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주 러시아연방 특명전권대사)] ---- ||<-2>
[[파일:박노벽.jpg|width=100%]] || || '''이름''' ||박노벽(朴魯璧, Park Robyug) || || '''출생일''' ||[[1956년]] [[7월 9일]] || || '''학력''' ||[[경기고등학교]][br][[서울대학교]] 외교학 학사[br][[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정치학 석사[br]러시아 외교아카데미 역사학 박사 || || '''현직''' ||[[국립외교원]] 겸임교수 || || '''약력''' ||'''[[주러대사|주러시아 대사]]'''[br]아시아정당국제회의 사무총장[br]한미원자력협정 개정협상 전담대사[br]에너지자원대사[br]주우크라이나 대사[br]외교통상부 구주국 국장[br]외교통상부 부대변인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직 외교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주러대사]]를 지냈다. == 생애 ==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 재학 중이던 1979년 5월 제13회 외무고시를 합격하고 1980년 [[대한민국 외교부|외무부]]에 입부했다. 1983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이듬해 주스위스 대사관 2등 서기관으로 본격적인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주러시아 대사관 1등 서기관, 주우즈베키스탄 대사관 참사관을 거쳐 외무부 북미 2·3과장, 주미국 대사관 1등 서기관, 주미얀마 대사관 참사관을 지냈으며, 2000년에는 외교통상부 부대변인을 역임했다.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조정실 국장,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을 거쳐 구주국 국장에 올랐으며, 2008년에는 대사급 인사로 승진하여 주우크라이나 대사를 역임하였다. 2011년부터는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협상 전담대사가 되었으며, 2015년에는 장관급인 [[주러대사|주러시아 대사]]가 되었다. 정년퇴임 이후로는 아시아정당국제회의 사무총장을 역임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 초빙교수로 재직하였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세종연구소]] 이사로도 활동하였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를 지지하는 [[열린캠프]] 산하 정책포럼 '세상을 바꾸는 정치 2022년(세바정)'에 참여하였다. 이재명이 당내 경선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된 이후 [[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의 외교특보단장을 맡았다. 주우크라이나 대사와 주러시아 대사를 모두 지낸 경력이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보니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방송 출연이 많아졌다. [[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박근혜 정부/인사]][[분류:1956년 출생]][[분류:주러대사]][[분류: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