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박건우/선수 경력)] || '''{{{#ffffff 박건우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파일:external/s20.postimg.org/doosan2015.png|width=auto&height=50]][[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5_r1_540.png|width=auto&height=50]][[파일:두산 2019V6.png|width=auto&height=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2015 한국시리즈|{{{#FFFFFF 2015}}}]]''' || '''[[2016 한국시리즈|{{{#FFFFFF 2016}}}]]''' || '''[[2019 한국시리즈|{{{#FFFFFF 2019}}}]]''' ||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2016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4]] 기량발전상''' || }}} || ---- || '''{{{#ffffff 박건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15번}}}''' || || [[윤석민(타자)|윤석민]][br](2004~2008) || {{{+1 →}}} || '''{{{#fff 박건우[br](2009~2010)}}}''' || {{{+1 →}}} || [[안규영]][br](2011)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6번}}}''' || || [[이현호(야구선수)|이현호]][br](2012) || {{{+1 →}}} || '''{{{#fff 박건우[br](2013~2014)}}}''' || {{{+1 →}}} || [[허준혁(1990)|허준혁]][br](2015~201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7번}}}''' || || [[허준혁(1990)|허준혁]][br](2014) || {{{+1 →}}} || '''{{{#fff 박건우[br](2015~2021)}}}''' || {{{+1 →}}} || 결번 || }}} || [목차] == 개요 == [[NC 다이노스]] 소속 외야수 [[박건우]]의 [[두산 베어스]] 시절 경력을 서술한 문서. 2009년 신인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에 2차 2라운드 전체 10순위로 입단해, [[경찰 야구단]] 복무 기간을 포함한 2021년 NC로 이적하기 전까지 13여년간 두산에서 뛰었다. == [[두산 베어스]] == === 2009~201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30430PKW.jpg|width=100%]]}}}|| 야수로서의 재능을 높이 평가한 [[두산 베어스]]가 2009년 2차 지명 2라운드에서 지명하였다. 입단 이후 [[KBO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에서 상당한 활약을 보이면서 자주 올스타에도 뽑혔지만, 워낙 [[두산 베어스|두산]]의 [[김현수(1988)|외]][[이종욱|야]][[민병헌|진]]이 탄탄한 탓에 자주 기회를 잡지는 못했다. 동기인 [[정수빈]]이 주루와 수비라는 특화된 툴을 바탕으로 먼저 기회를 얻는 데 성공했다면, 박건우는 특화된 툴은 없고 골고루 잘하는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2군에서 미래를 생각하여 전략적으로 키우던 선수 중 하나였다. 2010 시즌 후 [[경찰 야구단]]에 입대하여 2012년에 제대하였다. [[두산 베어스]]에 복귀한 후 2013 시즌 시범경기에서 두각을 나타내었으나, [[두산 베어스]]의 두터운 야수진에 밀려서 1군에 자리를 잡는데는 실패했다. 그래도 데뷔 첫 홈런을 쏘아올리는 등[* 4월 27일 경기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46787&redirect=true|#]] ] 나름의 가능성은 보여주었다. [[KBO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 최고의 [[외야수]]라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이종욱]]이 [[NC 다이노스]]로 이적한 이상 2014 시즌에 주전급 선수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2014 시즌 === 2014년 4월 2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부상을 입어서 5월 7일 [[KBO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 경기에 출장했다. [[장민석]]을 올려야 될만큼 1군에 외야진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라 팬들은 [[박건우(1990)|박건우]]의 빠른 귀환을 바라고 있다. 그렇게 회복 후 [[KBO 퓨처스리그|퓨처스]]서 조율을 하다 5월 24일 1군에 등록되었다. 내려간 선수는 [[김진형(야구선수)|김진형]]. 이후 한번 더 내려갔고 6월 27일에 [[외야수]] 보강을 위해 [[고영민]]을 대신해 다시 등록되었다.[* 그리고 그날 열린 [[키움 히어로즈|넥센]]과의 홈경기에서 [[인사이드 파크 모텔]]을 세웠다.][* 기록상 2루타+실책이다.] [[파일:external/lh6.googleusercontent.com/20140812.gif]] [[두산 베어스/2014년/8월#s-5.1|2014년 8월 12일 한화전]]에서 공을 잡고 더듬다가 공이 익사이팅존 안으로 들어가고 말았다. 심판진은 3루타로 인정. 베어스포티비에서 밝히기로는 글러브에 들어간 공을 빼고 공을 던지려는데 공이 관중석에서 떨어져서 팬분이 공을 다시 주워주셨다고 밝혔다. 저날 쓴 글러브가 딱딱했다고 한다. === [[박건우/선수 경력/2015년|2015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우15코시1.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15년)]''' || 전반기 2군을 폭격하며 1군으로 콜업되었고 이후 슈퍼백업으로 활약하며 [[두산 베어스|두산]]의 V4 달성에 숨은 공헌을 했다. === [[박건우/선수 경력/2016년|2016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6060501098_0.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16년)]''' || 이제는 확실한 [[두산 베어스|두산]]의 리드오프로 각성했고 [[민병헌|팀 선배]]를 잇는 [[비 더 레전드|건더레]]의 탄생을 알렸다. 다만 아쉽게 [[20-20 클럽]]을 놓쳤다. === [[박건우/선수 경력/2017년|2017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LB0fDVVwAIy6Yc.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17년)]''' || 시즌 초 역대급 부진을 털어내고 '''리그 최고의 [[외야수]]'''로 발돋움하며 '''[[두산 베어스|베어스]] 최초 [[20-20 클럽]]''', '''21세기 [[KBO 리그]] 중견수 OPS 1위''', '''2010년대 우타 [[외야수]] WAR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기자들의 석연치 않은 투표로 [[KBO 골든글러브|골든글러브]]는 수상하지 못했다. === [[박건우/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건우18코시1.jpg|width=100%]]}}} || || {{{#ffffff '''[[2018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또 한 번 범타로 물러나고 괴로워하는 박건우를 위로해주는 동료들'''}}}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18년)]''' || 작년에 비하면 많이 아쉽지만 정규시즌 내내 클러치능력이 필요할 때마다 빛을 발했다. 그러나 [[2018년 한국시리즈]]를 완전히 말아먹어버리며[* 6경기에서 26아웃 0타점을 만들었는데, [[SK 와이번스]]의 6경기 8.2이닝 무실점을 기록한 한국시리즈 최고의 불펜투수라는 비아냥을 받았다.], 자신에게는 최악의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 [[박건우/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박건우.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19년)]''' || 시즌 초엔 3번타자로 시작했지만 후반부터 새로운 [[두산 베어스|베어스]]의 1번타자로 나섰다. 한국시리즈에서 걱정했던 팬들이 많았으나 2차전의 끝내기 안타, 3차전의 쐐기포 등 나름대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박건우(1990)/선수 경력/2018년|작년]]의 악몽을 어느 정도 지웠다. === [[박건우/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0박건우.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20년)]''' || 주로 리드오프로 출장했다. 시즌 내내 무릎 부상으로 고생하며 타율이 한때 2할 후반대로 내려갔으나, 특유의 몰아치기로 3할 고지에 다시 올라섰다. 5년 연속 3할 타율을 달성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는 부진하면서 2년 전의 아픔을 되풀이할 수 밖에 없었다. === [[박건우/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1102박건우.jpg|width=100%]]}}} || ||<#fff>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2021년)]''' || 홈런 수가 급감하며 3번 타자로서의 펀치력은 부족했지만, 리그 5위의 타율(0.325)을 기록하며 3번 타자에게 어울리는 컨택 능력을 선보였다.[* 원래 3번이었던 오재일과 최주환이 타팀으로 이적하면서, 1번이었던 박건우가 3번으로 이동하고 허경민과 정수빈이 주로 리드오프를 맡았다.] 하지만, 포스트시즌에서의 부진은 여전히 완벽하게 떨쳐내지 못한 채 준우승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한국시리즈 4차전이 되어서야 3안타로 맹활약했으나, 이미 늦은 활약이었고 팀은 결국 스윕당하며 또다시 준우승에 그쳤다.] '''또 이 시즌이 두산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 [[박건우/선수 경력/FA|FA]]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박건우/선수 경력/FA)] == 두산에서의 기록 == * '''{{{#blue,#0000ff 푸른 글씨}}}'''는 KBO 최다, '''{{{#red,#ff0000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15> {{{#ffffff 두산에서의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팀}}} || {{{#ffffff 출장}}}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09 ||<|13> [[두산 베어스|두산]] || 5 || 5 || .200 || 1 || 0 || 0 || 0 || 0 || 1 || 0 || 0 || .200 || .200 || || 2010 ||<-13> 1군 기록 없음 || || 2011 ||<-13><|2> 군복무 ([[경찰 야구단]]) || || 2012 || || 2013 || 34 || 48 || .271 || 13 || 1 || 0 || 1 || 7 || 12 || 2 || 2 || .300 || .354 || || 2014 || 47 || 61 || .180 || 11 || 4 || 1 || 0 || 3 || 7 || 1 || 4 || .231 || .279 || || 2015 || 70 || 158 || .342 || 54 || 12 || 0 || 5 || 26 || 31 || 2 || 15 || .399 || .513 || || 2016 || 132 || 484 || .335 || 162 || 36 || 4 || 20 || 83 || 95 || 17 || 47 || .390 || .550 || || 2017 || 131 || 483 || '''.366'''[br](2위) || 177 || '''40'''[br](2위) || 2 || [[20-20|20]] || 78 || 91 || '''[[20-20|20]]'''[br](5위) || 51 || .424 || .582 || || 2018 || 125 || 488 || .326 || 159 || 24 || 6 || 12 || 84 || 79 || 7 || 38 || .373 || .473 || || 2019 || 127 || 458 || .319 || 146 || 27 || 5 || 10 || 64 || 83 || 12 || 67 || .397 || .465 || || 2020 || 129 || 487 || .304 || 148 || '''40'''[br](4위) || 0 || 14 || 70 || 103 || 8 || 54 || .369 || .472 || || 2021 || 126 || 458 || '''.325'''[br](5위) || 149 || '''31'''[br](5위) || 2 || 6 || 63 || 82 || 13 || 61 || .400 || .441 || ||<-2> '''[[KBO 리그|KBO]] 통산'''[br](10시즌) || 926 || 3130 || '''.326'''[br](3위) || 1020 || 215 || 20 || 88 || 478 || 584 || 82 || 339 || .388 || .492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건우/선수 경력, version=181, paragraph=2.1, title2=박건우/선수 경력, version2=181, paragraph2=4)] [[분류:박건우/선수 경력]][[분류:두산 베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