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육군사관학교의 박승환 및 독립운동가들의 흉상 철거, rd1=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박승환(동명이인))] [include(틀:건국훈장 대통령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박승환}}}'''[br]'''朴昇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B%B0%95%EC%8A%B9%ED%99%98.jpg|width=100%]]}}} || ||<|2> '''출생''' ||[[1869년]] [[9월 7일]] || ||[[한성부]] || ||<|2> '''사망''' ||[[1907년]] [[8월 1일]] (향년 37세) || ||[[한성부]] 개인 대대장실 || || '''자''' ||구여(九如) || || '''호''' ||운파(雲坡) || || '''직업''' ||독립운동가, 군인[* [[대한제국군 시위대]] 1연대 1대대장 출신.] || || '''서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한양|한성부]] 태생이며 1887년 18살의 나이로 무과에 급제해 무관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무관 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정규군인 시위대에 소속되어 참위(=[[소위]])와 정위(=[[대위]])를 거쳐 1904년 2월 참령으로 진급(현 군제상 [[소령]]), 시위대 1[[연대(군대)|연대]] 1[[대대장]]에 임명됐다.   1907년 7월 일제가 [[헤이그 특사]] 사건을 빌미로 [[고종(대한제국)|고종 광무제]]를 강제 퇴위시킨 데 반발해 황궁에서 정변을 모의했으나[* 만화 [[하늘의 혈맥]]에서 이 부분이 상당히 박력있게 묘사된다.] 고종에게 화가 미칠 것을 우려해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고종 퇴위 후 후속 조치로 같은 해 [[7월 31일]] 일제가 [[순종(대한제국)|순종]]의 명의로 [[대한제국 군대 해산]]을 명하는 칙령을 내려 [[8월 1일]] 모든 군인들을 동대문 훈련원에 모이게 한 뒤 군대를 해산시키자 ''' "군대가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가 충성을 다하지 못한다면 만번 죽어도 아깝지 않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권총으로 자결했다.''' 박승환의 자결 소식이 알려지자 [[남상덕]] 참위를 중심으로 휘하 대대원들이 해산을 거부하고 무장 봉기해 일본군과 서울 시내에서 교전을 시작하면서 [[남대문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들은 나중에 [[정미의병]]에 합류하게 된다.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에서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 어록 == > '''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 (군불능수국 신불능진충 만사무석)''' (군인이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가 충성을 다하지 못하니, 만 번 죽어 아깝지 않다.)[* 박승환 참령의 유서] ==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 == 2023년 8월 31일, 육사에서 이전하려고 한 독립유공자 동상 중에, 박승환 참령의 동상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 [[https://www.news1.kr/articles/5156105|보도]]되었다.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 참조.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조선의 무관]][[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1869년 출생]][[분류:1907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총기에 죽은 인물]][[분류:조선의 자살한 인물]][[분류:건국훈장 대통령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