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6600> '''{{{#FFF {{{+1 바리오닉스}}}[br]Baryonyx}}}'''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ryonyx_NHM.jpg|width=100%]]}}} || ||<#FF9966> {{{#000 '''학명'''}}} || ''' ''Baryonyx walkeri'' '''[br]Charig & Milner, 1986 || ||<-2><#F93> {{{#000 '''분류'''}}} || ||<#FFCC6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FCC6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척삭동물문^^Chordata^^]]|| ||<#FFCC66> {{{#000 '''계통군'''}}} ||[[석형류|석형류^^Sauropsida^^]]|| ||<#FFCC66> [[생물 분류 단계#목|{{{#000 '''상목'''}}}]] ||[[공룡|공룡상목^^Dinosauria^^]]|| ||<#FFCC6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용반목^^Saurichia^^]]|| ||<#FFCC66> '''[[아목|{{{#000 아목}}}]]''' ||[[수각아목|수각아목^^Theropoda^^]]|| ||<#FFCC66>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스피노사우루스과|스피노사우루스과^^Spinosauridae^^]]|| ||<#FFCC66> '''[[아과|{{{#000 아과}}}]]''' ||†[[바리오닉스아과|바리오닉스아과^^Baryonychinae^^]]|| ||<#FFCC6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바리오닉스속^^''Baryonyx''^^'''|| ||<-5><:><#FF996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5> * †바리오닉스 왈케리(''B. walkeri'')^^{{{-1 [[모식종]]}}}^^[br]Charig & Milner, 1986|| || [[파일:Baryonyxl.pn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생대]]의 [[백악기]] 전기 오트리브 절에서 바렘절까지 지금의 [[영국]] 지역에 서식한 [[수각류]]에 속하는 [[공룡]]으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무거운 발톱'이라는 뜻이다. [[영국]]에서 차릭과 밀너가 1986년에 발견하였으며, 종명 '왈케리'는 아마추어 고생물학자 윌리엄. J 워커의 이름에서 따왔다. == 특징과 생태 == || [[파일:spinosauridae_size.png|width=100%]] || || 바리오닉스를 비롯한 [[스피노사우루스과]] 공룡들의 크기 비교도[* 왼쪽부터 [[이리타토르]], 바리오닉스, [[옥살라이아]], [[스피노사우루스]], [[수코미무스]], [[이크티오베나토르]]] || 최초로 [[물고기]]를 먹은 증거가 확인된 공룡으로, [[악어]]처럼 긴 주둥이에 빽빽하게 나 있는 대못 같은 이빨, 그리고 큰 앞발에 나 있는 30cm 가량의 발톱은 미끄러운 물고기를 붙잡기에 안성맞춤인 구조로 추측된다. 몸길이는 7.5~10m에 몸무게는 '''1.2~2t''' 정도 되는 중형 육식공룡으로, 모식 표본에서는 어린 [[이구아노돈]]류로 추정되는 동물의 흔적이 위장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상황에 따라 공룡처럼 큰 [[동물]]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바리오닉스와 공존한 초식 공룡인 [[힙실로포돈]]과 이구아노돈, 만텔리사우루스 등은 종종 바리오닉스의 위협을 받았을 것이다. == 연구사 == || [[파일:external/static.squarespace.com/Baryonyx.jpg|width=100%]] || || 골격도와 발견 부위 모식도 || 2022년에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2-04528-0|이브라힘과 다른 연구자들이 쓴 논문]]에 의하면 같은 과에 속한 친척인 [[스피노사우루스]]는 다른 육상 동물들에 비해 골밀도가 높은데, 골밀도가 높다는 점은 [[펭귄]], [[하마]], 악어 등을 비롯한 수중 생활에 적응한 동물의 특징이기에 물에서 사냥을 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또한 바리오닉스도 마찬가지로 골밀도가 높은데, 바리오닉스가 물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같은 과의 [[수코미무스]]는 이들과는 달리 골밀도가 낮은데, 이는 스피노사우루스과의 공룡들이 종마다 다양한 생활사를 보여줬다는 것을 의미한다. == 등장 매체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150px-Baryonyxlogo.jpg]] * [[쥬라기 공원 3]]의 제작 초기때는 최종보스를 바리오닉스로 하려고 했으나, 영화에서 주연들을 위협하는 거대 악역 공룡으로 하기엔 크기가 작아 스피노사우루스로 변경되었다. 대신 주인공들의 대화에서 이름이 언급되긴 한다. ||<#ffffff><:> [[파일:Baryony.jpg|width=400]] ||<#ffffff><:> [[파일:jurassic_world_fallen_kingdom__baryonyx_by_sonichedgehog2-dc9dfqf.png|width=400]] || ||<:>[[쥬라기 월드]]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 [[쥬라기 월드]]에서는 컨셉아트가 공개됐지만 직접적인 출연은 못했다. * [[레고 쥬라기 월드]] 게임에선 바리오닉스의 DNA가 담긴 호박 조각들을 습득하면 얻을 수 있는데, 실제 크기와는 달리 상당히 크다. 분류도 대형 공룡으로 분류되어있고, 사실상 스피노사우루스에서 등의 신경배돌기만 제거한 버전. 심지어 [[티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 시리즈)|티라노사우루스]] 옆에 붙여놓으면 긴 주둥이 때문에 바리오닉스 쪽이 크기가 더 크다. (물론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영화]]에서는 게임과 달리 중형 육식공룡 크기로 등장한다.) 특수능력은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같은 포효. 포효소리로 아이템이 담긴 바위 등을 진동시켜 깨트릴 수 있다. *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에서 정식으로 시리즈에 첫 출연한다. 예고편에서부터 모습을 드러냈다. 현재 바리오닉스는 '물고기를 잡는 악어 같은 공룡' 외에 그 특유의 앞발톱과 수많은 이빨을 무기삼아 [[이구아노돈]] 같은 다른 공룡까지 잡는 포식자라는 이미지도 갖추고 있어서, 바리오닉스를 보고 [[티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 시리즈)|티라노사우루스]] 보다 더 무섭다는 반응을 보이는 인물이 등장하는 등 무시무시한 포식자로 등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바리오닉스(쥬라기 월드 시리즈)]] 문서 참조. ||[[파일:external/nd01.jxs.cz/b46963d6e5_31424541_o2.jpg|width=400]]||[[파일:external/pcmedia.gamespy.com/paraworld-20060802064555242_640w.jpg|width=400]]|| * [[쥬라기 원시전]] 시리즈와 비슷한 [[독일]]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파라월드'에 등장. 아시아풍의 드래곤 클랜의 중급 유닛으로 등장한다. 땅과 바다 모두를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섬 맵에서 견제를 가거나 해군 지원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파일:external/www.animationsource.org/153526.jpg|width=500]] * [[아이스 에이지]] 3편에서 최종보스로 등장. 루디라는 이름이며, 이빨 하나를 자기 코딱지만한 라이벌에게 빼앗긴 상태. 나름 라이벌과는 겉으로는 티격태격해도 속으로는 사이좋은 관계이며, 나중에는 등에 태우고 다닌다. 최종보스이지만 [[티라노사우루스]] 어미에게 당해 절벽으로 추락한다. * 그 외에 1990년대 일본의 <공룡의 수수께끼(恐竜のなぞ)>라는 학습만화[* 기타토비 요이치가 시나리오를 맡고 다가와 시게루가 작화를 담당한 만화이며 공룡에 관심 많은 어린이 3명(모자 쓴 남자애와 안경 쓴 남자애, 단발머리 여자애)이 시간 여행이 가능한 다이노 군이라는 공룡을 만나 공룡시대를 모험하는 내용. 총 2권으로 1권은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각 시대를 살아간 공룡들의 모습과 멸종을 보여주고 2권은 알로사우루스 형제를 중심으로 보다 다양한 공룡의 생태를 보여준다. 맨 뒤의 부록에는 본문에 다 실리지 못한 각종 공룡들의 삽화가 간략한 설명과 함께 실려있었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김영삼]] 정부 시절 문공사를 통해서 <공룡의 비밀>이란 이름으로 번역, 출판된 적이 있었다.]에서는 [[데이노니쿠스]]들이 사냥 후 서로 자기 몫을 놓고 싸우는 모습을 보고 무심한 듯 쿨하고 시크하게 비웃고는 강에서 고기를 턱턱 잡아먹으며 '여기도 이렇게 먹을 것이 많은데 쟤들은 왜 저런대?'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바리오닉스 아쿠아풀구르.png|width=100%]]}}} || * [[ARK: Survival Evolved]]에서 등장한다. [[바리오닉스(ARK: Survival Evolved)]] 참고. || [[파일:공룡킹 바리오닉스.jpg|width=500]] || * [[일본]]의 아케이드 게임 [[고대왕자 공룡킹]]에 1탄부터 등장한 공룡이며 속성은 물. 애니메이션에선 1기와 2기에서 등장한다. [[바리오닉스(고대왕자 공룡킹)]] 참고. * [[The Isle]]에도 플레이 가능한 공룡으로 등장한다. * [[공룡시대]] 13편에서는 [[베이피아오사우루스]]들을 쫓는데, [[칼이빨]] 4마리로 등장.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VIP 전용 공룡으로 등장.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수코미무스, version=154)] [[분류:바리오닉스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