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바둑)] [목차] == 개요 == 바둑을 소재로 하거나 바둑과 관련이 깊은 창작물들을 등재하는 문서. == 만화 == * '''[[히카루의 바둑]]''' - '''이 분야의 본좌'''. 한국에서는 코믹스판 한국어 정발 버전의 제목인 '''고스트 바둑왕'''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애니메이션도 정식 수입 및 방영했을 때 이를 따랐지만, 2011년에 코믹스 완전판이 정발되었을 때는 원제인 '히카루의 바둑'을 사용했다.] * 만방아저씨 * [[미생]] - 바둑 자체가 소재는 아니지만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해준다. * [[바둑 삼국지]] * 별하늘의 까마귀 * [[살라망드르]] * [[소년탐정 김전일]]의 [[혈류실 살인사건]] 편 * [[강철수]]의 여러 작품들 * [[박수동]]의 여러 만화들 * [[명인(웹툰)|명인]] * 바둑전쟁 == 애니메이션 == * [[프리파라]] - [[토도 시온]]이 바둑을 좋아하는 천재 소녀로 등장하며 이후로도 바둑과 관련된 에피소드들이 몇몇 있다. 개중에는 아예 대국 한 판을 묘사한 것도 있다. == 소설 == * 내기 바둑꾼 * 도기 * 명인 -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혼인보 슈사이의 마지막 대국을 소설화한 것. * 반상의 승부사 * [[피를 마시는 새]] - 주인공의 한 명인 엘시 에더리가 세계관 최강의 명지휘관이자 최고의 바둑기사이며, 그 때문에 각종 갈등 국면에서 바둑과 바둑 관련 용어가 많이 등장한다. 전작인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는 [[윷놀이]] 관련 비유가 많이 등장한 것과 비교하면 재밌는 일. 또한 뱀부리미의 [[사어(동음이의어)#s-2|사어]] 통신을 이용해서 엘시 등 아라짓 제국 인물들이 적대 관계인 데다 만나기도 힘든 도시 연합의 나가들과 원격으로 바둑을 두는 온라인 바둑(?) 같은 원격 바둑 역시 등장한다. 전쟁 대신 벌어지는 북부와 남부 간 원격 바둑 대결이 현대 국가 간 스포츠마냥 여러 사람들이 열광하는 화제가 되었다고... * 우주류 * [[천룡팔부]] - 스토리상 두 번 바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처음은 [[단예]]가 [[사대악인]]의 계략으로 석실에 갇혔을 때 구출하기 위해 황미대사가 시간끌기/시선분산용으로 [[단연경]]과 바둑을 두는 때고, 두 번째는 소성하의 바둑 묘수풀이 대회에 초대받은 사부를 따라온 [[허죽]]이 우연히 [[소요파]]와 엮이면서 [[기연]]을 얻는 때이다. * [[오궁도화]] * 서울대 바둑부에 수학 천재가 있다? * 신의 한 수가 보여 * [[방랑기사로 살아가는 법]] - 주인공의 특기. 바둑이 엘리트 스포츠 취급받는 중세 세계관에서 수준급의 바둑을 두어 마법사 동료를 영입하게 된다. * 정수정도 * 동수상응 * 과호흡 == 온라인 게임 == [include(틀:주요 인터넷 바둑)] * 여러 게임 포털의 온라인 바둑 게임 : 메이저 게임 포털은 모두 바둑 게임이 있고, 온라인으로 대국하게 되어 있다. 이 온라인 대국은 [[PC통신]]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온라인 게임]]쪽에서는 상당히 역사가 깊다. PC통신의 텍스트 환경은 바둑을 구현하는데는 별 무리가 없었기 때문인데, 바둑판은 ┼, ┌, ┑,├, ┤같은 괘선문자로 그리고, 바둑돌은 ○●, 천원점 같은 건 •등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시간이 좀 지나자 [[이야기]]나 [[새롬 데이타맨]] 같은 PC통신 프로그램에는 자체적으로 괜찮은 그래픽을 가진 바둑판을 내장하기도 했다. * '''[[한큐바둑]]''': [[http://www.han-q.com/pn/|홈페이지]] [[구리(바둑기사)|구리]] 九단이 [[텐센트]]의 투자를 받아 만든 바둑 프로그램. 한 개 서버당 [[동시접속자]] 20,000명 가량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어서, [[2017년]] 현재 기존의 [[사이버오로]], [[타이젬바둑]]을 [[듣보잡]]으로 만들어버리고 최대 바둑 프로그램으로 등극했다. [[인공지능]] 프로그램들도 전부 한큐에서 활동한다. * [[타이젬바둑]]: [[http://www.tygem.com/|홈페이지]] 온라인 게임 사이트 중에서는 특히 바둑에 특화되어있다. 한때는 최대 프로그램이었으나 한큐바둑 나오면서 듣보잡화 되었다. 한 개 서버당 [[동시접속자]] 3,000명 정도만 수용 가능하다. * [[사이버오로]]: [[http://www.cyberoro.com/|홈페이지]] [[한국기원]]에서 운영하는 바둑서비스. [[2000년]]부터 시작한 서비스이나 [[프로]] [[바둑기사]]들마저 거의 활동을 안 한다. 대신에 [[아마추어]]들이 많다. 한 개 서버당 [[동시접속자]] 2,700명 정도만 수용 가능하다. * 아마추어들이 많다는 특성 때문인지 [[프로연우]]의 지도기나 [[바둑 비타민]]이 이 사이버오로를 통해 진행된다. * [[일본]]서버는 [[일본기원]]에서 운영하는 [[https://u-gen.nihonkiin.or.jp/|유현의 방(幽玄の間)]]이다. * [[한게임 바둑]]: [[http://baduk.hangame.com/|홈페이지]] * [[넷마블바둑]]: [[http://baduk.netmarble.net/|홈페이지]] * [[엠게임]] 바둑 * [[바둑 2.0 for kakao]]: [[카카오게임]]의 바둑 어플. 정말 바알못이 바둑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다.(...) * GoQuest 앱 - 국제 바둑 사이트로 9줄 바둑, 13줄 바둑을 둘 수 있다. 19줄 바둑은 인원이 웬만큼 차야만 가능. * [[바투]]([[온라인 게임]]) * [[바둑2.0]] == 영화 == * [[더 서라운딩 게임]] * [[스톤(영화)|스톤]] * [[신의 한 수(영화)|신의 한 수]] * '''[[알파고(영화)|알파고]]''' == 드라마 == * [[더 글로리]] * 맞수 - MBC가 1994년 방영한 3.1절 특집 드라마. 조훈현 9단의 1989년 제1회 응씨배 우승 과정을 그리면서 여기에 한국과 일본을 오가면서 "부목반"이란 신비의 바둑판을 추적하는 [[픽션]]을 섞어서 만든 드라마.[* 부목반 부분은 완벽한 픽션이다.] 당시 바둑계 4대천왕인 조훈현(유인촌), 서봉수(정보석), 유창혁(이재룡), 이창호(정준)가 모두 실명으로 등장한다. 한국 방송계에서 최초로 바둑을 주소재로 해서 만든 드라마이다. * [[미생(드라마)]] * [[응답하라 1988]]: 등장인물 중 천재 바둑기사 [[최택]]이 나온다. 모티브는 한국 바둑계의 전설 [[이창호]] 九단이다.-- 근데 조훈현 9단이랑 시대가 겹침;;--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바둑, version=1004)] [[분류:바둑/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