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UFC 헤비급 챔피언)] [include(틀:역대 판크라스 무제한급 챔피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s-belts.jpg|width=100%]]}}} || || '''{{{#white 본명}}}''' ||'''세바스티안 "바스" 뤼턴[br](Sebastian "Bas" Rutten)''' || ||<|2> '''{{{#white 생년월일}}}''' ||'''[[1965년]] [[2월 24일]] ([age(1965-02-24)]세)''' || ||'''[[노르트브라반트]] 주 틸뷔르흐'''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 '''{{{#white 거주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 '''{{{#white [[킥복싱|{{{#white 입식}}}]] 전적}}}''' ||'''16전 14승 2패 (14KO)'''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herdog.com/fighter/Bas-Rutten-214| 34전 28승 4패 1무]]''' || || '''{{{#white 승}}}''' ||'''10KO, 14SUB, 4판정''' || || '''{{{#white 패}}}''' ||'''3SUB, 1판정''' || || '''{{{#white 체격}}}''' ||'''186cm / 97kg / 203cm''' || || '''{{{#white 링네임}}}''' ||'''El Guapo[* 스페인어로 '''미남'''이라는 뜻이다.]''' || ||<|2> '''{{{#white 주요 타이틀}}}''' ||'''Pancrase 3대 무제한급 챔피언''' || ||'''[[UFC]] 4대 헤비급 챔피언''' || ||<|2> '''{{{#white 기타}}}''' ||'''Pancrase 무제한급 타이틀 방어 2회''' || ||'''2015 [[UFC 명예의 전당]] 헌액''' || || '''{{{#white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asruttenmma, 크기=22)] [[https://facebook.com/BasRutte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basruttenmm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출신의 전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주요 승: [[후케 타카쿠]](3), [[이나가키 카츠오미]], [[야나기사와 류시]](2), [[와타나베 켄고]], [[버논 화이트(종합격투기)|버논 화이트]], [[타카하시 요시키]], [[스즈키 미노루]](2), [[제이슨 델루시아]](3), [[야마다 마나부]](2), [[모리스 스미스]](2), [[프랭크 샴락]](2), [[가이 메츠거]], [[후나키 마사카츠]], [[쿠니오쿠 키우마]], [[시부야 오사미]], [[야마미야 케이치로]], [[코사카 츠요시]], [[케빈 랜들맨]], 루벤 빌랄 * 주요 패: [[후나키 마사카츠]], [[프랭크 샴락]], [[켄 샴락]](2) * 무승부: [[시부야 오사미]] == 커리어 == 유년기 [[이소룡]]의 영화를 본것을 계기로 동양무술에 호기심을 가져 집근처의 [[태권도]] 도장을 다니며 어린이 심사에 나가 2승단[* 가라테로 비유하면 9급]을 하고 그만둔 경험이 있다. 그후 평범하게 자라 학교를 다니다가 청소년기에 돌연 본격적으로 격투기에 뜻을 두고 가라테에 입문 [[극진공수도]] 2단을 땄고[* 가라테에서 1단을 따는데 보통 4~5년 걸리는걸 고려하면 청소년기 바스루텐이 가라테에 얼마나 진심이였는지 짐작할수 있다.], 20살에는 [[킥복싱]]을 추가로 배우면서 프로 격투기 선수로서의 인생을 시작했다. 격투기 스타일은 무려 5단인 극진공수식 가라테 베이스에 킥복싱 그리고 가장늦게 배운 그래플링이 접목되어 있다. 참고로 UFC 2체급 챔프 조르주 생피에르가 가라테 3단이다. 1993년에는 28살이란 늦은나이로 판크라스에 입문 일본에서 [[프랭크 샴락]], [[후나키 마사카츠]] 등과 대결했으며, 후에 미국 [[UFC]]로 건너가 [[케빈 랜들맨]]과 UFC 헤비급 타이틀을 걸고 대결해 승리하여 UFC 헤비급 챔피언이 되었다. 5분 5라운드로 이뤄진 이 경기에서 랜들맨은 5라운드 내내 시종일관 루텐을 상위에서 압박하고도 패배하여 판정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후 라이트헤비급으로 체급 하향을 위해 헤비급 타이틀을 반납하고 훈련을 하던 도중 심한 목부상을 당해 본의 아닌 은퇴를 하게 된다. 2006년 WFK로 복귀해 상대인 루벤 비야레알을 1라운드 레그킥으로 TKO승을 거둔 후 현역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은퇴 후 각종 방송, 체육관 운영, 코치 활동, 가라테 무술인 활동, 호신술 비디오 등을 출시 등 왕성한 활동을 하였는데, 한국에서 이 바스루텐의 호신술 비디오를 엉터리로 번역더빙한 대머리 독수리라는 UCC 패러디를 하여 컬트적인 인기를 끌기도 하였다.[[https://youtu.be/030RSAbAH7E|링크]] 이 사람이 누군지 모르고 더빙 영상만 본 사람들은 사이비 무술가나 개그맨 정도로 생각했지만 알고보니 세계관 최강자여서 놀랬다는 반응이 많다. == 파이팅 스타일 == 초창기 종합격투기 웰라운더 중 한명이다. 레슬링 싸움은 강하지 않아서 상대에게 테이크 다운을 자주 당했지만 막상 그라운드게임에 들어가면 리드 했고 일본 레슬러, 켄 삼략 헝제들에게도 그라운드가 완전히 밀린다는 느낌은 안들었으며(초창기 숙련도가 낮을땐 많이 밀렸지만) 판크라스 선수들의 특징인 레그락에도 상당히 능해서 많은 경기를 하체관절기로 따냈을 정도다. 가라테를 베이스로 한 타격의 비중이 높다. 긴 리치를 활용한 막강 스트라이커라는 느낌이 더 강하다. 특히 하이브리드 레슬링 특유의 팜 스트라이크에 아주 능숙해 주먹으로 치는 것보다 더 아파보이며 실제로 바스루텐의 팜을 받고 많은 선수들이 다운되었다.[* 참고로 이 시절엔 오픈 핑거 글러브가 없어 팜 스트라이크의 충격이 그대로 들어갔다. ] 이전까지 판크라스의 게임은 몸통은 주먹, 킥공격이 허용되나 안면은 손바닥으로만 가격해야 했기에 스탠딩으로 간을 보다가 그라운드 싸움으로 끌고가 게임이 끝나는게 대부분의 루틴이였는데 이 룰이 바스루텐의 기본 베이스인 가라테 쿠미테와 유사하므로 28살이란 늦은 나이에 입문했음에도 누구보다 빠르게 판크라스의 룰에 적응, 자신의 장기를 살려 적극적으로 타격에 임해 판크라스에서 타격으로 게임을 지배했다. 챔피언이 된 뒤로는 더욱 막강한 완성형 따귀를 선보이며 극강의 스트라이커 이미지가 굳어졌다. 한창 연승하며 잘나갈 때 어느정도였냐면 판크라스에서 그를 타격으로 이긴다는걸 생각하기 힘들정도로 무적의 타격가 이미지였고 실제로 수많은 격투단체에서 온 막강한 선수들의 도전을 판크라스 링에 때려서 눕혔다.(바스 루텐이 진경기는 전부 그라운드에서 밀린경우 뿐이다) 몸통찌르기와 팜만 잘지르냐 하면 그것도 아니라서 가라테와 킥복싱의 중,하단, 명치 킥을 바스 루텐 특유의 유연성으로 잘살려서 무시무시한 하단, 중단, 명치를 번갈아 차는 공포의 삼지선다 콤보로 상대들을 압도했다. 이렇게 상대가 킥에 정신이 팔리면 바로 정권지르기와 팜 스트라이크가 날아왔다. 다만 격투 베이스인 가라테의 내려지르기와 유사한 몸통 타격 동작때문에 안면 주먹 공격시도로 오해를 받아 심판에게 경고를 먹는 일이 잦았고 타격에선 막강했지만 뒤늦게 배운 그라운드엔 숙련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극강의 그라운드 기술을 가진 일본선수나 켄 샴락 등에겐 우승을 뺏기기도 하였다. 물론 계속 그라운드 훈련을 게을리하지 않아 리벤지에 성공했다. 역대 MMA 선수 중 최고의 타격가들을 거론할 때 꼭 언급되는 선수. 특히 그 킥과 팜 스트라이크 파괴력은 경이로운 수준이다. == 여담 == * 뛰어난 예능감각을 인정받아 현재에는 격투기 관련 TV 프로그램에서 진행자를 맡거나, 게임 등에 등장하기도 한다.[* 은퇴 후의 모습으로 처음 알게 된 사람들은 그저 코미디언인 줄 알았다가, 그가 종합격투기의 전설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놀라기도 한다.] * [[http://www.basrutteninstructionals.com/wp-content/uploads/2015/02/rutten2winner_display_image-300x279.jpg|다리를 좌우로 펼치며 점프 하는 특유의 승리 포즈]]가 있는데, 유연성과 점프력이 단연 압권. * [[안토니오 이노키]] 주최의 프로레슬링 이벤트였던 '이노키 봄바예'에 참여했던 경력도 있다. * UFC 명예의 전당 헌액이 확정됐다. UFC에 입성하고나서 많은 경기를 치루지는 못했지만 그가 [[종합격투기|MMA]] 업계에 남긴 업적을 생각해보면 합당한 대우. * 인터넷을 자주하는 사람이면 한번쯤은 봤을 '싸움 잘하는 법'이란 동영상의 주인공이다. 더빙한 사람은 [[딕헌터]]. [[쿠쿠크루]] 소속이였다. 해당 시절엔 신동훈의 싸이월드 홈페이지에 먼저 올라왔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Jq-BsVomAqY|1~6편 모음]] [[https://youtu.be/XzGSRtNpbnQ|7편]] [[https://youtu.be/7NcUB_lrPcI|8편]] 원작은 Bas rutten's lethal self-defense. * [[Grand Theft Auto IV]]를 해본 사람이라면 혹시나 기억할지 모르겠는데, 게임속에서 TV를 틀면 나오는 TV쇼중 하나인 Men's room 이라는 프로의 진행자이다. * 국내웹상에서 2000년대 초중반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fight&no=3336|바스루텐이 일반인에게 폭행당했다]]는 출처불명의 전형적인 [[가짜뉴스]]가 나돈적이 있다. 당시는 국내에 종합격투라는 개념조차 대중들에게 생소하던 때이기에 누군가가 악의적으로 지어낸 가짜뉴스를 해외뉴스 번역처럼 꾸며낸 것으로 추정. [[분류:1965년 출생]][[분류:틸뷔르흐 출신 인물]][[분류:네덜란드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UFC 챔피언]][[분류:1993년 데뷔]][[분류:2006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