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토교통부장관)] ---- [include(틀:제1공화국의 국무위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국토교통부장관|{{{#fff 대한민국 초대 교통부 장관}}}]][br]{{{#fff {{{+1 민희식}}}[br]閔熙植 | Min Hee-shi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민희식.jpg|width=100%]]}}} || ||<|2> '''출생''' ||[[1895년]]|| ||[[경기도]] [[파주시|파주군]] (現 [[경기도]] [[파주시]])|| ||<|2> '''사망''' ||[[1980년]] [[12월 13일]] (향년 84~85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 || '''본관''' ||[[여흥 민씨]][* 삼방파 29세손 植(식) 항렬, 증조부 민치인(閔致人)의 형, 즉 종증조부 [[민치구]](閔致久)는 [[흥선대원군]]의 장인이자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외할아버지다.]|| ||<|2> '''재임기간''' ||초대 교통부 장관|| ||[[1948년]] [[8월 2일]] ~ [[1948년]] [[10월 4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민영적 || || '''형제자매''' ||형 민태식[* 큰아버지인 [[민영달]]에게 입양되었다.][br]남동생 민윤식, 민풍식[br]여동생 민철식 || || '''배우자''' ||평강 전씨 || || '''자녀''' ||아들 민병화, [[민병수]][* 미국명은 William P. Min, [[남가주]]에서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 [[미국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한미변호사협회 제3대 회장을 지냈고 '대한민국 법률대상 해외동포상'을 수상했다.], 민병유[br]딸 민병순, 민병년 || || '''학력''' ||영법학당 {{{-2 (졸업)}}}[br]골든 고등학교 {{{-2 (졸업)}}}[br][[네바다 대학교]] {{{-2 (경제과 / 학사)}}} || || '''약력''' ||조선총독부 철도국 직원[br]미군정청 운수부장[br]초대 교통부 장관[br]주 LA 초대 총영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관료, 초대 [[국토교통부]] 장관 == 생애 == 1895년 [[경기도]] [[파주시|파주]][* 서울 출생이라고 기록된 자료도 있다.]에서 민영적(閔泳迪)의 5남매 중 둘째이자 [[차남]][* 본래 차남이지만 장남인 민태식(閔台植)이 큰아버지인 [[민영달]]의 [[양자(가족)|양자]]로 출계하면서 호적상 장남이 되었다.]으로 태어났다. 1908년부터 1911년까지 중국 [[옌타이]] 영법학당(英法學堂)에서 수학한 후, 미국으로 유학하여 1918년 [[콜로라도주]] 골든시[* 쿠어스 맥주 공장이 있는 곳이다.]의 골든고등학교(Golden High School)를 졸업했다. 1922년 콜로라도 광업학교(Colorado Shool of Mines)에 입학했으나 같은 해 [[네바다 대학교]] 경제과로 전학하여 1924년 졸업했다. 1925년 귀국하여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들어가 일하다 1928년 퇴직했다. 1945년 8월 교통국에 다시 들어가 1947년 2월 [[미군정]] 운수부장에 취임했고, 정부 수립 후 1948년 8월 2일 초대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1948년 9월 22일 내판열차 사건에 대해 보고하였으며 유감을 표하였다. 1948년 정부 수립 후 최초로 외국에 설치한 외교 공관인 [[주 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의 초대 총영사로 부임하여 1960년까지 재직했다. 1980년 12월 13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다. == 여담 == * 1928년 이후 광복 때까지 이력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1938년 기사를 보면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당시 골프를 즐겼던 초[[상류층]]이었다. 1938년 1월 1일자 삼천리 잡지에 실린 "서울의 [[상류사회]], 입회비만 삼백원 드는 [[골프장|꼴푸장]]" 기사에서 경성골프구락부에 입회된 조선인 명단에 포함되어 있다.[* 조선 갑부이자 일본 [[자작(작위)|자작]] 작위를 받은 [[민영휘]]의 아들 민대식, 민규식의 이름도 보인다. '○植'은 여흥 민씨 29세손 [[항렬자]]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ma_016_0640_0190|#]] [[분류:1895년 출생]][[분류:1980년 사망]][[분류:파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외교관]][[분류:여흥 민씨 삼방파]][[분류:교통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인사]]