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박영섭}}}'''[br]'''朴永燮'''}}}}}}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박영섭.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11월 30일]] || ||[[황해도]] [[서흥군]] 소사면 방곡리[br](現 [[황해북도]] [[연탄군]] 장운리) || ||<|2> '''사망''' ||[[1962년]] [[5월 21일]][*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5월 22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돼 있다.] (향년 39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324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한국광복군]] 출신의 군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 생애 == 1922년 11월 30일 [[황해도]] [[서흥군]] 출생. [[국립대전현충원]] 공훈록에는 [[1917년]] 생으로 되어있다. 소사심상소학교를 졸업한 뒤 황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2학년 때 중퇴했다. 이후 관공서 및 치과병원 등지에서 근무하다가 1936년 [[중화민국]]으로 건너갔다. 1940년 1월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입대했고, [[박영진(독립운동가)|박영진]], [[문응국]], [[선우기]], [[장철(1922)|장철]] 등과 함께 중국 중앙군 전시간부훈련단 제4단 한청반에 입단해 정치교육과정을 수료했다. 이후 서안군관학교를 졸업하고 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에 정식으로 입대했다. 1941년 [[최철]],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8731|박재화]][*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 6.25 전쟁 발발 시 [[제1보병사단]] 13연대에서 복무 중 전사.]와 [[대만 군관학교|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제7분교(서안군관학교) 보병 8기로 입학 [[1944년]] 졸업하고 [[임정근]]과 광복군 제2지대 제2구대에서 활동했다. [[1945년]] OSS 훈련에 참가, [[장재민]]과 함께 국내 정진군 충청도반에 배속되어 훈련 받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광복 후 [[육군사관학교]] 7기를 졸업하고 임관하였고, [[6.25 전쟁]] 당시 [[제8기동사단|8사단]] 21연대 2대대장을 맡아 단양전투 등에 참가하였고, 부상으로 인해 장애를 얻었다. 단양전투 당시 21연대 1대대가 무단철수하는 바람에 2대대도 북한군의 공격을 받고 다급히 후퇴해야만 했다. 당시 1대대장은 윤태현 소령으로 해당 사건으로 [[즉결처분]]을 당했다.[* 윤태현 소령은 광복군 출신이며 청년전지공작대에서 부터 함께한 동지이다. 단양전투 당시 북한군의 동향을 파악하고 반격을 주저하면서 오히려 무단 후퇴했는데 이 바람에 2대대가 노출되고 갑작스럽게 공격받은 것이다.윤태현 소령의 즉결처분은 부적합하다는 평이 있으나 이와 무관하게 광복군 창설 전부터 함께한 동지에게 큰 민폐를 끼쳤다.] 전쟁 후 [[제9보병사단|백마부대]] 예하 연대장을 맡았다. 6.25 전쟁 당시 장애로 인해 [[1961년]] 예비역 [[준장]]으로 전역하였다. [[1962년]] [[5월 21일]] [[서울특별시]]에서 사망했다.[* 국립대전현충원 공훈록에서는 [[1961년]] 사망으로 되어있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유해는 1991년 11월 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이장되었다. == 가족관계 == 부인 김숙영 여사는 광복군 제2지대에서 활동하였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아들 박근은 육군사관학교 31기를 졸업하였고, 국내 최초 LPG 차량 개조 회사인 (주)NGVI사의 대표를 역임하였다. == 참고자료 == 독립운동가 공훈록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국립대전현충원 공훈록 단양군, 단양군지, 제3편 정치,행정, 54쪽 조선일보, 교사를 증축 통일부대서, 1956년 8월 30일자, 2면 경향신문, 상이대령 7명 진급전역키로, 1960년 12월 31일자, 3면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6.25 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1922년 출생]][[분류:1962년 사망]] [[분류:건국훈장 애국장]] [[분류:서흥군 출신 인물]][[분류:실향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