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가수 박광현.jpg]] || || '''이름''' ||박광현 || || '''출생''' ||[[1965년]] [[6월 8일]] ([age(1965-06-08)]세)[br]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데뷔''' ||[[1988년]] <추억을 잊으면>[* [[MBC 강변가요제]]에서 입상했다.] || || '''가족''' ||아들 [[레드티(밴드)#s-3.2.7|건우]] || || '''학력''' ||[[서울대학교]] [[국악과]] 학사[* [[작곡과]] 복수전공.]||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작곡가]] 겸 [[가수]]. == 활동 == [[서울대학교]] 국악과 출신으로 [[응답하라 1988]]에서 [[노을(보컬그룹)|노을]]이 리메이크한 김건모와의 듀엣곡 "함께"와 [[이승철]]의 대표 히트곡 "안녕이라고 말하지마","그대가 나에게", "잠도 오지 않는 밤에", "풍경화 속의 거리", [[김건모]]의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 [[신승훈]]의 "우연히" 정인호의 '해요'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민가수들의 대표 히트곡을 작곡하고 [[이혜영(1971)|이혜영]]이 데뷔한 혼성 트리오 그룹 1730등 유명 아티스트들을 제작한 싱어송라이터. 초등학교 때 누나의 기타로 음악을 접하게 됐고, 중고등학교 시절 동네 친구들과 밴드 활동을 하였는데 이때 부터 끼가 보였는지 '''[[신대철]]'''과 함께 "블랙 다이아몬드" 라는 '''시나위의 전신이 된 밴드의 보컬로 활동하였다.''' 대학 입학 직후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집안이 기울자 아르바이트로 카페에서 노래를 부르며 계속 뮤지션의 꿈을 키우다가 강변가요제에 입상한다. 그 이후 데모 테이프를 여러 기획사에 보내던 게 당시 이승철이 소속되었던 회사 신촌뮤직의 눈에 띄어 계약을 맺고 가수로 데뷔하게 된다. 데뷔하자마자 발표한 곡마다 메가히트를 치고 그 후로도 이승철, 신승훈, 김건모 등의 곡을 써주고 피아니스트 이영경 등과 퓨전 재즈 밴드 Daisy를 결성하는 등 승승장구하며 다녔으나 하필이면 그렇게 젊은 나이에 큰 성공을 맛본 것이 화근이 되어 삐뚤어졌다. 몇번의 [[대마초]] 사건을 벌이며 데이지를 결성하자마자 터트리는 등 가수 생활 내내 방탕한 삶을 살다 결국 가정이 파탄 직전이 된 걸 보고 나서야 후회하고 잠적한 뒤 기독교에 귀의해 교회 찬양팀에서 사역활동에 집중하며 대중들에게 점점 멀어져 갔다. 이후 잠잠해진 2000년대에도 [[간경화]]로 인한 건강악화로 활동을 하지 못하다가 2010년도에 아들 [[레드티(밴드)#s-3.2.7|건우]]와 함께 [[악마를 보았다]]의 OST에 참여한 걸 시작으로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현재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살아가고 있다. 가끔씩 자신의 가게인 "봉주르"에서 모습을 드러내거나 피아니스트 민경인과 함께 소규모 클럽에서 공연을 하기도 한다. 2021년 들어서 1집의 리마스터 앨범을 내기도 했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2건의 [[대마초]] 혐의 === 1990년 [[대마초]] 흡연 혐의로 구속된 후, 1995년에도 같은 혐의로 한차례 더 구속되었었다. [[https://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531|기사]] == 디스코그라피 == * 한송이 저 들국화처럼 (1989)[* 2021년 리마스터링 발매] * Park Kwang Hyun Vol 2 (1990) * 재회 / 슬픔을 위한 준비 (Vol.3) (1992) * 3rd Part II (1993)[* 1994년 CD판 발매] * Park Kwang Hyun Four (1995) * 再會 II (1998) [[분류:한국 남가수]][[분류:1965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