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바이킹 관련 문서)] [[파일:vikingsword.jpg|width=600]] [목차] == 개요 == [[고대]] 말~[[중세]] 유럽에서 [[북유럽]]을 중심으로 [[노르드]]인, 곧 [[바이킹]]족이 널리 사용하던, 길이는 약 60-80 cm 남짓에 무게 1.2-1.5 kg 정도인 한 손용 도검이다. 찌르기보다는 베기를 주로 사용하도록 검신의 폭을 넓게 만들고, 무게를 가볍게 하고자 칼날에 풀러(혈조)를 팠다. 칼 끝 부분을 제외하면 테이퍼 경사가 거의 없어 양 날은 거의 평행에 가깝다. == 역사 == 바이킹 소드는 [[고대 로마]] 후기 민족이동시기(4-8세기) 또는 [[게르만]] 철기시대의 게르만 도검류에서 제련, 제작 기법이나 형태적으로 얼마간 영향을 받긴 했으나,[* 북유럽 [[스칸디나비아]]나 독일 북부, 네덜란드 지역에서는 철기시대를 구분할 때 로마 이전 철기시대와 로마의 영향을 받은 이후의 철기시대로 구분하는데, 로마 이후의 철기시대 도검부터 로마의 [[스파타]]와 형태가 비슷해지기 시작했다. 덴마크의 Nydam 늪 유물이 이 시기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 더 직접적으로는 로마의 도검 [[스파타]]의 직계후손이라 보기도 한다. 이 검들은 제작할 무렵에는 철강의 탄소를 세세하게 조절하기 힘든 점을 보완하고자 고탄소강과 저탄소강, 두 종류 쇠봉을 마치 꽈배기 감듯 달궈 꼬아서는 이를 두들겨 [[단조(금속 가공)|단조]]하고 [[담금질]]하기를 여러 번 반복하는 [[접쇠]] 기법으로 구조강도를 높였다. 이런 식으로 주조한 도검은 외관 상 검신에 물결 무늬가 드러나고, 각 철강의 장단점이 서로 보완되므로 강도가 월등하다. 이런 접쇠 기법은 바이킹 소드의 기술적, 형태적 조상이라 할 수 있는 로마의 [[글라디우스]]를 만들 때부터 사용되었다.[* 물론 오늘날 [[접쇠]]는 미학적인 면 외에는 [[도검/강재|현대적인 제강법으로 제작된 도검용 강재들]]을 능가하는 점이 없다.] 그 덕에 검 표면에 있는 모양이 마치 뱀의 몸이 뒤틀린 듯한 문양이 나타나는데, [[뵐숭 사가]]와 같은 초기 게르만 전설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검을 '''뱀이 똬리를 튼 듯한 무늬가 있다'''고 묘사한다. 이 방식은 중세로 이어져 [[다마스쿠스 강#s-5|패턴 웰디드 공법(pattern welded; pattern welding)]]이 되었다. 바이킹 소드는 거친 바이킹이 만든 조잡한 도검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실제 발견된 유물 중에는 탄성과 강도가 뛰어난 것도 있다. 이는 (1) 당시 바이킹의 주요 교역로 중 하나였던 [[볼가강]]을 통해 중앙아시아와 이란 등 지역에서 순도 높은 철광석을 수입했고 (2) 삼림지대에 거주한 바이킹들이 불을 자주 다루면서 '''온도'''에 따른 금속제련효과를 체득한 덕분이다. 이후 바이킹 소드는 주 사용자였던 [[노르드]]인 중 일부가 북프랑스 [[노르망디]]에 정착하면서 그들과 동화되어 [[노르만족]]으로 변화하고 유럽 각지에 정착 및 동화하는 과정에서 다시 변화하였다. 일명 노르만 소드(norman sword)라고 불리는 이들 유물은 세월이 흐를수록 폼멜이 원반 형태로 바뀌고, 크로스 가드는 방어용으로 길어지며, 칼 끝을 제외하면 평행을 이루던 칼날도 풀러가 짧아지고 테이퍼가 길어지며 칼끝이 뾰족하게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면서 11세기에 들어서는 흔히 '중세 검' 하면 떠오르는 [[아밍 소드]]가 되었다. 그래서 중세 초중기 도검에서 바이킹 소드의 흔적을 조금씩 확인할 수 있다. 노르드인이 오늘날의 러시아 등 동유럽 지역에 정착하며 세운 [[노브고로드 공국]], [[키예프 공국]] 등 루스 공국 영역에서도 유물로서 바이킹 소드와 유사한 도검이 발굴되었다. 차이점이라면 [[아밍 소드]]의 형태로 바뀐 서유럽의 바이킹 소드들과는 달리 루스 공국 지역의 검들은 대략 중세 말인 12-13세기까지도 형태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 유명한 도검 == 실존 유물 중 일명 'Ulfberht'[* 국내에서는 보통 '울프베르트' 혹은 '볼프베르히트'라고 부른다.]라 불리는 바이킹 소드들은 서기 9-11세기에 제작되었는데도 현대의 고[[탄소강]]에 필적할 만큼 탄소 함유량과 철의 순도가 높아서 당시로서는 [[오버 테크놀로지]]에 가까웠다. 탄성이 높으면서도 충격을 받아도 날이 부러지거나 휘는 일이 적었고, 테이퍼가 파인 디자인 덕분에 가벼우면서 충격에도 강력했다. 'Ulfberht'에 사용된 순도 높은 철은 노에서 1700도 이상으로 철을 가열하여 불순물을 없애야 하는데, 유럽에서는 [[산업 혁명]] 시기인 18세기 중반 이후에 들어서야 보편적으로 생산되었다. Ulfberht는 칼날에 VLFBERHT라는 문구가 각인되었는데, 유물에서는 각인이 +VLFBERHT+ / +VLFBERH+T 2종류로 나온다. +VLFBERH+라고 새긴 쪽이 탄소 함량이 높은 철로 만든 진품, 나머지는 복제품으로 여긴다. 유튜브에서 "Secrets of the Viking Sword"라고 검색하면 'Ulfberht'를 자세하게 다룬 다큐멘터리를 볼 수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발견된 nydam ship에서 출토한 유물은 바이킹소드 도검사에서 유명하다. 외형상 전형적인 패턴 웰디드 양식 특유의 물결무늬라기보다는 격자 무늬에 가깝기는 해도, 이 유물에 단접 방식을 사용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분류:도검]][[분류:보병 무기/고대~근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