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섬들)] ||<-3> [[파일:인도네시아 국장.svg|height=20]] {{{#white '''[[인도네시아|{{{#white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도시'''}}} || ||<-4> '''{{{+1 바탐}}}[br]Kota Batam''' || ||<-4> [[파일:바탐시내.jpg|width=100%]] || ||<-2> '''{{{#ffffff 국가}}}''' ||<-2>[[인도네시아]] || ||<-2> '''{{{#ffffff 지역}}}''' ||<-2>[[리아우 제도]]|| ||<-2> '''{{{#ffffff 면적}}}''' ||<-2>1,595 km2 || ||<-2> '''{{{#ffffff 인구}}}''' ||<-2>1,546,064(2020년 기준) || ||<-2> '''{{{#ffffff 시장}}}''' ||<-2>모하멧 루디 || ||<-2> '''{{{#ffffff 시간대}}}''' ||<-2>UTC+7 || ||<-4> || [clearfix] [목차] == 개요 == 바탐은 [[인도네시아]] [[리아우]] 주 바탐 섬에 있는 도시로 [[싱가포르]]의 남쪽에 있는 섬이며 여기에 바탐시가 있다. 바탐 섬 자체는 전체가 리아우 주에 속한 곳이다. 원래 이 곳은 오랑 라우트족의 거주지였다. [[1960년대]] 이전엔 이들이 실질적 주인이였고 이땐 그냥 어업으로 먹고 사는 섬 동네에 불과했다. 그리고 그 당시만해도 주민들은 원주민 오랑 라우트족 아니면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곳 화교들은 [[네덜란드]]에 동화되어 거의 [[루터교]] 신자이고 [[마인어]]를 쓰는 [[자바 섬]]의 화교들과 달리 그대로 [[민남어]]를 쓰고 불교를 믿어 왔는데 리아우 주의 본토인 [[수마트라]]의 위치가 비교적 북쪽이라서 가능했던 것이었다. [[1960년대]] 중반 바탐은 당시 신생국으로 눈부시게 발전 중이던 [[싱가포르]]의 바로 옆마당이라는 점을 이용해 발전하기 시작했다. 너무나 좁은 국토를 지닌 도시국가 [[싱가포르]]에는 배후지가 필요했는데 그 배후지를 자처한 곳이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바루]]와 이 섬이었다. 조호르바루가 있는 조호르 주가 전기/수도/가스/식수 등을 공급해 준다면 이 섬에서는 인도네시아 본토와 싱가포르 간 무역을 중계해주는 식이었다. 더구나 바탐 섬 앞바다에는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데 그걸 싱가포르에 팔면 돈이 되었다. 즉 송유관을 통해 싱가포르 전역에 [[석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발을 위해 [[1960년대]] 말에 인도네시아 전국에서 지원자들을 뽑아서 바탐 섬으로 보냈다. 현재도 창이공항에 착륙할 때 바탐의 석유 시추 [[유전]]들이 그대로 보인다. 그리고 [[1970년대]]에는 공업화 구역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지정과 달리 실제로 공업은 그리 발달하지 않았고 대신에 앞바다인 [[남중국해]]에서 채굴되는 [[석유]] 시추와 관광업, 그리고 [[싱가포르]]의 배후지 역할로 그럭저럭 먹고 살고 있다. 그러한 연유로 '''[[인도네시아]]에서 경제력이 되는 동네''' 중 하나다. 리아우 주 자체가 그렇다. 처음 입도한 외국인들은 우중충해 보이는 풍경에 충격을 받을 수 있겠지만 수도 [[자카르타]]나 [[발리]]를 제외한 타지 사람들에겐 시골 어촌치고는 이 정도면 되게 좋은 동네이다.[* [[1970년대]]~[[1980년대]] 개발도상국 처지였던 [[대한민국]]의 50만 ~100만 사이에 지방도시들과 같다고 볼수 있다. 그때 현재는 광역시로 승격된 대전, 대구, 광주 등 지방 거점도시들도 현재와 비교하면 낙후했지만 주변 농촌들에 비하면 별천지였다. 대전만 해도 충청도의 종주도시로 깡촌 오브 깡촌이던 주변의 논산, 공주, 청원, 옥천 등과 비교하면 완전 별천지였으며 호남의 종주도시 광주도 낙후한 호남이라지만 꽤 발달한 곳이어서 전라남도 각지 농어촌에서 이주하는 인구가 많이 몰렸다. 수도권 다음으로 발달한 영남의 북부 중심지 대구는 말이 필요없어서 지하철 계획도 일찍부터 나왔다.] 인구는 이미 150만 명을 넘겼지만 50년 전인 [[1960년대]]에는 1만 명도 안 되는 시골이었다. 그러다가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경제개발 정책을 펼쳐서 인구가 늘어났다. [[1980년대]] 말에는 10만 명을 돌파했고 [[2003년]]에는 50만 명을 달성했으며 [[2011년]] 100만 명 인구를 달성했다. 이렇게 써놓으면 무슨 대단히 개발된 곳으로 보이지만 싱가포르 본토나 조호르바루에 비하면 상당히 낙후되었다.[* 싱가포르는 2020년대 서울,부산에도 안 끌리고 조호르바루는 1990년대 ~ 2000년대 초 대구,대전,광주와 유사하다. 바탐은 1970년대 한국 중 ~ 대도시 수준 ] 위에 언급한 석유 붐이나 관광업, 싱가포르의 배후지 역할 등으로 대도시가 되었어도 개도국의 대도시인 수준이다. [[발리]]같은 고도로 개발된 쾌적한 휴양지를 생각하면 안된다. 당장 길거리 음식을 사 먹어도 전혀 문제없는 싱가포르와 달리 이 곳에선 동네에 따라 길거리 음식 잘못 먹으면 고생하며 물도 [[생수]]를 사서 마셔야 한다. 수돗물을 그냥 마실 수 있는 싱가포르와 달리 인도네시아는 수질이 불량한데다 정수시설도 낙후한 편이다. 인구 대부분은 [[자바 섬]], [[수마트라]] 본토 등 타지에서 이주한 사람들이며 현재 원주민은 극소수다. 그리고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도 상당수다. 종교는 [[수니파]] [[이슬람교]]가 90% 이상이며 그 다음으론 불교와 도교, 기독교 등 중국계가 믿는 종교들이다. 리아우 제도의 종주지인 수마트라의 [[중국계 인도네시아인]]들은 불교, 도교를 그대로 믿어오고 중국어를 할 줄 아는 등 자바의 중국인들과 다른 모습을 보였고 [[1990년대]] 이후에는 싱가포르의 영향으로 기독교 신자들도 많이 늘고 있다. 이 섬에도 한인들이 좀 살고 있다. 주로 인도네시아 본토에서 이주해서 자영업이나 석유 관련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나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인교회]] 목회자로 사역하거나 자영업을 겸하며 거주한다. 선교사들이 세운 한인교회도 있고 한식당도 여럿 있다. == 여행 팁 == 사실 이 문서가 작성된 건 [[골프]] 때문이다. 바탐은 골프장이 많은 섬이다. 그래서 유명 골퍼들이 자주 연습하러 온다. 원래 [[동남아시아]]에서 잘 사는 주변국인 [[싱가포르]]나 [[호주]]에서 라운딩하러 오곤 했는데 입소문이 퍼져서 [[2017년]] 이후부터 [[한국]]과 [[홍콩]], [[일본]] 등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싱가포르]]를 거쳐 바탐으로 골프치러 오게 되었다. 한국에선 신혼여행으로 자주 가는 이웃 빈탄 섬에 가려져 듣보잡이던 곳이었으나 골프 하나만으로 이제는 그 빈탄의 인지도를 뛰어넘었다. 특히 신혼여행 목적지가 더 먼곳인 [[칸쿤]]이나 한적한 [[팔라우]] 등으로 확대되고 빈탄의 수질이 좋지 않아 요즘에는 싱가포르를 가도 빈탄을 잘 안가고 말레이시아 조호르 주의 [[레고랜드]]를 가면서 어린 세대에겐 되려 빈탄보다 바탐이 더 잘 알려졌다. 유명한 골프장은 인다 푸트리 컨트리클럽과 타마린 골프클럽이다. 골프칠 목적으로 온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은 대부분 쇼핑을 즐긴다. 물가가 싱가포르의 반의반도 안되는 저렴한 가격 때문이다.[* 다만 짝퉁을 조심해야 한다.] 유명한 쇼핑몰은 메가 몰 바탐, 그랜드 바탐 몰, BCS 몰, 나고야 힐 쇼핑센터[* 예전에 [[일본군]] 주둔지였다. 이름은 일본 주부지방 [[아이치현]]의 그 [[나고야]]에서 따왔다.] 가 있다. 그러나 바탐에 있는 폴로 랄프 로렌 상점은 진품이 아니라 가품이니 조심해야 한다. 차라리 살 거면 조호르 갈 때 싸게 사는 게 낫다. 바탐은 전술했듯이 [[화교]] 비중이 높다. 중국계가 많은 수마트라 중에서도 이 섬에 그 수가 제일 많은 편이다. 자바 섬의 중국계는 이미 대부분 [[네덜란드]]화되어 [[루터교]] 신자고 언어도 [[마인어]]를 주로 쓰며 중국어를 못 한다. 그러나 이 섬을 비롯한 수마트라 쪽은 아직까지도 [[민남어]]를 쓰며 불교를 믿는 화교도 좀 있다. 물론 인도네시아 화교 사회의 주류 종교는 이미 [[루터교]] 등 [[개신교]]이지만 수마트라 화교의 경우는 불교/도교 비중도 높은 편이며 전통문화를 잘 보존 중이다.[* 자바 화교의 경우 서구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으며 싱가포르,말레이시아의 화교들과 달리 중국어도 잘 못하고 이들과 달리 기독교인 비중이 높고 중국계 자각이 약한 경우도 수두룩 하다. 수마트라,칼리만탄,술라웨시 등지의 화교들이 오하려 싱가포르,말레이시아 화교들처럼 중국어도 할 줄 아는 경우가 많고 중국계라는 자각이 강하다.] 그래서 일명 중국사원이라 부르는 도교 도관도 이 섬에 있고 볼거리이다. 섬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인 탓에 이 곳의 그랜드 [[모스크]] 역시 관광지이다. 앞의 중국사원과 비교해서 보면 전혀 달라지는 느낌에 재밌어질 것이다. 바탐 그랜드 모스크는 타 모스크와 달리 비무슬림인 외국인도 안을 들여볼 수 있다.[* 같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역인 [[메단]]의 그랜드 모스크는 비무슬림이 들어갈 수 없도록 막아 외관만 구경 가능하다. 사실 외관은 [[알라딘]] 궁전같은 화려한 외양인데 안은 막상 볼 게 없이 횅하기로 소문나 있다. 사실 이슬람교의 예배는 금방 끝나기 때문이기도 하고, 모스크란 예배를 드리기 위해 모이기 위한 공간이라 예배당 이상의 공간은 딱히 갖추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름난 모스크여도 의외로 내부 구조는 대부분 단순하다.][* [[이슬람교]]는 비종교인과 타 종교에 대해 배타적이고 민감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모스크]]들 중 개방된 곳은 세계를 뒤져봐도 그리 많지 않다.] == 가는 법 == 시골의 일개 섬이라서 당연히 한국과의 직항 따위는 없다. [[싱가포르 창이 공항]]으로 [[싱가포르]]에 입국해서 오면 된다. 싱가포르에서는 하버프론트 센터(Harbour Front Centre)[* 센토사 섬으로 가는 [[케이블카]]도 이 하버프론트 센터에서 출발한다.]에서 [[페리(선박)|페리]]를 타면 되며[* [[홍콩]]-[[마카오]] 간 제트포일과 같다.] 소요시간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인도네시아]]는 원칙적으로 무비자 입국이 안 되어 페리터미널에서 도착비자를 스티커로 붙여 주었으나 현재는 무비자 입국도 가능하다.[* 출장이나 사업차로 온거면 비자 필요] 물론 이동자유협약이 체결된 [[싱가포르 여권]] 소지자들이 아닌 한국인들은 도착비자를 요구할 수도 있어 여전히 도착비자를 사서 붙이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2018년 이후로는 한국인들도 무비자로 가도 문제 없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저가 항공사]]인 [[파이어플라이 항공]](Fire Fly Airline)을 타고 이 곳으로 올 수도 있다. 그리고 [[자카르타]]에서 국내선을 타도 된다. 그러나 둘 다 싱가포르에서 페리를 타는 것에 비해 비싼 편으로 돈이 많이 깨지고 자카르타에서 올 경우 되려 빙 돌아와야 해서 시간적으로도 손해다. 게다가 말레이시아는 생각보다 입국이 까다로운 나라에 속하기도 한다.[* 한국인들은 그나마 여행 목적으로 온 거면 잘 보내주지만 방글라데시,파키스탄,인도네시아 등 개도국 국민들한테는 무비자이더라도 강압적이게 심사를 한다. 이유는 저런 국가 출신들의 경우 말레이시아 내 불체자 비율 과반수를 차지해서 입국을 어렵게 하는 거다.] 즉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본토 등을 거칠 메리트는 굳이 없고 보편적 루트는 [[싱가포르]]로 입국해 거기서 들어오는 것이다. 즉 싱가포르에서 들어오는 게 가장 편하다. 어차피 여기나 조호르 주나 싱가포르의 곁다리라 메인은 싱가포르를 여행하는 것이다.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 교민들도 바탐에 자주 들른다. 바탐 경제구역청은 바탐 [[항 나딤 국제공항]]을 국제공항으로 확장시키려는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항 나딤 공항의 정기적인 국제선은 쿠알라룸푸르행 바틱 항공편 밖에 없다. 그나마 가끔씩 운행하는 메카행이 있지만 1년에 2~3번 밖에 없다.] 참고로 이 확장사업의 개발 및 운영사업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수주하게 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417&aid=0000766894|#]] 2023년 부터 인천 ~ 바탐 간 전세편이 생긴다고 한다. [[https://www.trave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614|#]] == 여담 == 참고로 발달된 선진국 [[싱가포르]]에 있다가 이 섬에 오면 조금 충격받을 수 있다. 이 섬의 낙후한 광경들 때문이다. 바탐은 전술했듯 개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곳이며 그나마 수도 자카르타와 너무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인 리아우 제도에 있는지라 중앙정부의 관심 밖에 있어서 경제발전이 더딜 수밖에 없었다. 물론 [[석유]] 붐이나 싱가포르의 배후지 역할, 그리고 최근의 골프 관광 등으로 어느정도 성장하긴 했지만 자세히 보면 싱가포르에 비해 몇십 년 뒤떨어져 있으며 위생이 열악하다.[* 싱가포르 현지인들에 의하면 바탐은 싱가폴이 독립한지 15년 정도 되었던 1980년대 초반 느낌 난다고 한다.] 그래서 위생에 주의해야 한다.[* 한국의 [[1970년대]] 및 [[1980년대]] 수준이고 [[1990년대]] 및 [[2000년대]] 한국에 비해서는 훨씬 열악하다.] 물은 꼭 미네랄 워터를 사 마시고, 길거리 음식은 되도록이면 먹으면 안 된다.[* 다만 이건 다른 외곽 지역의 얘기지 시내에 있는 건 가격 좀 되는 건 먹어도 된다. 그래도 조심하자.] 앞에서 말햇듯이 리아우 조호르 술탄국의 영역이면서 [[영국]]의 식민지가 되고 [[말레이시아]]령이 되었다면 돈 많은 조호르 정부가 바탐을 [[싱가포르]]의 대항마로 만들었을 수 있다. 만약 이렇게 되었다면 바탐은 [[페낭]]처럼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도시 중 하나였을 것이다. 아니면 리아우 제도가 [[싱가포르]]를 따라 인도네시아에서 독립한 후 [[싱가포르]]의 일부가 되어서 싱가포르 본토가 속한 싱가포르 주와 별개의 리아우 주의 바탐시로 발전하고 싱가포르 본섬의 인구를 바탐으로 어느정도 보내 인구밀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다만 그러면 싱가포르는 싱가포르시와 바탐시라는 두 개의 도시가 있었을 것이다. 어쨌든 도시국가 신세를 면하고 어느정도 국토를 갖추게 되어 조금 낫긴 했을 것이다. 도시국가는 독립국 구실을 하기 거의 어렵다는 걸 감안한다면 이 경우 싱가포르는 초창기 고생하지 않아도 될 뻔했다.] 물론 그랬다면 [[동티모르]] 하나에도 민감하게 굴던 인도네시아답게 무력으로 탈환을 시도해서 정세가 자칫 복잡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사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 패권국 답게 1960년대초에 사라왁,사바,브루나이를 침공해 칼리만탄을 순수 인도네시아령으로 만들려 했고 1960년대 말엔 서뉴기니에 개입해 독립 국가가 되거나 파푸아 뉴기니에 들어갈 예정이던 현재의 서파푸아를 일개 주로 편입시켰고 1970년대 중반 부터 2002년 까지 동티모를 침공한 후 친인도네시아파들을 사주해 독립 세력을 제거하려 했다.] [[분류:인도네시아의 섬]][[분류:인도네시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