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2년 출시된 카트바디]]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박스터 시리즈)] {{{}}} [목차] || [[파일:박스터 V1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박스터 V1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카트 패스 챕터 2 시즌 5.jpg]] >'''숨 막힐 듯 고조되는 파워, 박스터 V1''' == 개요 == 2022년 8월 11일에 [[서핑 보드 V1]]과 같이 카트 패스 이벤트로 출시되는 박스터의 V1 엔진 버전 카트바디.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 박스터 V1 || || '''획득 방법''' || 업그레이드 기어 2등급 보상 || 첫 출시는 카트 패스 챕터 2 시즌 5 프리미엄 패스 최종보상이었으며 이후 업그레이드 기어 2등급 보상으로 복각되었다. 서비스 종료를 앞두고 기어 조각을 루찌로 뿌리는 터라 얻기 상당히 쉬워졌다.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55 || || '''가속력''' ||<-3> 1049 || || '''코너링''' ||<-3> 960 || || '''부스터 시간''' ||<-3> 970 || || '''부스터 충전량''' ||<-3> 520 || ||<-4> '''속도''' || || '''직선 속도''' ||<-3> ? || || '''부스터 속도''' ||<-3> 293Km/h || || '''출발 부스터''' ||<-3> ? || || '''헤어핀 감속''' ||<-3> 121~125km/h || ||<-4>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3> ? || || '''부스터 속도''' ||<-3> 319Km/h || || '''지속 시간''' ||<-3> 1초 (Type S) || || '''쿨타임''' ||<-3> 557Frame[* 부스터 사용 중 익시드 충전 속도 10% 증가 옵션 추정치]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중 || || '''몸싸움''' ||<-3> '''최상''' || || '''무게중심''' ||<-3> 조금 앞 || ||<-4>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3> 140km/h || || '''익시드''' ||<-3> 20% || || '''크래시 게이지''' ||<-3> 200km/h || 최상급 몸싸움 능력과 평균 이상의 부스터 지속시간, 강화된 S타입 익시드를 이용해 상대를 헤집는 플레이가 가능한 스위퍼형 카트바디이다. [[스틸 솔리드 V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틸 솔리드 V1보다 접지력이 불안하고 감속이 낮지만 익시드가 더 빨리 차고 기본 스펙이 더 좋아서 일장일단이 있다. 접지력이나 카트 크기 등 최근 출시되는 카트바디들에 비하면 뒤쳐지는 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나, 그 점을 충돌 방어력과 익시드 충전속도 10% 증가로 상쇄하는 특성을 지닌 카트바디이다. 감속이 낮고 몸싸움이 강한 스위퍼 카트바디 특성상 타임어택보다는 멀티에 특화된 성능을 보인다. 첫 출시 당시에는 저평가를 심하게 받았으나,[* 오죽했으면 V1 들어서 사라진 버레기의 포지션을 얘가 받았다고 했을 정도.] 슬슬 풀리고 난 이후 엄청 큰 차체와 낮은 감속치곤 의외로 괜찮은 기록대가 나와주고[* 순정기준 레어 V1의 평균이라 할 수 있는 [[파이어 마라톤 V1]] 정도의 기록대.] 스틸 솔리드 V1에 필적하는 강한 몸싸움 능력이 주목받으면서 괜찮은 스위퍼 및 미들 키트바디로 평가가 바뀌고 있다. ---- {{{+1 '''강점'''}}} * '''높은 순정 스텟''' 순정 스텟이 상당히 고스펙이다. 드리프트 탈출력은 1055로 [[카본 비트 V1]]에 필적하며 가속력도 레어 엔진 5급이고 부스터 지속시간은 [[파이어 마라톤 V1]] 다음가는 970으로 레어급 V1 2위를 자랑한다. 때문에 난전 상황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뽐내는 게 가능하다. * '''좋은 안정성''' 감속이 좋지 않은 대신 무거운 무게를 위시한 높은 안정성을 보여준다. 포레스트 아찔한 다운힐 기준으로 바닥에 딱 붙어갈 정도. 차가 들리는 일이 없다는 말은 몸싸움에도 순기능을 제공해주므로 유의미한 장점이다. 다만 [[그믐 산군 V1]], [[플라즈마 V1]]과 비슷하게 무게중심이 약간 앞으로 쏠려있어 좋은 안정성과는 별개로 접지력은 조금 불안불안할 수 있다. * '''최상급 몸싸움 능력''' 박스터 V1의 알파이자 오메가. 솔리드류 카트바디와 동일한 장점이다. 높은 충돌 방어력을 기반으로 순위권에서 확실하게 버티는 게 가능하며 자신의 주행 실력까지 뒷받쳐 준다면 드래프트와 익시드를 이용해 한 명 한 명 치고 올라오면서 1등을 노릴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두각을 드러내는 부분은 상대에게 몸싸움을 거는 스위핑 분야. S타입 익시드와 박스터의 몸싸움은 너무나도 궁합이 좋기 때문에 이에 능한 유저들 사이에서는 시간이 지나도 꾸준히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높은 익시드 효율''' 스페셜 등급인 [[슈퍼 소닉 V1]]을 제외하면 S타입 최초의 부스터 사용 중 익시드 충전 속도 10% 증가 옵션이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으로, 이 덕분에 S타입들 중에서도 익시드 효율이 좋으며 익시드를 자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대방에게 싸움을 자주 걸수록 스위퍼들의 위상이 올라가는데 고효율의 익시드가 이를 잘 도와준다. ---- {{{+1 '''약점'''}}} * '''나쁜 코너 감속''' 박스터 V1의 가장 뼈아픈 단점이자 출시 초기에 박한 평가를 받았던 이유. 헤어핀 감속이 평균 123km/h로 [[드리프트 V1]]과 비슷하며 평균 이하인 편이다. 그 [[파이어 마라톤 V1]], [[이온 V1]]보다도 나쁜 수치이기 때문에 게충과 드립감에도 영향이 가게 된다. 종합적으로 러너형과는 거리가 먼 관계로 타임어택에서 좋은 기록을 뽑아내긴 어렵다. ---- {{{+1 '''호불호 요소'''}}} * '''매우 무거운 드립감''' 드립감은 V1엔진 카트바디들 가장 무겁다. 이 차를 타다 솔리드류를 타면 솔리드가 이렇게 빠릿빠릿한 차였나 싶다고 느껴질 정도다. 때문에 원체 무거운 드립감을 선호하던 유저들도 이 차만큼은 겪어보지 못한 역대급 무거움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 '''큰 차체 크기''' 차체 크기는 상당히 큰 편으로, 뒤는 생각보다 길지 않으나 앞이 길고 특히 폭이 매우 넓다. 마라톤류보다 근소하게 더 큰 크기를 가진 편. 최근 출시되는 카트바디들에 비하면 아쉬운 점으로 인코스를 무리하게 파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반대급부로 상대를 디펜스하기에는 유용하니 박스터 V1의 역할을 고려해보면 단점이라기 보다는 장단의 영역이라고 보는 편이 맞다. == 탑승 선수 ==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기준 || *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광동 프릭스/카트라이더|KwangDong FREECS]]: * [[Lunatic(게임단)|Lunatic]]: * [[On-Off]]: * [[FINALE e-sports/카트라이더|FINALE e-sports]]: * [[Glorious H]]: * BLANC: 대회에는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부터 사용 가능한 카트바디로 추가되었다. S타입 최초로 충전속도 증가 옵션이 붙은 익시드와 강력한 몸싸움, 몸싸움 특화 차량 치고는 그럭저럭 괜찮은 주행 성능이 결부되어 스위퍼용 카트바디로 각광받을 것으로 보였으나 역시 과하게 큰 차체와 미묘한 접지력이 문제였는지, 정작 개막 이후에는 [[빅토리아 중형택시 V1]][* 박스터와 비교할 시 감속은 박스터보다 조금 나은 수준에 그쳐 비등비등하고 익시드는 충전속도 증가 옵션이 없는 평범한 S타입 익시드를 갖고 있으며 몸싸움이 다소 약하나, 대신 접지력과 주행감이 박스터보다 월등히 좋고, 4륜 중 손꼽히게 작은 차체를 갖고 있어 인코스 주파에 용이하며, 결정적으로 감속 말고는 이렇다할 단점이 없어 범용성 또한 매우 뛰어나다.]이 재평가되며 렉키-플라즈마-그믐산군-중형택시 의 조합에 밀리면서 등장하지 못하는 중.[* 심지어 박스터 보다 일찍 출시된 스틸 솔리드, 폭스, 크롬 버스트, 파이어 마라톤, 로디 크로스는 선수들이 조커픽으로 활용하며 1번 쯤 등장하고 있는데 박스터는 한번도 등장하지 못했다.] == 여담 == * 한국 서버 기준으로 X엔진 시대에 나온 [[박스터 9]], X엔진 끝자락에 등장했던 [[박스터 X]]와는 달리 본격적으로 레전드 카트가 풀리기 전에 일찍 출시되었다. * [[켈베로스 V1]] 때와 마찬가지로 매주 열리는 NPC와의 1:1 대결 퀘스트에서 NPC는 박스터 V1을 타지만, 플레이어는 [[박스터 X|이전 엔진 버전]]이 아닌 [[버스트 V1]]을 몰게 되어 있다. == 관련 문서 == * [[박스터 X]] * [[박스터 9]] * [[뉴 박스터]] == 둘러보기 == [include(틀:카트패스 역대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