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바운스볼)] [목차] == 개요 == [[바운스볼]]에서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주인공인 '''바운스볼''', '''기본 블록''', 목적지인 '''별'''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서술한다.[* 다만 맵 에디터에는 기본 블록이 없어도 된다. 일반 스테이지에서는 18-9, 20-12 등 극소수의 스테이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스테이지에서 기본 블록이 나오기 때문에 기본 요소에 해당이 된다.] === 바운스볼 === || [[파일:bb_공.png]] || [[파일:bb_공과별.gif]] || || 공의 모양 || 공과 별의 움직임 || 바운스볼은 아이템을 먹지 않는 이상 색깔이 그대로며, 모든 스테이지에서 플레이어의 조작으로 움직이는 주인공이 되겠다. [[바운스볼/월드/타이탄|엄청나게 많은 가시에 온 몸이 찢기거나,]] [[바운스볼/월드/화성|500v는 넘는 것으로 보이는 고압전류에 지져지거나,]] [[바운스볼/월드/토성|파란 낙석에 깔려 죽는]] 등 산전수전 다 겪는 주인공이다. 바운스볼이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플레이를 해야 한다. 기능 블록을 이용하여 별을 더욱 더 쉽게 먹고 [[역관광|장애물을 오히려 땅 밑으로 떨어뜨리거나 막히게 하며,]] 아이템을 이용하며, 멀리 이동하거나 점프하고, 벽을 통과하며, 심지어 복제까지 한다! 바운스볼을 위협하는 장애물들을 피해 별을 먹어야 한다. 일반 점프로는 동일한 높이에서는 최대 3칸의 공백을 넘어갈 수 있다. 물론 서있는 블록의 최대한 끝에 있어야 하고 발돋움이 조금이라도 부족하면 아슬아슬하게 도달하지 못한다.[*예외1 끝에있는 가시옆에 평면이 아닌 아무블록이 없으면 못 넘는다.] === 기본 블록 === ||
[[파일:bb_기본블록.png]] || || 기본 블록들 || 첫 등장: 월드 1 Under World '''가장 기본적인 블록'''으로, 밟으면 공이 튄다. 색깔은 여러가지이고 월드마다 다르며[* 기본 블록 색이 같은 월드도 있다. 예를 들어 월드 1 언더월드와 월드 35 미란다.(둘 다 회색) 여담으로 실수로 11-6 등의 몇몇 스테이지에서 블록 색을 다르게 배치한 부분이 있으며, 32-3스테이지에서는 아예 다른 색 블록(주황색, 회색)으로 투명 추진기를 표현했다. 이 경우 게임 플레이를 위한 설명용에 가깝다. 깜빡이 블록은 덤.] 색깔은 회색, 갈색, 흰색, 파란색[* 대부분의 도구 블록 색과 완전히 같다.], 하늘색, 주황색, 검은색 등등이 있고, [[바운스볼/맵 에디터|맵 에디터]]와 [[바운스볼/Expert|Expert]] 스테이지 한정으로 빨간색, 보라색, 초록색, 분홍색, 흐린 민트색까지 있다.[* 2019년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2021년 3월 8일 업데이트로 맵 에디터에 더 많은 색깔들이 추가되었다. 검은 테두리만 있는 블록부터 시작해서, 파스텔계열, 빨강, 주황, 노랑, 녹색, 청록, 파랑, 남색, 보라, 갈색계열까지 만들어졌다. 가시 역시 같은 색으로 색상 변경을 할 수 있다. 2023년 4월 10일 4.8.7 업데이트로 블럭 크기를 1/2로, 1/4로 크기 조절을 할수 있는 기능이 생겼다.[* 다만 3/4블록이나 1/3은 없다,] 하지만 이 블록들은 한 칸을 차지하기 때문에 '''겹치거나 합쳐서 3/4이나 대각선으로 1/2같은 것을 만들 수 없다.'''[*예외2 서로 다른 칸이면 1/3이나 대각선으로 1/2를 만들 수 있다. 4/5도 가능하다.] === 별 === ||
[[파일:bb_별크기비교.png|width=224]] || || 왼쪽부터 무지개별/투명별/기본별/중형별(2개)/소형별/공 || 별은 게임의 목표가 되는 요소로 스테이지에 있는 별을 모두 먹으면 스테이지가 클리어된다. 기본 별의 획득 판정은 블록 1칸보다 조금 더 크다. * 노란색 별 ||
[[파일:bb_노란별.png]] || [[파일:bb_노란별.gif]] || || 별의 모양 || 별을 먹은 경우 || * 기본 별 첫 등장: 월드 1 Under World 가장 기본적인 별. * 소형 별 첫 등장: 월드 6 Jupiter 정교한 플레이를 위해 아주 가끔 나온다. 크기는 0.5. * 중형 별 월드 26 Quasar에서 '''중간 크기 별 2가지'''가 더 나오면서 공식 스테이지의 노란색 별은 총 '''4가지'''의 크기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스테이지 26-9와 26-11) 크기는 각각 0.8과 0.7. * 투명 별 ||
[[파일:bb_투명별.png]] || [[파일:bb_투명별.gif]] || || 별의 모양 || 별을 먹은 경우 || 첫 등장: 월드 8 Uranus 별 스위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먹지 못하지만, 별 스위치가 활성화된 동안에는 맵 전체의 투명 별이 노란색으로 바뀌어 먹을 수 있게 된다. * 무지개 별 ||
[[파일:bb_무지개별.png]] || [[파일:bb_무지개별.gif]] || || 별의 모양 || 별을 먹은 경우 || 첫 등장: 월드 34 Triton 정확히는 위에서부터 {{{#ff4083 진분홍색}}}, {{{#ffd620 노란색}}}, {{{#28aade 파란색}}}이다. 먹으면 먹는 동시에 공이 위로 3칸 튄다. 위로 튀는 기능이 있어서인지 오토맵에서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다. 공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먹으면 반응을 안 하는데 이로 인해 빅뱅의 변색 블록 이후 아이템 모양을 한 방해물이라는 불명예를 벗어난 비활성화 아이템에게 또 하나의 기능이 생겼다. 예컨대 복제공을 이용해 대신 먹고 죽어주게 하는 맵, 아이템 이터를 이용해 위로 튀면 죽는 위치에 있는 무지개별을 안전한 곳으로 셔틀을 시키는 맵 등. 투명한 무지개 별은 존재하지 않는다. ~~투명한 무지개가 애초에 말이 안 되긴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운스볼/장애물, version=56)] [[분류:바운스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