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ffffff ''' 바벨의 주요 수상 이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 ||<-5>
{{{#e5d85c ''' 역대 [[골든글로브상|{{{#e5d85c 골든 글로브 시상식}}}]]''' }}} || ||<-5> [[파일:goldenglobe.png|width=55]] || ||<-5> {{{#e5d85c '''작품상 - 드라마'''}}} || || ''' 제63회 [br] ([[2006년]]) ''' || {{{+1 → }}} || ''' 제64회 [br] ([[2007년]]) ''' || {{{+1 → }}} || ''' 제65회 [br] ([[2008년]]) ''' || || [[브로크백 마운틴]] || {{{+1 → }}} || '''바벨''' || {{{+1 → }}} || [[어톤먼트(영화)|어톤먼트]] || ||<-5>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5> [[칸 영화제/감독상|{{{#e5d85c '''감독상'''}}}]] || || ''' 제58회 [br] ([[2005년]]) ''' || {{{+1 → }}} || ''' 제59회 [br] ([[2006년]]) ''' || {{{+1 → }}} || ''' 제60회 [br] ([[2007년]]) ''' || || [[미카엘 하네케]][br]([[히든(2005)|히든]]) || {{{+1 → }}} ||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br]([[바벨(영화)|바벨]])''' || {{{+1 → }}} || [[줄리앙 슈나벨]][br]([[잠수종과 나비]]) || ||<-5> ||}}} || ---- ||<-2>
{{{#ffffff '''{{{+2 바벨}}}''' (2006)[br]''Babe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바벨 국내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스릴러]], [[느와르]], [[미스터리]]}}}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br]기예르모 아리아가}}}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br]앤 루아크[br]티타 롬바도[br]스티브 골린[br]존 킬릭}}} || ||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래드 피트]][br][[케이트 블란쳇]][br][[가엘 가르시아 베르날]][br][[야쿠쇼 코지]][br][[키쿠치 린코]] 등}}}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로드리고 프리에토}}} || ||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더글라스 크리즈[br]스티븐 미리온[br]키스 H. 사우터}}} || ||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리짓 브로치}}}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윌킨슨}}}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구스타보 산타올라야}}} || ||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윌킨슨}}}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어나니머스 컨텐트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마디어 라이츠 캐피털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센트럴 필름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스튜디오 카날]]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제타 필름}}}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스폰지}}}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라마운트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MK픽처스}}}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칸 영화제|[[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2006년]] [[5월 23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6년]] [[10월 27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06년]] [[11월 1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7년]] [[2월 22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85 : 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43분}}} || ||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50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34,302,837}}}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35,330,182}}}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229,144명}}} || || '''국내 다운로드/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네이버 시리즈|[[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png|width=20]] {{{#000000 (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on.naver.com/movie/detail.nhn?viewSeq=270827&prodNo=3984138|▶]]}}}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청소년 관람불가}}}]]'''}}} || ||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ffffff 북미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R등급 로고.svg|width=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If You Want to be Understood... Listen''' >'''이해 받기를 원한다면... 귀 기울여라''' >---- > 북미 포스터 문구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음악상|음악상]] 수상 / [[아카데미 작품상|작품상]],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아드리아나 바라자, [[키쿠치 린코]]), [[아카데미 각본상|각본상]], 편집상 후보작''' 2006년도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작.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냐리투 감독의 전작들인 <[[아모레스 페로스]]>와 <[[21 그램]]>처럼 각기 다른 인물들의 여러 이야기로 진행되는게 특징이다. == 마케팅 == === 예고편 === ||
[youtube(yDNa6t-TDrQ)] || || {{{#ffffff '''▲ 예고편'''}}} || === 포스터 === ||<-2>
'''{{{#ffffff 포스터}}}''' || || [[파일:바벨 국내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파일:바벨 2006 포스터.jpg|width=100%]]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네 개의 사건이 하나로 이어진다...''' > > 아이를 잃고 실의에 빠진 아내를 위로하기 위해 > 모로코로 여행 온 미국인 부부 리처드^^([[브래드 피트]] 분)^^와 수잔^^([[케이트 블란쳇]] 분)^^[* 이 여배우가 이 영화와 달리 실제로는 태생부터 호주인이다.]. > > 아들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리처드의 두 아이들을 데리고 > 멕시코 국경을 넘는 유모 아멜리아^^(아드리아나 바라자 분)^^. > > 사격 솜씨를 뽐내려 조준한 외국인 투어버스에 > 총알이 명중하면서 비밀을 가지게 된 모로코의 유세프와 아흐메드 형제. > > 엄마의 자살 이후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청각장애 여고생 > 치에코^^([[키쿠치 린코]] 분)^^에게 어느 날 한 형사가 찾아온다. == 등장인물 == * 리처드 - [[브래드 피트]] 분 * 수잔 - [[케이트 블란쳇]] 분 * 릴리 - [[해리엇 월터]] 분 * 산티아고 -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분 * 야스지로 - [[야쿠쇼 코지]] 분 * 아멜리아 - 아드리아나 바라자 분 * 치에코 - [[키쿠치 린코]] 분 * 데비 - [[엘 패닝]] 분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babel, critic=69, user=6.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babel, tomato=69, popcorn=77)] [include(틀:평가/IMDb, code=tt0449467, user=7.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abel-2006, user=3.6)]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0151, presse=3.6,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02125, user=7.55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25136, user=2.93)]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44726, user=8.0)]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498818, user=8.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6YvAO,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48172, light=82.61)]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49359, expert=6.67, audience=없음, user=6.7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1266, expert=6.7, user=6.6)] [include(틀:평가/CGV, code=37668,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babel-m100025925, critic=67, user=없음)]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B-)] > In Babel, there are no villains, only victims of fate and circumstance. Director Alejandro Gonzalez Iñarritu weaves four of their woeful stories into this mature and multidimensional film. >---- > '''영화 <바벨>에선 악당 같은 것은 없고, 오로지 운명과 상황의 희생자들만 존재할뿐이다.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감독은 비통한 4가지 이야기들을 엮어내어 이 성숙하고도 다차원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사실은 이 영화에서 감독본인이 직접 혼자서 직접 능력을 발휘한건 아니다. 다른 제작진들가 함께 서로가 도움을 주고받고 하면서 만든 영화이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무너져야 열리고 열면 자유롭지. 마음의 바벨탑이여!''' >---- > - [[박평식]] '''(★★★☆)''' > '''21세기 바벨의 비극은 언어가 아닌 계급의 문제''' >---- > - 남다은 '''(★★☆)''' > '''훌륭한 나비효과 증명, 한데 웬 일본 여학생 훔쳐보기?''' >---- > - 유지나 '''(★★★☆)''' > '''작은 이야기로 돌아가라''' >---- > - 김봉석 '''(★★★)''' > '''인상적인 필름메이킹, 미심쩍은 스토리텔링''' >---- > - 달시 파켓 '''(★★★)''' > '''공포와 피해의식에 찌든 미국의 자승자박을 묘파한 수작!''' >---- > - [[황진미]] '''(★★★★☆)''' >★★★☆ >---- > - [[이동진]]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31회 [[일본 아카데미상]] 우수 외국작품상 '''수상''' * 제32회 [[세자르 영화제]] 외국어영화상 후보 * 제13회 미국 배우 조합상 앙상블상, 여우조연상 후보 * 제60회 [[BAFTA|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안소니 아스퀴스상 '''수상''', 작품상, 각본상, 촬영상, 편집상, 음향상, 데이빗 린 상 후보 *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 [[아카데미 음악상|음악상]] '''수상''', [[아카데미 작품상|작품상]], [[아카데미 감독상|감독상]],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여우조연상]](아드리아나 바라자, [[키쿠치 린코]]), [[아카데미 각본상|각본상]], 편집상 후보 * 제64회 [[골든글로브상|골든 글로브 시상식]] 작품상-드라마 '''수상''', 감독상, 각본상, 음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후보 * 제4회 자그레브 영화제 사이드 프로그램-마티네 후보 * 제31회 토론토국제영화제 갈라스 부문 후보 * 제19회 시카고 비평가 협회상 여우조연상(키쿠치 린코) '''수상''' 작품상, 감독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아드리아나 바라자), 각본상, 유망연기상, 음악상, 촬영상 후보 * 제59회 [[칸 영화제]] [[칸 영화제/감독상|감독상]] '''수상'''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135,330,182'''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34,302,837''' || 미정 || == 기타 == == 관련 문서 == * [[바벨탑]] == 외부 링크 ==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4753|씨네21]] - 문석 평론가 리뷰 == 둘러보기 == [[분류:2006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멕시코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프랑스의 스릴러 영화]][[분류:멕시코의 스릴러 영화]][[분류:미국의 느와르 영화]][[분류:프랑스의 느와르 영화]][[분류:북아메리카의 느와르 영화]][[분류:미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프랑스의 미스터리 영화]][[분류:멕시코의 미스터리 영화]][[분류:파라마운트 픽처스]][[분류: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작]][[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