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매스스타트 우승자'''}}} || ||<-5>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20]] || ||<-5>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br]([[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 || {{{+1 → }}}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5]] '''바트 스윙스[br]([[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 {{{+1 → }}} || || ||<-5> || ---- ||<-2>
'''{{{+1 바트 스윙스}}}[br]Bart Swing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트스윙스.jpg|width=100%]]}}} || || '''본명''' ||바트 르네 M. 스윙스[* 네덜란드어권인 헤런트 출신이므로 본래 네덜란드어 발음대로라면 '바르트 스빙스'가 되며, 국내 중계에서도 이를 반영해 '바르트 스빙스'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다만 이름과 성 모두 영미권 명칭에서 따와서 그런지 본인이 [[https://youtu.be/79XbWQLIAhw?t=25|바트 스윙스]]라고 발음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원어 발음보다 선수 본인의 의사를 존중하므로 본 항목도 이를 반영한다.][* Flanders 국영 방송 뉴스 VRT journaal에서는 앵커가 '바르트 스윙스'라고 발음한다. 네덜란드어에서 알파벳 w는 대체로 영어 알파벳 w발음에 가까운 편이다. 물론 간혹 독일어 알파벳 w와 유사하게 발음할 때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영어처럼 발음해서 '스윙스'로 읽는 게 올바른 발음법이라고 할 수 있다. 예시로 Antwerpen도 '안트웨르펀'이 올바른 발음법이다.][br][[https://nl.wikipedia.org/wiki/Bart_Swings|Bart René M. Swings]] || ||<|2> '''출생''' ||[[1991년]] [[2월 12일]] ([age(1991-02-12)]세) || ||[[플람스브라반트|플람스브라반트 주]] [[뢰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신체''' ||178cm, 67kg|| ||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 '''주종목''' ||매스스타트|| || '''SNS''' ||[[https://www.instagram.com/bart_swing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의 [[스피드 스케이팅]]과 [[인라인 스케이트|인라인 스케이팅]] 선수다. == 선수 경력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인라인 스케이터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올림픽 출전을 위해 스피드 스케이팅을 병행했다. 2010-11 시즌부터 롱트랙에 진입했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1000m 23위, 1500m 10위, 5000m와 4위, 10000m 5위를 차지했다.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매스스타트 부문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 네덜란드에서 귀화한 바르트 펠드캄프(Bart Veldkamp)가 [[스피드 스케이팅]] 5000m에서 동메달을 딴 이래 '''20년만의 벨기에 선수의 동계올림픽 메달'''이자, 벨기에 역사상 두 번째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메달이다.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매스스타트 결승에서 막판에 극적으로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과 [[정재원(스피드 스케이팅)|정재원]]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에서 [[피겨 스케이팅]] [[페어 스케이팅|페어]] 부문 미셸린 라누아 / 피에르 보그니 페어 이후 무려 '''74년 만에 나온 벨기에 선수의 동계올림픽 금메달'''이다. 또한 스윙스의 금메달로 벨기에는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 이후 74년 만에 단일 대회에서 두 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하는데도 성공했다.[* 1948년에는 선술한 라누아-보그니 페어에 더해 막스 하우번이 이끈 봅슬레이 4인승 팀이 은메달을 얻어 두 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그리고 74년이 지나 베이징에서는 쇼트트랙 여자 1000m의 [[하너 데스멋]]이 동메달을 딴 데 이어 스윙스가 금메달을 목에 걸면서 벨기에가 오랜만에 두 개 이상의 메달을 단일 대회에서 획득한 것이다.] == 수상 기록 == ||<-3>
{{{#white '''스피드 스케이팅'''}}}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 베이징]] || 매스스타트 || || 은메달 || [[2018 평창 동계올림픽|2018 평창]] || 매스스타트 || ||<-3> {{{#white 세계선수권(종합)}}} || || 동메달 || 2013 하마르 || 종합 || || 동메달 || 2022 하마르 || 종합 || ||<-3> {{{#white 세계선수권(종목별)}}} || || 동메달 || 2021 헤이렌베인 || 매스스타트 || ||<-3> {{{#white 유럽선수권}}} || || 금메달 || 2020 헤이렌베인 || 매스스타트 || || 금메달 || 2022 헤이렌베인 || 매스스타트 || || 은메달 || 2016 민스크 || 종합 || || 동메달 || 2017 헤이렌베인 || 종합 || ||<-3> {{{#white '''인라인 스케이트'''}}} || ||<-3> {{{#white 월드 게임}}} || == 기타 == * 래퍼 [[스윙스]]가 [[https://www.insight.co.kr/news/381411|4년마다 보는 내 친구 나왔다]]라면서 자신과 이름이 같은 해당 선수에 대한 친근감을 표현했다. 2022년에 금메달을 따자 스토리로 축하한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 여름 시즌에는 인라인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10000, 20000m 포인트, 엘리미네이션 최강자이고, 월드 게임에서는 금메달 4개를, 세계선수권에선 11개의 금메달을 기록했다. * 한국과의 인연은 인라인 스케이팅 선수로 2011 여수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트랙 10000m 금메달을 차지했다.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로 2017 종목별 세계선수권과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했다. [각주] [[분류:벨기에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분류:벨기에의 인라인 스케이트 선수]][[분류:1991년 출생]][[분류:뢰번 출신 인물]][[분류:벨기에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벨기에의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3 칼리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 브로츠와프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22 버밍햄 월드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