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2>
{{{#white '''{{{+3 बराक 8}}}'''[br]''Barak 8''}}} || ||<-2> [[파일:external/2.bp.blogspot.com/Barak-8_surface-to-air_missile_air_defense_systems_vessel_against_aircraft_anti-ship_missiles_Israel_Israeli_defence_industry_001.jpg|width=100%]] || || '''전투중량''' || 275kg || || '''전장''' || 4.5 m || || '''전폭''' || 0.225 m || || '''탄두중량''' || 60kg || || '''유도''' || 능동IR/데이터 링크 || || '''최고속도''' || 마하 2 (680 m/s) || || '''최대 사정거리''' || 35 km(barak mrad) 75km(barak lrad) 150km(barak ER) || || '''최대 요격고도''' || 16 km || [목차] [clearfix] == 개요 == '''Barak 8''' [[인도]]가 [[이스라엘]]의 [[IAI]]사와 공동개발하게 된 [[지대공 미사일]]이다. 정확하게는 이스라엘의 바락(Barak) 시리즈들에 인도가 투자를 했다고 보는 편이 맞다. 기존의 [[아카시 대공미사일|아카시]] 지대공 미사일의 한계를 인지한 것으로 보이며 인도가 실제로 해군형인 함대공 미사일을 두고 공급자인 [[프랑스]]와의 갈등과 아카시의 개발지연 및 한계를 극복하고자 투자개발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2009년에 바락2가 나왔을 때부터 본격적으로 인도의 DRDO(국방연구개발기구)가 참여하여 개발하였고 2017년 5월에 함대공체계가 본격적으로 인도 해군의 [[콜카타]](Kolkata)급 구축함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육군용으로는 인도군에서는 MRSAM이라는 명칭으로 붙여져서 40대의 발사대와 200기의 미사일을 운영한다는 방침으로 2023년 도입이 눈앞에 있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15MRSAM.jpg|width=580]] '''지휘통제차량 x1 / 레이더차량 x1 / 발사대 차량 x3(각 8기 4연장 발사대 x2''' 아직 개발중인 육군형. [youtube(AevsQ1IatSM, width=580)]'''VLS 셀에 운용되는 해군형''' EL / M-2248 MF-STAR AESA 레이더의 유도와 통제를 받으며 VLS 셀당 4기씩 운영이 가능하다. == 상세 == [[파일:external/www.israeldefense.co.il/40406.jpg|width=580]] '''육군형''' [[파일:external/images.hamodia.com/Barak.jpg|width=580]] '''해군형''' Barak-8시리즈는 지속적인 성능개량을 진행하고 있는데 2010년 이후로 2014~2017년까지 지속적인 시험발사 테스트를 진행중에 있던 궁극적으로는 인도가 [[SM-3]]급 혹은 [[SM-6]]와 같은 해상형 탄도탄 요격미사일 체계와 지상에서는 [[THAAD]]나 [[애로우 지대공미사일|애로우]]2~3 같은 모델을 개발배치를 위하여 투자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거부로 이스라엘제 애로우2를 도입하지 못한 인도로서는 탄도탄 요격에 대한 적극적 개발투자는 당연할 수 있다. 인도 말고도 원래 바락시리즈를 개발하고 있던 이스라엘도 운영중이며 이스라엘 해군의 함대공 미사일로 운영중에 있다. 기존에 바락-1을 운영하던 [[사르 5급 초계함]](Sa'ar 5-class)에서 이미 Barak-8로 대체한 상황이며 나머지들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스라엘도 해상형 탄도탄 요격체계를 구비할 가능성도 이 물건을 통하여 확인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alert5.com/CmMPBYpWQAAC7w2.jpg-orig.jpg|width=580&height=500]] [[https://en.wikipedia.org/wiki/Barak_8|출처]], [[http://defense-update.com/tag/barak-8|출처2]], [[http://www.naval-technology.com/projects/naval-barak-8-surface-air-missiles/|출처3]] === 확장형(LRSAM (Barak-8ER)) === ||
[[파일:external/i43.photobucket.com/bourget086.jpg|width=400]]||[[파일:external/1.bp.blogspot.com/barak-8_2_tecnologiabelicayarmas.blogspot.com.ar.png|width=400]]|| ||<-2> Barak-8 & Barak-8ER || 기존의 2단 부스터형태의 추진기능을 TVC로 더욱 강화하고 늘려서 사정거리가 무려 150km급에 이르는 물건으로 개발되었다. 원래 Barak-8은 ESSM과 같은 중거리 혹은 중단거리급 대공미사일말고도, SM-2MR과같은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 개발도 계획되어 있었고, 이를 실행에 옮긴 셈이다. 유도기능 역시 개량되었으며, 육군버젼에 적용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 실전 기록 == 2021년 2월, 아제르바이잔에서 도입한 바라크가 아르메니아가 발사한 러시아제 [[9K720 이스칸다르]] 탄도미사일을 요격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mnews.joins.com/article/24003789|#]] 러시아측은 아르메니아가 이스칸다르 미사일을 발사는 커녕 무기고에서 불출한적도 없다고 반박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pj9KYPYaMSY|#]] 이스칸다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실제 이스칸다르 미사일 잔해가 발견되었다. [[분류:지대공 미사일]][[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이스라엘군/미사일]][[분류:인도군/미사일]][[분류:IAI]][[분류:인도의 발명품]][[분류:이스라엘의 발명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