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olin Concerto No. 1, Op. 6''' [youtube(MenIhT7umeM)] [[힐러리 한]]의 연주이다. 정말 한치의 오류도 없이 완벽하게 구사하는 테크닉에서 놀라움을 느낄 수 있다. [youtube(gSM3REW5V0E)] 국내에선 파가니니 [[본좌]]로 평가되는 [[권혁주(바이올리니스트)|권혁주]]의 3악장 연주이다. 엄청난 리코세 주법과 깔끔한 연주는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애석하게도 그의 연주는 이제 영상으로밖에 볼 수 없게 되었다. [* 그리고 더욱 애석하게도 이 영상마저 비공개 처리되어 이젠 볼 수 없게 되었다...] [목차] == 개요 ==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 라고 불릴 정도로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인 [[니콜로 파가니니]]가 1811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이다. 파가니니는 총 6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 인쇄된 것은 두 개뿐이었다. 그중 하나가 이 바이올린 협주곡 1번[* [[라 캄파넬라|나머지 한 개는 원곡보다 편곡이 더 유명한 그 곡이다]].]. [[낭만주의]] 시대의 곡답게 이탈리아 벨칸토 [[오페라]] 스타일의 서정적인 분위기가 흐르고 있으며, 파가니니의 곡 답게 특히 테크닉적인 면모가 두드러진다. 활을 튀기는 보잉인 리코셰 주법이 사용되며 3중, 4중 더블 스타핑이 난무한다. 이 곡과 협주곡 2번을 편곡한 게 바로 리스트의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 3번 'La campanella'이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더 유명한 파가니니 대연습곡 3번 'La campanella'엔 이곡의 편곡이 들어있지 않다. == 구성 == === 1악장 === Allegro maestoso 베이스와 [[드럼]], [[심벌즈]]가 포함된 서주가 시작되며,~~서주가 더럽게 길다~~ 긴 서주를 마친 뒤, 솔로 [[바이올린]]이 시작된다. 활을 튀기는 리코세 주법이 자주 사용되어 기교적인 면이 두드러진다. === 2악장 === Adagio 낭만주의 곡 답게 서정적이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오페라의 벨칸토 스타일의 선율이 흐른다. 감정을 고양시키는 역할을 한다. === 3악장 === Rondo. Allegro spirituoso 감정이 고양이되며, 리코세(쥬테)같은 화려한 주법이 자주 사용된다. [[분류:협주곡]][[분류:바이올린 협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