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external/www.ranklogos.com/airline-logos/varig-brasil-logo/.jpg]] '''VARIG-Viação Aérea Rio Grandense'''[* '''히우그란지 항공 교통'''이라는 뜻이다. [[브라질]]의 플래그 캐리어로 성장했지만, 근원은 [[히우그란지두술]] 주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 항공사였다. [[콴타스]]와 비슷한 셈.] ||||||<-4> '''바리그 항공'''(Varig) [br] || || '''[[IATA]]''' [br] RG || '''[[ICAO]]'''[br] VRG ||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br] 41 || '''항공사 Callsign'''[br] VARIG || ||||<-3> '''설립''' || [[1927년]] [[5월 7일]] || ||||<-3> '''소멸''' || [[2006년]] [[7월 20일]] || ||||<-3> '''허브공항''' ||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 [br] [[리우데자네이루 갈레앙 국제공항]] || ||||<-3> '''보유항공기수''' || 87(2005년 5월) [br] || ||||<-3> '''취항지수''' || N/A || ||||<-3> '''항공동맹''' || [[스타얼라이언스]](1997~2006)[* 2006년 7월 20일에 강제 탈퇴되었다.] || ||||<-3> '''슬로건''' || Estrela brasileira no ceu azul, iluminando de Norte a Sul [br](A Brazilian star on the blue sky, illuminating from North to South)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712665.jpg|width=600]] '''<'구' 바리그의 [[MD-11]]>'''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762064.jpg|width=600]] '''<[[골 항공]]에 인수된 '신' 바리그>'''. [[보잉 737 NG|B737-700]] [목차] == 개요 == [[1927년]]에 [[히우그란지두술]] 주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설립되어 [[2006년]]까지 [[브라질]] 제1의 항공사'''였던''' 회사. == 상세 == 원래 [[브라질]]에서 국내선 영업을 하다가 [[1955년]] [[뉴욕]]과 [[리우데자네이루]]를 잇는 첫 국제선 운항을 시작했고, [[1961년]]에는 [[일본]] [[도쿄도|도쿄]] 노선[* 2006년 항공사가 망할 때까지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 경유로 운항하고 있었다. 참고로 [[일본항공]]도 오랫동안 운항하고 있었으나(여기는 [[존 F. 케네디 국제공항|뉴욕]] 경유) 여기도 망테크를 타면서 단항됐다. 이 때 바리그가 망하면서 국제선 노선에서 철수하는 바람에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상파울루]]와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를 연결하는 항공 노선이 증발하게 됐고, 이게 [[2008년]] 즈음 [[대한항공]]이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LA]]-[[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상파울루]] 노선을 부활시키게 된 결정적인 이유였다. 그리고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 하나뿐'''이었다가 지금은 [[아메리칸 항공]]도 취항하며, [[대한항공]]이 운휴하면 AA 독점이다. 참고로 [[중국국제항공]]에서 운항하는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 -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상파울루]] 노선은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마드리드]]를 경유하며, 동아시아 국적기 중에서 유일하게 대서양을 횡단한다. 브라질에는 [[일본계 브라질인]]이 꽤 많이 살기 때문에 일본 - (제3국) - 브라질간 수요가 꾸준히 있는 편이다.] 이후 [[1965년]] [[브라질]] 군사 정부가 강제로 파산시킨(...) 팬에어 도 브라질(Panair do Brasil) 항공사의 유럽 노선을 인수[* 바리그는 그 동안 10년 동안 유럽 노선 운항 허가를 받기 위해 [[로비]]를 벌이고 있었다...]하며 [[1990년]]까지 브라질의 국제선 운항을 독점하는 항공사로 성장한다. 그렇게 잘 나가고 있었는데... '''[[1970년대]] 들이닥친 [[오일쇼크]]''' 이후로 브라질의 물가상승률이 매년 치솟기 시작했고 급기야 1980년대 중반 들면서 매년 수십배의 물가상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거기에다가 막대한 외채로 인한 경제 위기, 거기에 더불어 [[브라질]] 정부의 항공요금 동결까지 더해져 바리그의 채산성은 급속히 악화되고 말았다. 게다가 군사 정부가 물러나면서 그동안 쌓아왔던 군사 정부와의 인맥이 소용없게 되었고, [[페르난두 콜로르|콜로르]] 정부는 1990년 [[바스피]](VASP) 항공[* 한때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에도 취항했던 항공사다. 이 회사도 바리그와 경쟁하듯 국제선을 마구 확장하다가 결국 2002년 모든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고, 2005년에 운항을 정지하고 만다. 지금도 [[대한항공]]이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상파울루]]행을 운휴할 예정일 정도로 [[인천국제공항|인천]]에서 [[브라질]]로 가는 항공 수요가 그렇게 많지 않은데(거리도 멀고 브라질엔 일본계가 많이 살지 한국계는 별로 많지 않다. 반대로 아르헨티나에 한국계가 많이 산다), 김포 시절에 서울까지 취항한 걸 보면 알 수 있지 않는가? 운휴 이후에는 빼도박도 못하고 유럽 혹은 중동 환승 확정.(북미권 환승은 [[사증 면제 프로그램]]을 맞춰야 해서 꼭 번거롭다)]과 [[https://en.wikipedia.org/wiki/Transbrasil|트랜스브라질]](Transbrasil) 항공[* 바리그와 [[바스피]]에 이어 [[브라질]] 제 3의 항공사였는데, 이 회사도 2001년에 파산했다. 비행기 꼬리 도색이 [[무지개]] 색상인 점이라는 것이 특징.]의 국제선 운항을 허가하면서 몇 십년 동안 지속되었던 바리그의 독점 체계가 무너져 버리며 다시 한 번 타격을 입었다. 이 외에도 [[코펜하겐]] 노선,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요하네스버그]]를 경유하는 [[홍콩 국제공항|홍콩]] 그리고 [[수완나품 국제공항|방콕]] 노선(...)~~사람이 얼마나 탄다고~~ 등 수익성이 좋지 않은 노선을 여러 개 운항하고 있었으며, [[LATAM 브라질 항공|TAM 항공]]이나 [[저가 항공사]]인 [[골 항공]](GOL Transportes Aereos)이 국내선 시장마저 잠식해 오기 시작하였다. 설상가상으로 2001년에는 [[9.11 테러]]까지 터지면서 항공업계의 전 세계적인 불황이 닥치면서 바리그의 재정은 더욱 악화된다. 결국 [[2005년]] [[6월]]에 바리그는 [[브라질]] 정부에 파산 보호 신청을 한다. 이때 바리그는 76대의 여객기와 11대의 화물기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그 중 83대가 리스였다(...)'''.[* 이렇게 항공기를 계속 무리하게 리스해 온 것도 회사 재정에 부담이 되었다는 얘기가 있다. ~~2억 인구의 [[브라질]]을 대표하는 항공사가... 그냥 새 항공기 사지~~][* 즉 87대중 '''4대만 이 회사 비행기다(...)'''.] 2006년 6월에 벼랑으로 몰린 바리그는 항공기 여러 대를 잇달아 압류당하더니, 급기야 국제선의 50%, 국내선의 30%의 운항을 정지해 버린다. 결국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프랑크푸르트]], [[런던]] 등의 극히 일부 노선만 남은 바리그는 '구' 바리그와 '신' 바리그로 분할된다. '구' 바리그는 바리그의 부채와 [[보잉 737]]기 1대를 가져간 채 회사명을 [[https://en.wikipedia.org/wiki/Flex_Linhas_A%C3%A9reas|Flex Linhas Aéreas]]로 바꿔 운항하다가 2010년 파산하고 말았다. 한편 '신' 바리그는 회사의 항공기 대부분과 바리그 브랜드로 한동안 운항하다가 [[2007년]]에 [[브라질]]의 저가 항공사인 [[골 항공]][* 한국으로 치자면 '''[[대한항공]]이 경영난으로 파산, [[제주항공]]에 인수된 격이다.''']에 인수되어 일단은 운항을 계속하고 있다.[* [[델타 항공]]에서 골 항공의 일부 지분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 항공사는 2015년에 [[대한항공]]과 [[브라질]] 국내선 [[코드셰어]] 협정을 체결했고, [[스카이패스]] [[마일리지]] 제휴도 했다.--하지만 [[상파울루 구아룰류스 국제공항|상파울루]]행이 운휴....-- 대한민국 축구 올림픽대표팀도 골 항공을 이용한 모습이 보였다.--부킹클래스가 잘 맞으면 [[스카이패스]] 적립될 듯--] 일단 골 항공의 국제선 차터 노선을 바리그의 편명을 달고 운항하는 듯하다. 현재 [[브라질]]의 플래그 캐리어 역할은 [[2014년]]에 초 [[칠레]]의 [[LATAM 항공|LAN 항공]]과 합병한 [[LATAM 브라질 항공|TAM항공]]이 맡고 있다. 그러면서 [[LATAM 항공|란항공]]은 TAM을 [[스타얼라이언스]]에서 [[원월드]]로 빼온 후, [[LATAM 브라질 항공]]으로 개명했다. == 여담 == *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바리그도 1991년에 [[한국]] 노선을 잠시 취항한 적이 있었다. 이후 1992년에 [[바스피]]가 취항하면서 단항되었다. [[분류:브라질의 없어진 항공사]][[분류:1927년 설립]][[분류:2006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