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퍼펙트 게임 박만수.jpg|width=100%]] || || {{{#ffffff '''[[박만수|{{{#ffffff 박만수}}}]]''' ([[마동석|{{{#ffffff 마동석}}}]] 扮)}}} || [목차] == 개요 == [[영화]] [[퍼펙트 게임(2011)|퍼펙트 게임]]의 등장인물. 극중 묘사된 [[해태 타이거즈]] 선수 중 유일한 가공의 인물이다. 포지션이 [[포수]]인데다 이름을 보면, 의외로 모티브는 당시 홈런왕으로 명성을 날렸던 [[삼성 라이온즈|삼성]]의 [[이만수]]일지도 모른다. 물론 [[이만수]]는 선수 시절 내내 연고팀 삼성에서만 뛴 대구의 [[프랜차이즈 선수|프랜차이즈 스타]]로 [[해태 타이거즈]]에서 관계 없는 선수다. 또한 극중에서 완전 무명선수로 묘사된 박만수와 달리, 이만수는 당대에는 물론 프로야구 역사 전체를 통틀어서도 길이 남을 대선수라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1982년]] 원년에 프로에 입단한 선수이다. 그렇지만, 연봉 300만원이라는 저임금을 받고 있으며,[* 연봉 300만원(월 25만원)은 당시 KBO가 규정한 최저 연봉이었다.] 그라운드에는 오르지 못하고 다른 선수들의 준비나 연습을 도와주는게 일의 전부이다. 이때문에 집안은 항상 생활고에 시달리고 아내[* 극중 대사로는 농구 선수 출신으로 현역시절 전국체전, 농구대잔치 등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음을 알수있다.]가 운영하는 치킨집에서 손을 거들고 있다. 아들은 야구 선수가 되고 싶어 하지만 아내는 그걸 말리고, 거기다 대고 아들이 하는 말이 '''"난 아빠처럼은 안 될거란 말이야!"''' 해태와 [[롯데 자이언츠|롯데]]의 경기 최후반부 에서 각 상대팀 투수의 힘을 빼고자 타자를 계속 교체하던 중, 감독의 지시를 받고 실전경기에 처음으로 등판하게 된다. 최동원에게 두연속 스트라이크를 당하고, 두번째 스트라이크를 헛 스윙으로 답하면서 헬멧을 떨군다. 마운드에 떨어진 야구 헬멧 속에는 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이 붙어 있었고, 사진을 보며 마음을 가다듬고 다시 헬멧을 쓴다. 그리고 끝내 제 삼구를 '''솔로 홈런'''으로 치면서 2:1로 지고 있던 해태를 2:2 동점 상황으로 만들어 경기를 지속시킨다.[* 실제 [[선동열]]과 [[최동원]]이 대결한 [[1987년]] [[5월 16일]]의 경기에서도 해태가 9회초에 2:2 동점을 만들어 연장전으로 돌입할 수 있었다. 다만 실제 경기에서는 [[김일환(1954)|김일환]]이라는 좌타자가 해태의 대타로 투입되어 동점 안타를 날렸다.] 어떻게 보면 [[페이크 주인공&진 주인공|진 주인공]]이라고 할 수도 있는 활약을 보였다. == 기타 == * 실제 경기에선 해태의 좌타 대타 [[김일환(1954)|김일환]]이 9회 1사 후 동점 2루타를 쳐서 승부를 연장 15회까지 끌고 갔다. 이 김일환이 부산고 출신의 롯데 자이언츠 원년 멤버 출신이고, 화려한 아마추어 시절과 달리 프로에서는 주전에서 밀려나 대타 전문요원으로 활동했던 선수인지라 실존인물 김일환의 서사를 살려 각본을 구성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시청자 평도 있다. [각주] [[분류:영화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