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바리온]][[분류:물리학]][[분류:물리화학]][[분류:강입자]][[분류:천문학]][[분류:한국 게임]][[분류:종스크롤 슈팅]][[분류:1995년 게임]][[분류:DOS 게임]][[분류:1997년 아케이드 게임]] Baryon [목차] == 중입자 == [include(틀:강입자)] === 개요 === [[강력]]이 작용하는 입자인 [[강입자]] 중 [[쿼크]] 3개로 이루어진 입자들이다. 천문학적으로는 우주에서 5% 정도 차지하는 빛[*A 빛이라고 표현하기는 했으나, 여기에서의 빛은 고전적인 의미의 '[[가시광선]]'의 빛이 아닌, 감지하여 관측이 가능한 [[전자기파]]의 파장이라는 표현이 정확하다.]과 상호작용하는 눈에 보이는 물질[*B 이 역시도 '눈에 보이는'이라는 이해하기 쉬운 표현을 사용했으나, 인간이 관측이 가능한 '[[전자기파]]의 파장 신호의 한도 내'라는 표현이 정확하기는 하다.]이라는 의미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 천문학적 의미의 바리온 === 천문학에서는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가 아닌, 빛[*A]과 상호작용하는 '''눈에 보이는[*B] 일반적인 물질의 대부분을 이루는 것''' 즉, '''일반물질'''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대충 우주의 5% 정도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빛[*A]과는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도 질량이 있는 것으로 분명히 관측[*C 중력을 통해서 관측된다]되는 약 27%의 [[암흑물질]]과 함께(바리온과 합쳐서 약 32%) 우주 내에서 중력장으로 작용한다. [[만유인력]]이라는 중력의 한문식 표현에도 있듯이 우주라고 표현되는 만물의 중력은 '인력'만이 작용한다는 것이 통념이나, 실제 우주에는 보이지 않는 척력이 작용하고 있고, 이는 [[적색편이]]의 관측으로 인한 우주의 팽창이라는 현상에 의해 입증된다. 이러한 우주 팽창이라는 현상을 야기하는 [[암흑에너지]]가 우주의 68%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www.quantumdiaries.org/disk-dark-matter.jpg|width=300]]}}}|| || '''우주의 구성''' || 위의 그래프에서 'visible matter'에 해당되는 것이 바리온에 해당한다. === 바리온의 분류 === [[핵자]](nucleon)가 이 속에 포함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양성자]], [[중성자]]가 이 바리온에 속한다. [[메손]]과는 달리 [[스핀(물리학)|스핀]]이 반정수인 [[페르미온]]. 현재 [[http://pdglive.lbl.gov/ParticleGroup.action?sumtab&type=B|160여 종류]]가 발견되었다. 바리온은 위(u), 아래(d) 쿼크의 개수와 [[아이소스핀]]에 따라 핵자([[양성자]], [[중성자]]), 델타 바리온, 람다 바리온, 시그마 바리온, 크사이 바리온, 오메가 바리온의 여섯 가지로 분류한다. [[아이소스핀]]은 업과 다운 쿼크의 조합이 나타나는 대칭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아이소스핀에 따라 바리온이 붕괴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바리온이 강한 상호작용으로 붕괴할 경우 아이소스핀이 보존되기 때문에 N → ΛK는 가능하지만 Δ → ΛK 는 불가능하다. 스핀과 마찬가지로 전자기 상호작용에서 아이소스핀은 보존되지 않는다. 아이소스핀 3번째 성분은 I,,3,, 라고 쓰며 아이소스핀 다중항들을 분류하는데 쓰인다. * 위, 아래 쿼크의 개수가 3개: * 아이소스핀 1/2: N * 아이소스핀 3/2: Δ * 위, 아래 쿼크의 개수가 2개: * 아이소스핀 0: Λ * 아이소스핀 1: Σ * 위, 아래 쿼크의 개수가 1개: Ξ * 위, 아래 쿼크의 개수가 0개: Ω 가벼운 쿼크(u,d,s) 쿼크로 이루어진 바리온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아이소스핀 다중항 || 구성 || 기묘도 || 아이소스핀|| || [[양성자|p]] [[중성자|n]] || uud, udd || 0 || 1/2 || || Δ^^++^^ Δ^^+^^ Δ^^0^^ Δ^^−^^ || uuu, uud, udd, ddd || 0 || 3/2 || || Λ || uds || -1 || 0 || || Σ^^+^^ Σ^^0^^ Σ^^−^^ || uus, uds, dds || -1 || 1 || || Ξ^^0^^ Ξ^^−^^ || uss, dss || -2 || 1/2 || || Ω^^−^^ || sss || -3 || 0 || === 바리온의 종류 === ==== 핵자 ==== ||기호||구성||I,,3,,||질량||수명|| ||p||uud||+1/2||938.272081(6) MeV||>3.6 × 10^^29^^ y|| ||n||udd||-1/2||939.565413(6) MeV||879.4 ± 0.6 s|| ==== 델타 바리온 ==== ||기호||구성||I,,3,,||질량||수명|| ||Δ^^++^^||uuu||+3/2||1230.9 ± 0.3 MeV||5.9 × 10^^-24^^ s[* Γ= 111.0 ± 1.0 MeV]|| ||Δ^^+^^||uud||+1/2||1232.2 ± 0.5 MeV||5.6 × 10^^-24^^ s[* Γ~ 117 MeV]|| ||Δ^^0^^||udd||-1/2||1233.6 ± 0.3 MeV||5.8 × 10^^-24^^ s[* Γ= 113.0 ± 1.5 MeV]|| ||Δ^^-^^||ddd||-3/2||1235.0 ± 0.35 MeV||5.6 × 10^^-24^^ s[* Γ~ 117 MeV]|| [* Δ++, Δ0 수명 및 질량 출처 Koch, R., & Pietarinen, E. (1980) Nucl.Phys.A 336 331; Δ+, Δ- 질량 출처 Capstick, S., & Workman, R. (1998). Δ isobar masses, large N c relations, and the quark model. Physical Review D, 59(1), 014032; Δ+, Δ- 수명 출처 PDG] ==== 람다 바리온 ==== ||기호||구성||I,,3,,||질량||수명|| ||Λ^^0^^||uds||0||1115.638(6) MeV||2.632(20) × 10^^-10^^ s|| 63.9% 확률로 p π^^-^^ 로 붕괴한다. ==== 시그마 바리온 ==== ||기호||구성||I,,3,,||질량||수명|| ||Σ^^+^^||uus||1||1189.37(7) MeV||8.018(26) × 10^^-11^^ s|| ||Σ^^0^^||uds||0||1192.642(24) MeV||(74±7) × 10^^-21^^ s|| ||Σ^^-^^||dds||-1||1197.449(30) MeV||1.479(11) × 10^^-10^^ s|| ==== 크사이 바리온 ==== ||기호||구성||I,,3,,||질량||수명|| ||Ξ^^0^^||uss||+1/2||1314.86 ± 0.20 MeV||2.90(9) × 10^^-10^^ s|| ||Ξ^^-^^||dss||-1/2||1321.71 ± 0.07 MeV||1.639(15) × 10^^-10^^ s|| 한번에 붕괴하지 않고 연쇄적으로 붕괴하기 때문에 캐스케이드(cascade) 입자라고도 불린다. ==== 오메가 바리온 ==== ||기호||구성||I,,3,,||질량||수명|| ||Ω^^−^^ ||sss||0||1672.45 ± 0.29 MeV||8.21(11) × 10^^-11^^ s|| ==== 참 바리온 ==== 참 바리온은 맵시 쿼크를 포함한 바리온으로 입자 이름에 아래첨자 c를 붙인다. || 아이소스핀 다중항 || 구성 || 기묘도 || 아이소스핀 || || Λ,,c,,^^+^^ || udc || 0 || 0 || || Σ,,c,,^^++^^ Σ,,c,,^^+^^ Σ,,c,,^^0^^ || uuc, udc, ddc || 0 || 1 || || Ξ,,c,,^^+^^ Ξ,,c,,^^0^^ || usc, dsc || -1 || 1/2 || || Ω,,c,,^^0^^ || ssc || -2 || 0 || ==== 더블 참 바리온 ==== Doubly charmed baryon은 맵시 쿼크 2개를 가진 바리온으로 아래첨자 cc를 붙여 표기한다. || 아이소스핀 다중항 || 구성 || 기묘도 || 아이소스핀 || || Ξ,,cc,,^^++^^[* 2017년 LHCb에서 발견] Ξ,,cc,,^^+^^[* 2002년 발견되었으나 존재한다는 증거가 확실하지 않다.] || ucc, dcc || 0 || 1/2 || || Ω,,cc,,^^+^^[* 미발견] || scc || -1 || 0 || Triply charmed baryon은 맵시 쿼크 3개로 이루어진 바리온으로 Ω,,ccc,,^^++^^ 이라 쓸 수 있으며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 보텀 바리온 ==== 보텀 바리온은 바닥 쿼크를 지닌 바리온이다. || 아이소스핀 다중항 || 구성 || 기묘도 || 아이소스핀 || || Λ,,b,,^^0^^ || udb || 0 || 0 || || Σ,,b,,^^+^^ Σ,,b,,^^0^^[* 미발견] Σ,,b,,^^-^^ || uub, udb, ddb || 0 || 1 || || Ξ,,b,,^^0^^ Ξ,,b,,^^-^^ || usb, dsb || -1 || 1/2 || || Ω,,b,,^^-^^ || ssb || -2 || 0 || Doubly heavy baryon 이라 부르는 b나 c가 두 개 이상 포함된 바리온은 Ξ,,cc,,을 제외하고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꼭대기 쿼크는 바리온을 형성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각 상태에 대해서 들뜬 상태의 입자들이 여럿 발견되어 있으며 이러한 입자들은 Λ(1405)와 같이 입자 이름에 숫자를 붙여 나타내며, 이 숫자는 입자가 얼마나 무거운 지를 나타낸다. 특수한 바리온으로 [[펜타쿼크]]가 있다. == PC용 슈팅 게임 == || [youtube(ywGq4j30nbc)] || [[파일:attachment/1233027484_baryon.png]] 1995년에 아크로 스튜디오라는 한국의 게임 제작사에서 PC용으로 만든 [[슈팅 게임]]. 해외에 [[셰어웨어]] 형태로 배포해서 한국보다는 오히려 해외에서 인지도가 있었던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빨간색 전투기와 파란색 전투기 중에서 하나를 고를 수 있다. 게임 방식은 [[라이덴]]과 판박이로, 라이덴과 마찬가지로 빨간색 무기와 파란색 무기가 존재하며(다만 라이덴과는 달리 전투기별로 두 무기가 하는 역할이 다르다. 빨간색 전투기는 빨간색 무기가 유도 레이저([[라이덴 2]]와는 다름)에 파란색 무기가 캐논포, 파란색 전투기는 라이덴과 유사하게 빨간색 무기가 캐논포에 파란색 무기가 레이저) 보조무기로 H와 M이 존재하는 것 또한 라이덴과 같다(H는 유도 미사일에 M은 보통 미사일인 것까지). 하지만 당시 PC용 슈팅 게임에서는 상당히 보기 드물게 오락실 슈팅 게임 못지 않은 박진감이 있는 완성도 높은 슈팅 게임이라서 반응은 꽤 좋았다. 그런데 문제는 '''난이도'''. 첫 스테이지에서부터 빠른 탄속은 플레이어를 정신차리지 못하게 한다. [[탄막 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의미로 고난이도. 당시에 [[오락실]]판 제작 떡밥도 돌았지만 결과는... 아래를 참조. 한때 [[KBS]]의 [[게임천국]]에 나오기도 했던 게임. 하지만 게임의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얼마 못 나오고 짤렸다.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 바리온의 엔진을 이용해서 바리온의 개발자가 만든 '초썰렁'이라는 이름의 간단한 공개용 슈팅 게임...이라기보다는 테크데모가 [[PC통신]]에 올라오기도 했다. 효과음이 전부 제작자 목소리에, 무기가 [[포크]]였다는 것이 압권. [[마사토끼]]의 만화에 언급되어 있다. [[https://masatokki.postype.com/post/4444219|마사토끼와 함께 33.마사토끼와 게임 -도스편 5-]] == 2.의 오락실용 리메이크 == || [youtube(-n4bdrwnZE8)] || [[파일:attachment/baryonfa.png]] 위의 슈팅 게임을 [[세미콤]]에서 1997년에 오락실용으로 리메이크한 게임. 정확한 제목은 Baryon - Future Assault. 원작의 게임 방식이 하도 라이덴과 비슷해서인지 이 버전에서는 전투기를 4개 중 하나 고르고, 그 전투기들마다 각각 단일 무기를 쓰는 형태의 게임으로 바뀌었다. 다만 무기들의 성능이 상당히 미묘해졌고, 그림체가 전반적으로 원작보다 부드러워졌(...)으며, 이게 나온 시기에는 슈팅 게임이 크게 인기를 못 끌고 인기가 있는 것이래봐야 [[스트라이커즈 1945 II]] 정도인데다가 결정적으로 원작보다 박진감이 한참 떨어져서 오락실에서는 별로 인기를 끌지 못했다. 한국산 게임인데도 불구하고 한국 오락실에도 별로 없었다(...). == [[브라운 더스트]]의 등장 용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바리온(브라운 더스트))] == [[우즈마키 나루토]]의 최대 전력기 [[중립자 모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립자 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