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유당 원내총무)]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54170 0%, #254170 20%, #254170 80%, #254170)" '''{{{#fff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fff {{{+1 박종남}}}[br]朴容益}}}'''}}}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v.pstatic.net/yonhapnews_33611672.jpg|width=100%]]}}} || ||<|2> '''출생''' ||[[1905년]] [[1월 18일]] || ||[[강원도]] [[강릉시|강릉군]] || || '''사망''' ||[[1977년]] [[5월 26일]][* [[https://www.rokps.or.kr/profile/profile_view.asp?idx=1133&page=1|대한민국헌정회 회원프로필]]에는 4월 6일에 별세한 것으로 오기돼 있다.](향년 72세) || || '''본관''' ||[[강릉 박씨|강릉]](江陵)[* 삼가공파(三可公派) 25세 용(容) 항렬.] || || '''창씨명''' ||[[후미오]](美村文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본관은 [[강릉 박씨|강릉]](江陵), 창씨명은 미무라 [[후미오]](美村文雄). == 생애 == 1905년 1월 18일 [[강원도]] [[강릉시|강릉군]](現 [[강릉시]]) [[사천면]] 덕실리[* [[강릉 박씨]] 집성촌이다.]에서 아버지 운빈(雲濱)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7HIL_A1874_1_0024118|박기동]](朴起東, 1874. 5. 8 ~ 1940. 8. 13)[* 초명은 박창실(朴昌實)이었으나 1905년 9월 [[http://db.history.go.kr/id/im_106_00086|개명했다]]. 자는 우옥(禹玉). 관직 생활 당시에는 [[한성부]] 북서 관광방 벽동계 벽동에 거주했다.]과 어머니 [[안동 권씨]](1873. 7. 12 ~ 1953. 4. 26)[* 권정수(權廷洙)의 딸이다.] 사이에서 2남 2녀 중 차남으로 [[https://www.gn.go.kr/www/selectBbsNttView.do?key=705&bbsNo=81&nttNo=843&searchCtgry=%EC%82%AC%EC%B2%9C%EB%A9%B4&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integrDeptCode=|태어났다]]. 출생 이후 첫째 작은아버지 신당(申堂) 박화동(朴華東, 1881. 6. 6 ~ 1933. 8. 26)[* 초명 박찬실(朴瓚實), 자는 순옥(舜玉).]에 입양되었다. 1925년 3월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에 제2회로 입학했다.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수료한 후, 1927년 4월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로 진학하여 1930년 3월 졸업하였다. 경성제국대학 졸업 후 1930년 [[경상북도]] 산업과 산업부 속 겸 달성군 속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931년 [[경상북도]] 산업부 산업과 속 겸 [[성주군]] 속에, 1932년 1월 [[대구광역시|대구부]] 내무과 속에, 1939년 7월 성주군 속 내무과장에 임명되었다. 1940년 9월에는 군수로 승진하여 경상북도 [[봉화군]][[군수|수]]로 부임했으며 1943년 3월 경상북도 [[예천군]][[군수|수]]로 옮겨 해방될 때까지 재직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2008년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총 4476명 중 1270명이 속한 [[관료]] 부문에 포함되게 되었다.[[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889220#cb|#]] [[8.15 광복]] 후 1947년에는 [[경상북도청]] 산림과장 및 상공국장을 지냈으며, 1952년에는 [[임업]]계에 종사하여 대한임업개발주식회사 사장, 경상북도목재주식회사 사장, 중앙산림조합연합회 이사 등을 지내기도 했다.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강릉군 을 [[선거구]]에 출마해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이던 [[자유당]] [[최헌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58년 5월 2일 치러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도 [[명주군]] 선거구에 출마해 [[무투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고, 같은 해 9월 자유당 원내총무에 선임되었다. [[제4대 국회]]에서는 국회 운영위원장,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고, 1959년 7월에는 자유당 총무위원장을 역임했다. 그러나 [[4.19 혁명]] 후 1960년 5월, [[3.15 부정선거]] 자금에 관여한 혐의를 받아 입건되었으며, [[5.16 군사정변]]이 일어난 뒤 1961년 12월에는 군사정권의 혁명재판소 상고심판부에서 거액의 불법 선거 자금을 조달한 혐의가 씌워져 [[혁명재판]]을 받고 무기징역을 구형 받았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사면받았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강원도 강릉시·명주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최익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7년 5월 26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마포구)|서교동]] 366-8번지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52800239107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05-28&officeId=00023&pageNo=7&printNo=17273&publishType=0001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강릉군 을) || [include(틀:무소속)] || '''21,692표 (62.06%)''' || '''당선 (1위)''' || '''초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명주군) || [include(틀:자유당)] ||<-2> '''[[무투표 당선]]''' || '''재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강릉시·명주군) || [include(틀:자유당(1963년))] || 15,301표 (19.27%)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강원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강릉시 출신 인물]][[분류:강릉 박씨]][[분류:1905년 출생]][[분류:1977년 사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법학전문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