019 시즌 1때부터 공식 리그에서 불린 별명이다. 현재는 정상급 선수 중 한 명이기 때문에 잘 불리지 않는다. * 황태자, 신황제: 듀얼레이스 X와 2019 시즌 1에서 아주 좋은 성적(양대우승, 팀전 우승 개인전 준우승)으로 인해 한동안 불렸지만 2020 시즌부터는 개인전 우승이 없다는 것 때문에 점차 사용되지 못한 별명이다. 현재는 유창현이 2021 시즌 1에서 황제의 자리를 대체하면서 개인전 우승까지 한 이유로 이 별명을 가져갔다. * 주행 최강자:카트리그에서 가장 주행 선수중 한명이며 이재혁을 주행으로 찍은적이 있을정도로[* 2021-s 개인전 결승 2set round3 황금문명, 2022-s 팀전 결승 2phase ACE 결정전 동이문] 주행이 대단하기 때문 == 준우승/2등 관련 별명 == * '''무관의 제왕''': 2021 시즌 1 개인전 결승전 선수 소개 당시 성승헌 캐스터의 소개 멘트로 처음 등장한 단어. 개인전에서 보여주는 실력이나 기록은 매우 좋은 편이지만 아직 개인전 우승이 없어 박인수의 개인전 무관이 자주 놀림거리가 된다. * [[무관(스포츠)|무관]] DNA: 분명히 실력으로는 우승 할 만 한데도 불구하고 이상하게도 개인전 결승 2인전만 가면 말아먹으면서 개인전 우승을 놓치다 보니 '혹시 박인수에게는 개인전 무관 DNA가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의혹에서 생긴 별명. 실력에 비해 팀전 우승이 없어 무관이라고 놀림받는 [[이재혁]]의 리버스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단 비정규리그인 듀얼레이스 X에서 양대우승을 했다'''[* 이재혁과 마찬가지로 비정규리그에서 각각 팀전,개인전 우승을 하였다.] * [[콩진호|콩인수]]: 홍진호 처럼 준우승이 많아 생겨난 별명이다. * 명품 조연: 중요한 승부처에서 미끄러져 다른 선수의 우승을 돋보이게 하는 명장면을 만들어 조연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어 팬들이 매우 안타까워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생겼다. * 결승 전의 박인수, 8인전의 박인수: 개인전 결승전 전의 성적이 매우 좋지만, 결승전만 가면 부진하여 생겨난 별명이다. * [[김수한무|구수한무]], [[열무국수]]: 각각 9번 연속(22-1 당시), 10번 연속(22-2 당시) 개인전 결승에 진출하고도 우승을 하지 못해서 생긴 별명. 또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다짐 멘트에도 영감을 받아 "열 번 찍어도 안 넘어간 나무"라는 말도 있다. == 기타 별명 == * 파닥파닥: 데뷔 리그인 에볼루션 첫 경기에서 그리핀을 포레스트 대관령 트랙에서 잡아내고 보여준 세레머니에서 붙여졌다.[[https://youtu.be/40jVFKLRyj8?t=611|영상]] [[신종민]]이 이를 따라해서 세레머니로 보여주기도 한다. * 외계인: 복면카왕에서 생긴 별명, [[박인재]]와 SGA가 개최한 미스터리 카트라이더 일대일 리그 복면카왕 시즌 2에서 '실력이 인간이 아니라 외계인'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해 우승해서 생겼다. * 인수르: 2021 시즌 2 팀전 개막전 두바이에서 혼자서 상대팀 4명을 다 막아서 생긴 별명, 카트라이더 e스포츠 채널에서 위클리 탑5으로도 올라왔다.[[https://youtu.be/Sgzgsoj1cl8|#]] * 좀비: 뒤에서 따라올 때 잘해서 붙은 별명이라고 본인이 말했다. * 우니: 우니를 사용할 때 성적이 좋아 붙혀진 별명이다. * 박서탭: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CBT 2차 이벤트 매치에 선수로 출전했는데 우렁찬 목소리로 진행과 스탭 역할까지 맡아서 생긴 별명이다. * 박감독: 카러플 스타컵 형독팀 감독을 맡게 되어서 생긴 별명이다. * 사커킥: 오락실 발차기 기계에서 항상 최고득점을 기록한다고 해서 애프터파티에서 붙여진 별명. 카트리그에서 박인수가 몸싸움을 걸자 중계진이 사커:킥을 한다고 애프터파티에서 말했다. * 115만원: 히페리온 X를 뽑기 위해 쓴 돈(...) --물론 [[신동이|이 분]]에게는 못 미친다.-- * 인데렐라: 12시가 되면 방종을 하고 떠났어서 생긴 별명이다. * [[리우창헝|푸런시우]]: '박인수'의 한자 표기인 朴仁秀를 대만식 표준중국어로 읽은 발음[* Pǔ rén xiù]으로, 리브 샌드박스에 [[NEAL]]이 영입된 이후 박인수가 인터뷰에서 중국어로 인사할 때 나오는 별명이다. * 킹인수: 박인수가 리그에서 잘할때 불리는 별명 * 투자의 신: 박인수가 500만원을 투자해 김다원에게 개인전 우승을 내주고 블레이즈에 영입시켜 아이템 전력을 대폭감소시킨 뒤 팀전 2연속 우승으로 2억의 수익을 올렸다는 밈에서 나온 별명이다. * --유로뉴스--: 유튜브 계정 해킹사건 참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인수, version=2373)] [[분류:박인수]][[분류:프로게이머 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