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개 포켓몬)] ||<-3> {{{#white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25MS.png|width=40]] 0925 [[파밀리쥐]] || '''{{{#000,#fff [[파일:926MS.png|width=40]] 0926 쫀도기[br][[파일:927MS.png|width=40]] 0927 바우첼}}}''' || [[파일:928MS.png|width=40]] 0928 [[올리르바|미니브]] || ||<-3> {{{#white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26MS.png|width=40]] 075 [[라이츄]] || [[파일:926MS.png|width=40]] '''076 쫀도기 [br] [[파일:927MS.png|width=40]] 077 바우첼''' || [[파일:287MS.png|width=40]] 078 [[게을로]]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26 쫀도기.png|width=100%]] || [[파일:927 바우첼.png|width=100%]] || || 쫀도기 || 바우첼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white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white 타입}}}]] || || [[파일:926MS.png|width=50]][br]'''쫀도기''' [br] パピモッチ(파피못찌) [br] Fidough || 전국: 0926[br]팔데아: 076^^본토^^ ||<|2> [include(틀:페어리타입)] [br] [include(틀:2타입)] || || [[파일:927MS.png|width=50]][br]'''바우첼''' [br] バウッツェル(바웃쳬루) [br] Dachsbun || 전국: 0927[br]팔데아: 077^^본토^^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white 특성}}}]][br]{{{#white (숨겨진 특성은 *)}}} || ||<|2> 쫀도기 || [[포켓몬스터/특성/ㅁ#마이페이스|마이페이스]] || 혼란 상태가 되지 않는다. 위협을 무시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ㅅ#서투름|서투름]] || 지니고 있는 도구를 사용할 수 없다. || ||<|2> 바우첼 || [[포켓몬스터/특성/ㄴ#노릇노릇바디|노릇노릇바디]] || 불꽃 타입 기술을 받으면 무효화하고 방어가 2랭크 상승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ㅇ#아로마베일|아로마베일]] || 같은 편으로 향하는 멘탈 공격을 무효화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e08ee0> {{{#FFFFFF 포켓몬}}} ||<#e08ee0> {{{#FFFFFF 분류}}} ||<#e08ee0> {{{#FFFFFF 신장}}} ||<#e08ee0> {{{#FFFFFF 체중}}} ||<#e08ee0> {{{#FFFFFF 포획률}}} || || 0926 쫀도기 || 강아지 포켓몬 || 0.3m || 10.9kg || 190 || || 0927 바우첼 || 개 포켓몬 || 0.5m || 14.9kg || 9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육상, 광물 || 20 || 1,059,860 || [anchor(앵커-진화)] ||<-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e08ee0> {{{#FFFFFF 진화}}} || [[파일:926.gif|width=50]] [br]0926 쫀도기 || 레벨 26[br]→ || [[파일:927.gif|width=60]] [br]0927 바우첼 || [anchor(앵커-방어 상성)] ||<-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독타입)]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악타입)] || [include(틀:드래곤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white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26MS.png|width=50]][br]쫀도기 || 37 || 55 || 70 || 30 || 55 || 65 || 312 || || [[파일:927MS.png|width=50]][br]바우첼 || 57 || 80 || 115 || 50 || 80 || 95 || 477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26MS.png|width=50]][br]{{{#FFFFFF 쫀도기}}} || ||<#ffffff,#000000><-2><:>{{{#!HTML}}}|| ||<-2> [[파일:927MS.png|width=50]][br]{{{#FFFFFF 바우첼}}}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포켓몬이름#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26MS.png|width=50]][br]{{{#white 0926 쫀도기}}} || || 스칼렛 ||만지면 촉촉하고 매끈매끈하다. 숨결에 포함되어 있는 효모로 주위의 것들을 발효시킨다. || || 바이올렛 ||숨결에 포함되어 있는 효모가 요리를 만들 때 도움을 주기 때문에[br]옛날부터 사람들의 보호를 받아 왔다. || ||<-2> [[파일:927MS.png|width=50]][br]{{{#white 0927 바우첼}}} || || 스칼렛 ||몸에서 나는 좋은 향기가 밀의 성장을 돕기 때문에 농촌에서 소중히 여겨진다. || || 바이올렛 ||피부 표면은 뜨거운 열을 받으면 딱딱해지는 성질을 가졌다. 몸에서 구수한 냄새가 난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촉촉하고 매끈매끈한 감촉''' 촉촉하고 매끈매끈한 감촉의 피부는 탄력이 있고,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운 성질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감정이 고조되면 몸을 부풀려 자신을 크게 보이게 해서 상대를 위협한다고 합니다. '''숨결에는 유용한 효모가''' 숨결에 포함되어 있는 효모로 주변에 있는 것을 발효시킬 수 있습니다. 효모는 요리를 만들 때 유용해서, 옛날부터 사람들의 보호를 받아 왔습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605&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쫀도기 소개 페이지]]에서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새로운 포켓몬. 모티브는 스페인 [[마요르카 섬]]에서 유래한 빵인 [[엔사이마다]](Ensaïmada)+ [[닥스훈트]]로 보인다. 이름의 유래는 쫀득 + 강아지를 뜻하는 Doggy로 보인다. 진화형 바우첼은 큰 개가 짖는 소리 바우(Bow) + 과자의 일종인 [[프레첼]]. == 포획 및 스토리 == 플라토마을 입구에서 포획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곳에서 등장한다. 다만 80이란 공격력은 그리 높은 데미지를 주기 힘들고, 쫀도기가 출몰하는 곳에 '''페어리 물리형으로는 [[마릴]], 특수형으로는 [[랄토스]]가 등장하고,''' 이후 초반부에 공격력은 더 낮긴 하지만 '''[[거대해머|위력 160의 자속기]]'''를 사용하여 위력은 어느 정도 커버가 되는 [[어리짱]]이 나오기 때문에 경쟁이 필요하다. 테라 레이드배틀에서는 서포터로 활용 가능하다. 일특인 노릇노릇바디는 불꽃 기술을 사용하는 포켓몬을 상대로 유리하고, 숨특인 아로마베일은 팀 전원에게 멘탈 계열 상태이상 무효를 부여하기 때문에 도발 또는 사슬묶기를 사용하거나 특성이 저주받은바디인 포켓몬을 상대로 유리하다.[* 다만 이들 중에는 팬텀이나 부르르룸처럼 독이나 강철 기술을 사용하는 포켓몬들도 있어 무작정 내보내면 안 된다.] 쓸만한 기술은 팀 전원의 공격을 1랭크 올려주는 멀리짖기, 그리고 디버프기인 진흙뿌리기, 바크아웃, 머드샷, 달콤한향기, 애교부리기가 있다. == 대전 == 타입은 단일 페어리. 종족값은 전반적으로 방어에 쏠려 있는 물리막이 형태로 스피드는 95로 격전지 구간에 위치해 있다. 물방이 115로 높긴 하지만 체력이 57로 적다보니 내구력은 그렇게 높지 않다. 무보정 기준 물리내구는 43357, 특수내구는 32116이다. 신 특성 '''노릇노릇바디'''를 지녔는데, 불꽃 타입 기술을 받으면 무효화하고 자신의 방어를 2랭크 올린다. 모래성이당의 꾸덕꾸덕굳기와 비슷하지만 물 타입을 무효화하지 못하는 꾸덕꾸덕굳기와 달리 노릇노릇바디는 무효화하므로 이쪽이 더 성능이 좋다. 노릇노릇바디의 효과가 발동하면 물리내구는 성격 무보정 H252 기준 '''107737'''까지 올라간다. 이 정도면 금강불괴의 내구력을 자랑하는 동세대 준전설 포켓몬 딩루와 맞먹지만, 특방까지 단단한 딩루와 달리 이쪽은 특방이 허약하므로 특수 기술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숨겨진 특성은 [[프레프티르]], [[마휘핑]]과 같은 아로마베일. 도발에 막힐 걱정 없이 변화기를 쓸 수는 있다. 아로마베일을 선택하기엔 프레프티르에 밀리는 감이 있지만 아직 SV에 프레프티르와 마휘핑은 등장하지 않으므로 양쪽 특성 모두 활용성이 있다. [[철벽(포켓몬스터)|철벽]] 등 내구를 직접 올리는 기술은 배우지 못하지만, [[잠자기(포켓몬스터)|잠자기]]와 [[잠꼬대(포켓몬스터)|잠꼬대]], [[대타출동]], [[바크아웃]], [[하품(포켓몬스터)|하품]] 등을 배우기 때문에 그럭저럭 막이로 쓸만한 수준. [[바디프레스(포켓몬스터)|바디프레스]]를 배우긴 하지만 특성 발동 조건이 매우 수동적이니,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더블 배틀에서 [[분연(포켓몬스터)|분연]]을 채용한 포켓몬과 같이 쓰는 것도 생각해볼 만하다. 파트너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역시 코터스. HP회복같은 즉발회복기는 없으나 희망사항이 있으므로 나름의 유지력도 보유하고 있다. 영 애매한 종족값과 사용하기 어려운 기술 운용때문에 잘 선택되지 않아 레귤레이션 2 시점까지 싱글과 더블을 막론하고 마이너 포켓몬. 특히 싱글은 가장 높은 성적을 냈던게 130위였을 정도로 최하위의 성적을 찍었다. 더블은 사정이 그나마 낫지만 더 우수한 성능을 지닌 페어리 포켓몬과 막이 포켓몬이 차고 넘치던 탓에 주력이 되진 못했다. 하지만 레귤레이션 3에서부턴 사흉수의 등장으로 더블배틀에서 꽤 뛰어난 활약상을 보이는데, [[위유이]]의 존재 때문이다. 워낙 강력한 성능으로 자주 사용되는 위유이가 [[분연(포켓몬스터)|분연]]을 사용하여 적 전체에게 안정적인 대미지를 줌과 동시에 바우첼은 노릇노릇바디의 효과로 방어력과 바디프레스의 위력을 올리는 식. 특히 사흉수들이 전부 격투타입에 찔리기 때문에 사흉을 포함한 악타입을 압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도 좋은 편이다. 다만, 허약한 내구가 위유이로 인해 더 낮아지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 9화에서 등장. 주인공 [[리코(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리코]]의 집에서 키우고 있으며 알렉스의 파트너 포켓몬이다. 리코를 비롯한 다른 사람들 및 포켓몬과도 친화력이 좋다. == 기타 == * 팔데아지방 3마리 개 중 가장 먼저 공개되었다. 처음 공개가 되자 귀엽다는 반응이 굉장히 많을 정도로 디자인적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진화형인 바우첼도 쫀도기를 구운(?) 느낌의 모습이라서 귀엽다는 평이 많다. * 6세대의 [[나루림]], 8세대 [[마휘핑]]에 이어 음식을 모티브로 한 페어리 타입 포켓몬이다. * 국내판 이름 한정으로 한국의 길거리 음식 중 하나인 [[쫀득이]]를 연상시키는 웃기면서도 친근감이 느껴지는 [[초월번역]]스러운 이름 덕분에 안 그래도 귀여운 외모에 더 호감이 가게 되었다거나 사실은 한국 토종 강아지였다는 드립도 나오는 등, 공개 이후 팬들에게 큰 웃음을 주며 호평을 받았다. * 도넛과 비슷하게 생긴 귀모양 덕에 [[도넛머리]] 헤어스타일인 5세대의 여주인공 [[명희(포켓몬스터)|명희]]와도 가끔 엮인다. * 진화형인 바우첼은 [[오르티가]]의 에이스 포켓몬이다.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26 쫀도기 dex.png|width=100%]] || [[파일:927 바우첼 dex.png|width=100%]] || || '''쫀도기''' || '''바우첼''' || == 국가별 명칭 == || 언어 ||<:>이름 ||<:>유래 || || 한국어 || 쫀도기 ||<:> 쫀득쫀득 + doggy(개) || || 일본어 || パピモッチ ||<:> puppy + [[모찌]] || || 영어 ||<:><|3> Fidough ||<:><|3> Fido(서구권에서 자주 쓰이는 반려견 작명[* 대략 한국의 [[멍멍이]]와 비슷한 뉘앙스의 이름이다.]) + Dough(반죽) || || 스페인어 || || 이탈리아어 || || 프랑스어 || Pâtachiot || pâte à chou(파트 아 슈) + chiot(프랑스어로 강아지) || || 독일어 || Hefel || hefe(독일어로 효모) + welpe(강아지) || || 중국어(번체) ||<:><|2> 狗仔包 ||<:><|2> 狗(개) + 肠仔包(소세지 빵) || || 중국어(간체) || ||
언어 ||<:>이름 ||<:>유래 || || 일본어 || バウッツェル ||<|2> 큰 개가 짖는 의성어 Bow('''バウ''')+ Pretzel(プレ'''ッツェル'''/[[프레첼]]) || || 한국어 || 바우첼 || || 독일어 || Backel ||<:> Backen(굽는다) + Dackel([[닥스훈트]]) || || 영어 || Dachsbun ||<:> '''Dachs'''hund([[닥스훈트]]) + '''Bun'''(빵)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페어리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